•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fat level

검색결과 838건 처리시간 0.03초

삼육대 및 서울여대 재학 중인 일부 여대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영양섭취상태 및 신체계측 비교 연구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Physical Status according to the Residental Type among College Women in Seoul Women's University and Sahmyook University)

  • 최경순;신경옥;허선민;정근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1호
    • /
    • pp.86-9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idence types ((1) parent house, (2) dormitory or boarding home, (3) boarding home w/o food) on the dietary habits and health status of college women (20-23 y). Overall, 46.1% of college women reported that they were economically middle class and spent 200,000-390,000 won. Additionally, 17.4% of college women considered themselves healthy, while 33.8% reported that they were not healthy. Furthermore, 32.0% of college women had experience to control their weight and 39.8% reported that they exercised to control their weigh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eight and weight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residential type, but the amount of skeletal muscles mass ($21.0\;{\pm}\;2.6\;kg$) of the subjects that lived in dormitory or boarding home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5) than that of women who lived at home. Additionally, 30.8% of students that lived in private residences, 25.0% of students that dwelled in dormitory or boarding homes and 27.7% of students that boarding home w/o food had three regular meals every day (p < 0.05). It has been reported that 18.3% of college students eat processed and instant foods due to their convenience. In the present study, intakes of energy, protein, fat, vitamin A, vitamin $B_1$, vitamin $B_2$, vitamin $B_6$, niacin, vitamin C, vitamin E and folic acid for the subjects who lived in dormitory or boarding hom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who lived in private residences (p < 0.05). Additionally, intakes of iron, calcium, and zinc were lower in the subjects that boarding home w/o food (p < 0.05). Finally, the blood glucose level was $84.7\;{\pm}\;13.0\;mg/dL$, and differed significantly by residential types (p < 0.05); however, the average glucose levels of all subject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90-110 mg/dL).

화학적 변성 및 생감자 전분이 고지방식이로부터 유도된 비만 흰쥐의 지질대사 및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Modified Potato Starch By Chemically Denatured Treatment and Potato Starch on the Weight Loss, Lipid Metabolism and Redox Antioxidant System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 박수진;최미경;김진숙;임학태;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251-1257
    • /
    • 2008
  • AIN-93G 식이조성을 기본으로 corn starch를 potato starch로 100% 대치한 고지방식이를 42일간 rat에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 후, GPS군, SPS군, EZ군, H40군으로 나누어 70일 급여한 후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체중증가량은 GPS, EZ, H40군에서 차이가 없었고 식이효율 또한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혈중 혈당농도, TC, LDL-cholesterol 농도는 변성 전분 섭취 군(EZ, H40군)에서 높았고, atherogenic index는 H40이 다른 군에 비교해 높게 측정되어 H40군이 비만, 동맥경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간과 신장 조직의 MDA 생성량은 H40군이 혈청 MDA 생성량이 다른 군에 비해 매우 높았고, 간과 신장 조직에서는 EZ, H40군이 낮았다. Glutathione 함량은 각 조직별로 경향이 달랐으나, GP-x활성은 SPS군에서 낮았다. 본 연구에서 전분을 달리하여 첨가한 고지방 식이가 비만한 식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알감자 전분을 100% 대치하여 제조한 SPS군 및 효소 처리한 변성전분(EZ)을 100% 대치하여 급여한 군에서 비만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변성전분의 심혈관계 질환 및 혈중 지질 패턴 변화에 관련된 기전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생리활성이 규명된 후 다양한 가공식품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eeding of Cassava Hay for Lactating Dairy Cows

