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education project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6초

농업인의 건강과 식생활 관리 상태 - 건강관리실 설치 마을과 일반 마을의 비교 - (Health Management and Dietary Behavior of Farmers in Korea - Comparison of Conventional Village and The Village with Health Care Center -)

  • 신영숙;김화님;이승교;박양자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32
    • /
    • 1999
  •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farmers health management for health promotion, and for checking the effect of village health care center during 1 year, 746 subjects were selected with cluster method in 8 provinces of Korea. The most frequent group was 40th of age (39%) : elementary school graduates (32%) The self-conscious of health status tested with CMI (Cornell Medical Index) questionnaire, the subjects in the village of health care center had lower health status than those of conventional village. The farmers living in the village with health care center had longer agricultural work (p<0.05) and more frequency of spraying pesticides in the fields. The subjects of living the village of health care center were frequently exercise (34%) with health appliance use methods (30%), but the duration time of exercise was similar, Dietary habits and agricultural work condition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For the fatigue recovery, steeping and bathing were most favorite methods, but exercise was lowest.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2 groups the fatigue recovering methods, the subjects of village with health care center were more doing exercise (p<0.01), less sleeping (p<0.01) than those of conventional village. The working condition of self-estimated of farmers was not good, only 8.7% was thought pleasant condition. Of the various health factors, exercise, nutrition, and working situation would be more important. Considering on farmers exercise, it was very weak point for health management. The foundation and leading of the Farmers health care center was encouraged to farmers. For more effective operations, the experts education, easy and funny exercise program, and health promotion committee for administrators would be needed. The better systemic and continuous exercise programs should develop for associating livelihood. Funding for this project provi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 PDF

대구시 나트륨 줄이기 실천음식점 종사자와 고객의 짠 음식 선호도에 따른 나트륨 저감화 실천도 및 나트륨 추정섭취량 비교 (Comparison of Sodium Reduction Practice and Estimated Sodium Intake by Salty Food Preference on Employees and Customers of Sodium Reduction Restaurant in Daegu, Korea)

  • 이수진;김건엽;이연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7-35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degree of sodium reduction practice and estimate sodium intake by salty food preference. Methods: Sodium reduction practices, salty food preferences and estimated sodium intake were surveyed for restaurant owners (n = 80), employees (n = 82) and customers (n = 727) at the restaurants participating in the sodium reduction project in Daegu, Korea. Estimated sodium intake was performed by examining sex, age, body mass index (BMI), salty eating habit and dietary behaviors. Results: The degree of sodium reduction practi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alinity meter use (P < 0.001), low salt seasonings (P < 0.001) and efforts to make the foods as bland as possible overall (P < 0.001) in the restaurants participating in sodium reduction project than in homes (P < 0.001). The degree of sodium reduction practice appeared lower in the high salty food preference group than in the low-preference group in such items as efforts to make the foods as bland as possible overall (P < 0.05) and washing the salty taste and then cooking (P < 0.05). The high-preference group showed high-salt dietary behavior, including eating all the soup until nothing was left (P < 0.05) more than the low-preference group, but low-salt dietary behavior included checking the sodium content in processed foods (P < 0 .0 5) less than the low-preference group. The high-preference group was higher in the soup and stew intake frequency than the low-preference group (P < 0.05) and much lower in nuts (P < 0.05) and fruits (P < 0.05) intake frequency. The high-preference group had a higher salty eating habit (P < 0.05), salty taste assessment (P < 0.05) and estimated sodium intake (P < 0.05) than the low-preference group.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salty food preference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lower sodium reduction practice and higher estimated sodium intake.

Habermas의 세 행동체계의 관점에서 본 한국과 미국의 고등학교 가정교과서 식생활 단원의 학습목표와 활동과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American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Based on Habermas's Three Systems of Action: Focusing on the Learning Objectives and Activities)

  • 최성연;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7-12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와 미국의 고등학교 가정교과서 식생활 단원을 Habermas의 세 행동체계에 따라 분석하여 세가지 행동체계가 교과서의 학습 목표와 활동과제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우리나라 고등학교 '기술·가정', '가정과학', 미국 고등학교 'Succeeding in life and career' 교과서에서 식생활 단원의 학습목표와 활동과제를 Habermas의 세 행동체계를 기준으로 내용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문장을 통해 맥락 파악이 명확한 것을 해당 행동체계에 상응시켰다. 분석과정에서 한 개로 묶여 있지만 학습 활동이 여러 가지로 되어있으면서 행동체계가 달리 나타나는 경우에는 2가지 이상의 행동체계가 통합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고등학교 '기술·가정', '가정과학' 교과서와 미국 고등학교 교과서' Succeeding in life and career' 식생활 단원의 학습 목표와 활동과제 수는 각각 3개, 26개, 248개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교과서는 의사소통적 행동의 비율이 '기술·가정' 교과서 66.7%, '가정과학' 교과서 5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미국 교과서는 기술적 행동의 비율이 66.5%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적 행동과 관련된 활동과제들은 음식을 만들거나, 건강이나 음식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거나, 조리 실험 등이 있었다. 의사소통적 행동과 관련된 활동과제들은 건강, 식사 예절과 관련된 역할극을 하거나, 직업 인터뷰나 설문 조사를 하여 결과를 작성하는 활동 등이 있었다. 해방적 행동과 관련된 활동과제들은 건강과 음식과 관련하여 봉사프로젝트 등 사회에 참여하는 활동이나, 식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찾아 실천적 추론을 통해서 최선의 해결방안을 생각해보는 것이 있었다.

중학교 가정과수업에서 한과를 활용한 식생활 영역 교육활동의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on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Area of Dietary Life Using Han-gwa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lass)

  • 유명숙;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7-6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가정 교과에서 한과를 활용한 식생활 영역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참여 관찰, 심층 면담, 현장 자료 등은 에믹 코딩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한과 실습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학생들은 실습에 대해 항상 긍정적이며, 맛있는 것을 먹는다는 기대감과 중학교에 들어와 처음 하는 실습에 대해 무척이나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과를 처음 접해보는 학생들이 많이 있어 한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에 대한 기대감도 높았다. 둘째, 학생들은 '한과 프로젝트를 통한 주도적인 학습 과정'을 경험하였다. 즉, 학생들은 한과에 대한 활동북을 만드는 과정에서 한과와 양과의 차이, 한과 조리의 과학적 원리 등에 대하여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일어남을 깨달았다. 셋째, 학생들은 '실습을 통한 한과의 자긍심'을 가지고 있었다. 학생들은 한과에 대해 소중히 여기고 전통을 계승해야겠다는 충분한 인식과 가치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넷째, '잠재