  • Wanapat, M.;Puramongkon, T.;Siphuak, 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478-482
    • /
    • 2000
  • Whole cassava (Manihot esculenta, Crantz) crop was harvested about 10-15 cm above ground at 3 months after planting and sun dried for 1-3 days or until the leaves were crispy-dried and the branches and stems were mostly wilted to produce cassava hay. Cassava hay (CH) contained 86.3% DM, 8.9% ash, 23.6% CP, 44.3% NDF, 30.0% ADF, 5.8% ADL, 0.257% condensed tannin and 0.35 mg % HCN, respectively. In addition, CH contained relatively higher amino acid than alfalfa hay especially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and lysine. Ruminal fermentation of CH resulted in high concentrations of $C_2$, $C_3$, and $C_4$ at 72, 17 and 7 mol/100 mole, respectively.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study on effect of feeding of cassava hay in late lactating dairy cows fed on urea-treated rice straw during the dry season on their intake, ruminal pH, $NH_3$-N, milk yield and compositions. Thirty, Holstein-Friesian crossbred cows in their first lactation were randomly assigned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o receive five different dietary treatments: T1=supplementation of concentrate to milk yield at 1:2, T2=supplementation of concentrate to milk yield at 1:2+0.56 kg DM, T3=supplementation of concentrate to milk yield at 1:3+1.3 kg DM CH, T4=supplementation of concentrate to milk yield at 1:4+1.70 kg DM CH, T5=CH fed on ad libitum+small concentrate supplement. All cows received urea-treated rice straw as a roughage source throughout a 80 d feeding trial. The experiment revealed that cassava hay contained high level of protein and minimal level of tannin at 3 months of harvest. Tannin intake ranged from 1.44 to 13.36 g/hd/d and did not affect on urea-treated rice straw intake. Milk yield across treatments were similar (5.4-6.3 kg/hd/d) (p>0.05) but 3.5% FCM was highest in cows received CH at 1.70 kg/hd/d. Feeding of cassava hay resulted in increasing milk fat (4.0 to 4.6%) (p<0.05) and milk protein (3.8 to 5.3%) (p<0.05). Moreover, the use of CH could reduce concentrate supplementation to milk yield from 1:2 to 1:4, respectively, thus resulted in more milk income return.

PROTEIN SPARING EFFECT AND AMINO ACID DIGESTIBILITIES OF SUPPLEMENTAL LYSINE AND METHIONINE IN WEANLING PIGS

  • Han, I.K.;Heo, K.N.;Shin, I.S.;Lee,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8권4호
    • /
    • pp.393-402
    • /
    • 1995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tive values of supplemental L-lysine, liquid and powder type, and DL-methionine in weanling pigs. For feeding trial, 165 weanling pigs were treated in 2 controls; 18 and 16% CP, 6 supplementations of lysine alone to 16% CP diets; 0.1, 0.2 and 0.4% of liquid and powder type each, and 3 supplementations of lysine + methionine to 15% CP diets; 0.05 + 0.025, 0.1 + 0.05 and 0.2 + 0.1%. Pigs were fed for 5 week to investigate the protein sparing effect of supplemental amino acid, and the optimal supplemental level. A metabolic trial included the measurements of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fiber, energy, phosphorus and amino acids. The liver acinar cell culture was conducted for the protein synthesis activity of the pigs fed each experimental diet. Supplementation of both type of L-lysine in 16% CP diet showed improved dail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which were compatible with those of pigs fed 18% CP diet. Groups fed liquid lysine did not differ from those fed powder type in growth performance. Supplementation of lysine and methionine to 15% CP diet did not improve growth performance of pigs to the extent that 18% CP diet was fed. In nutrient digestibility, 16% CP control diet showed significantly (p < 0.05) lower crude protein digestibility than any other treatments. Digestibilities of 16% CP diets with lysine supplementation were equal to that of 18% CP control, while digestibilities of 15% CP diets with the supplementation of lysine + methionine was inferior to that of 18% CP control. Supplementation of lysine alone reduced the nitrogen excretion compared to the none supplemented control groups. However, addition of lysine + methionine excreted more nitrogen than controls. Pigs fed diet supplemented with lysine alone, or lysine + methionine excreted less fecal phosphorus than those fed none supplemetation. Retained protein from liver tissue of pigs fed 18% diet was significantly (p < 0.05) greater than those fed 16% CP diet.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was observed in physical type of lysine. Feeding of powder type showed less secreted protein and greater retained protein in the culture of liver acinar cell. It is concluded that supplementation of lysine at the level of 0.1 to 0.2% can spare 2% of dietary protein and reduce nitrogen excretion by 19.3%. Also, no difference in nutritional values was observed between liquid and powder lysine in weanling pigs.

직장인 남성을 대상으로 한 12주간의 영양교육이 대사증후군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orksite Nutrition Counseling for Health Promotion; Twelve-Weeks of Nutrition Counseling Has Positive Effect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Male Workers)

  • 이미선;강해진;오혜선;백윤미;조여원;박유경;최태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6-6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trition counseling on improving metabolic syndrome (MS) risk factors. Sixty-eight subject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numbers of MS risk factors. Subjects who have three or more risk factors of MS were defined as "High risk", subjects who have two risk factors of MS were defined as "low risk", and subjects who have below two risk factors of MS were defined as "no risk" group. All groups finished nutrition counseling every three weeks for 12 weeks. Anthropometric, dietary assessments (24 hr-recall) and blood samples were measured at 0 and 12 weeks nutrition counseling. After 12 weeks of intervention, anthropometric data (weight, BMl, body fat (%), and waist/hip ratio)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5) in all groups. Daily consumption of calori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p < 0.05) in the group of low risk and high risk. Blood level of fasting plasma gluco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01) in all groups after 12 weeks of intervention. Significantly, the fasting plasma glucose level was returned to normal range in the high risk group. The number of people who have three or more risk factors of MS (high risk group) was decreased from 25 to 12. Sum of MS Criteria decreased from 85 to 52 in the group of MS and decreased from 143 to 99 in all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utrition counseling for male workers at the worksite proved to be helpful by reducing the risk factors of MS and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Continuing and systematic nutritional manag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male workers at the worksites.

광주 지역 건강검진센터를 내원한 수진자의 인스턴트 커피믹스 섭취와 대사적 위험요인과의 연관성 (Consumption of Instant Coffee Mix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Subjects that Visited a Health Examination Center in Gwangju)

  • 김경윤;양수진;윤정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30-638
    • /
    • 2017
  • 본 연구는 2015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의 연구기간 동안 내원한 광주선한병원의 건강검진 수진자들의 인스턴트 커피믹스 섭취량을 조사하여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스턴트 커피믹스 섭취와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 중 특히 허리둘레와 혈중 중성지방 농도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인스턴트 커피믹스 섭취빈도가 증가할수록 공복혈당과 혈중 중성지방 농도가 증가하는 유의적인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에서도 1 cup/d 이상 인스턴트 커피믹스를 섭취하는 대상자에서 보정 여부와 상관없이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인 혈중 중성지방 농도가 상승하는 유의적인 연관성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인스턴트 커피믹스와 관련한 연구 조사와 선행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볼 때 건강인은 물론 지방 섭취에 주의해야 할 대상자는 섭취 커피 종류에 따른 섭취 빈도와 섭취량 조절 교육이 중요하다.

식이단백질과 급식형태가 흰쥐의 성장, 대사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Protein and Feeding Pattern on the Weight Gain, Metabolism and Body Composition of Rats)

  • 박양자;한인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5권4호
    • /
    • pp.301-312
    • /
    • 1982
  • 섭취한 식품이나 에너지를 체내에 보유하는데에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진 meal feeding급식형태를 이용하여 단백질의 종류와 수준을 달리했을 때 쥐의 성장, 단백질 및 에너지 대사,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코저 하였다. Casein과 ISP를 10, 20 및 30% 수준으로 달리하고 에너지수준을 3600 kcal ME/kg으로 동일하게구성된 실험사료를 82-100 g되는 숫쥐에게 ad libitum feeding및 1 일 2회 2시간씩 meal feeding으로 4주간의 성장시험과 대사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eal fed 시켰을때 사료섭취량은 ad libitum보다 $66{\sim}86%$로 저하되었으며, 증체량 역시 저하되었다. 그러나 casein 20%와 30% 수준에서는 ad libitum 사료섭취량의 85%에 불과했으나 동일한 증체량을 보였다. 2) 사료효율 및 에너지효율은 급식형태에 의한 통계적 유의차를 인정할 수 없었으며, 특히 casein 20%와 30% 수준에서는 사료및 에너지효율이 ad libitum 보다 me fed시켰을 때에 더 높았다. 3) 총에너지 섭취량, 가소화에너지 및 대사에너지는 ad libitum보다 meal fed시켰을 때에 약간 감소되는 경향이었고 에너지의 소화율이나 이용율은 동일했다. 4) 질소섭취량은 ad libitum보다 meal fed시켰을 때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P<0.05) 있게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질소균형과 질소보유율의 차이에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질소균형 및 보유율은 단백질 10% 수준에서는 ad libitum에서 더 높은 경향이었으나 20%와 30% 수준에서는 오히려 meal fed 시켰을때에 더 높은 경향이었다. 5 ) 7주간의 시험완료 후 도체분석에 의한 체조성은 급식형태에 의한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체지방량과 체수분량과는 음의 상관관계 (r = -0 .77)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casein의 경우, 20 % 와 30 % 수준에서 meal feeding에 의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증체의 효과, 사료및 에너지의 이용을 증진의 효과, 질소보유율 증가의 효과, 체지방 축적의 경향을 보였다. 이 같은 경향은 casein군이 ISP군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 PDF

천년초 줄기의 수확 시기 별 외관 및 성분 품질 특성 (The seasonal appearance and chemic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cladode of Opuntia humifusa)

  • 김희정;김미현;장미;임태규;홍희도;이영경;김경탁;조장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02-50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토종 선인장인 천년초(Opuntia humifusa)의 줄기를 계절에 따라 채취하여 외관 및 성분을 비교하였다. 계절별 시료 간 외형을 장축, 단축, 폭, 중량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측정, 비교하였으며, 색도를 측정하여 외관을 비교하였다. 외형은 겨울 천년초 줄기가 여름 천년초 줄기에 비해 작았고, 단축 대비 장축의 비가 겨울 1.39, 봄 1.67, 여름 1.71 순으로 나타났다. 중량 또한 여름 천년초 줄기가 평균 40.51 g으로 가장 무거웠다. 건조를 하지 않은 천년초 줄기 생시료의 수분함량은 여름 천년초 줄기가 86.86%로 가장 높았고, 유의수준에서 봄, 겨울 순으로 수분함량이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다. 색도의 경우 L값은 여름 천년초 줄기가 73.20으로 유의적 수준에서 가장 높았으며, a값과 b값은 봄 천년초 줄기가 가장 높았다. 일반성분의 함량은 여름 천년초 줄기가 조단백과 조지방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고 조회분의 경우 유의적으로 가장 높아 타 계절의 시료와 차이를 보였다. 식이섬유 함량 또한 여름 천년초 줄기가 67.18%로 가장 높았고, 봄, 겨울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그 함량이 알로에와 같은 특용작물이나 과일, 채소류, 해조류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칼슘이 4,745.09 mg%로 가장 높았고, 모든 시료가 각 항목에서 유의적으로 계절에 따른 시료의 무기질 함량차이를 보였다.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전체 합이 여름 천년초 줄기가 3,386.36 mg%로 가장 적었고, 봄 천년초 줄기가 5,463.86 mg%로 가장 높았다. 모든 시료에서 glutamic acid,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은 특징을 보였다. 유리 아미노산 또한 시료 간에 다량 함유된 유리 아미노산의 구성이 유사하였고, 구성아미노산과 유사하게 여름 천년초 줄기의 총 함량이 가장 적어 봄, 겨울의 시료와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연중 수확이 가능한 천년초의 줄기가 계절에 따라 외관특성 및 성분에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절에 따른 천년초 선인장 줄기의 외관특성은 생 천년초 줄기를 이용한 최소가공 제품류의 생산 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성분특성의 경우 기능성 식품을 포함한 가공제품의 제조 시 계절별로 차이를 나타내는 기능성분(식이섬유, GABA 등) 함량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2008~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한 45~60세 한국여성의 폐경 여부에 따른 건강인자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 Factors in 45~60 Year Old Korean Women related to Menopausal Stages - Based on 2008~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 이혜진;조광현;이경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0-462
    • /
    • 2012
  • 본 연구는 2008~200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45세~60세 중년여성의 식사의 질을 포함한 다각적인 건강 행태를 파악하고자 폐경 전 후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 신체적, 정신적, 혈액학적, 식사의 질의 특성을 분석하여 건강 요인과 폐경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조사대상자 중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에 비해 연령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 < 0.001), 교육수준(p < 0.001)과 월 소득(p < 0.01)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2) 체지방률(p < 0.001)과 허리둘레(p < 0.001)는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3) 혈액학적 지표 특성 중 혈당(p < 0.05), 총 콜레스테롤(p < 0.001), LDL-콜레스테롤(p < 0.001), 중성지방(p < 0.001), GOT(p < 0.001), GPT(p < 0.001)의 농도가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4) 삶의 질은 폐경 전 여성이 폐경 후 여성에 비해 유의적(p < 0.01)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불안/우울 정도와 스트레스 수준은 두 그룹 간 차이가 없었다. 5) 식사의 질은 평균 영양소 적정섭취비(MAR)가 0.78로 다소 낮았으며, 폐경 전 후 각 군을 비교 한 결과에서는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나이아신의 NAR 값이 폐경 후 여성에서 폐경 전 여성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 < 0.05). 6) 중년여성의 연령, 허리둘레, 체지방률, BMI는 혈당,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과 모두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폐경 후 여성의 비만도가 폐경 전 여성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중 지질 농도 또한 폐경 후 여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폐경 후 여성의 비만 및 혈중 지질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칼슘, 칼륨, 비타민 $B_2$ 등의 비타민, 무기질 영양상태가 한국인의 영양섭취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양상은 폐경 후 여성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 앞으로 기대 수명이 증가하면서 폐경 후 의 삶이 증가된다는 점에서 볼 때 폐경 후 여성의 세밀한 건강관리와 식사의 질적 보완을 위한 체계적인 건강 및 영양교육 프로그램 구축이 사회적으로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남녀 대학생의 영양소 섭취 상태와 체성분 조성의 상관관계 (A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Dietary Nutrients and Body Composition of College Students)

  • 정희정;장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378-1384
    • /
    • 2006
  • 영양소 섭취와 체성분 조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식이섭취 설문조사와 신체계측 및 체성분 조성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 중 남대생의 73.3%는 $23\sim26$세이었고, 여대생의 82.7%는 22세 이하를 나타내었다. 거주의 형태는 전체 학생들 중에서 혼자 사는 비율이 26.5%에 비해 73.5%의 학생들은 가족이나 친척 또는 기숙이나 하숙의 형태로 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스로 판단하는 건강상태에서 전 대상자 중 91.8%가 건강정도를 보통이상으로 생각하였고, 76.7%의 학생들이 건강 보조제에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의 73.3%가 시간제 일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평균 에너지는 남대생이 2,516 kcal(97%), 여대생이 1,878 kcal(89%)이었고, 탄수화물의 섭취량은 남녀 각각 104 g(18%)과 75g(16%)이었고, 지방의 섭취량은 남학생이 90.8 g(34%), 여학생이 62.2 g(30%)이었으며, 단백질섭취량은 남대생이 287.7 g(48%), 여대생이 251.8 g(54%)이었다 섬유소섭취량은 남대생이 6.44g(21%), 여대생이 5.65 g(24%)을 섭취하였고, 칼슘섭취량은 남대생이 583.9 mg(83%), 여대생이 541.7 mg(77%)이었으며, 나트륨은 남대생이 4.73 g(315%), 여대생이 4.02 g(268%)을 섭취하였다. 체성분 조성에 대한 결과는 신장에서 남대생은 67.1%가 $168\sim178cm$, 여대생은 55%가 $155\sim165$의 표준범위에 있었고, 체중에서 남대생의 35.7%가 $65.8\sim75.8kg$, 38.5%가 75.9 kg 이상에 분포하였고, 여대생은 72.8%가 $51.3\sim61.3kg$에, 23%가 61.4 kg 이상에 속하였다. 체단백질량은 남대생 94.6%가 12.5 kg 이상이었는데, 여대생은 61.6%가 표준범위 $9.0\sim10.4kg$이었고, 10.5 kg 이상이 24.7%이었으며, 체무기질량은 남대생이 3.49 kg 이하가 86.4%를 나타내었고, 여대생은 74.2%가 $2.15\sim2.4kg$이었다. 허리와 엉덩이 둘레의 비에 대하여 남대생의 66.5%가 $0.75\sim0.85$이었고, 0.86 이상이 32.1%이었으며, 여대생의 56.5%가 $0.7\sim0.8$이었고, 0.81 이상이 43.5%에 분포되었다. BMI에서 남대생은 63.3%가 $18.5\sim25$이었고, 25.1 이상도 34.8%를 나타내었으며, 여대생은 81.7%가 $18.5\sim25$에 9.4%를 나타내었다. 신체발달점수에서 남대생은 68.3%가 $75\sim85$이었고, 86 이상이 25.3%로 나타난 반면, 여대생은 표준범위가 63.6%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여대생의 나트륨 섭취는 연령과 0.082의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남대생의 복부 지방률은 연령과 0.011의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여대생의 체단백질랑은 나트륨섭취와 -0.276의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조사에 의하면 탄수화물:단백질:지방 비율이 $46\sim54:16\sim17:30$ 이상의 수준이었고, 섬유소는 권장량의 20%, 칼슘은 권장량의 $77\sim83%$, 나트륨은 권장량의 $2\sim3$배를 섭취하였는데, 이러한 섭취경향은 체성분에서 특히 남대생 94%가 체단백질량이 표준이상인 반면 남대생 86.4%가 체무기질량이 표준이하를 나타내었으며, 복부지방에서 남녀 30% 이상이 표준이상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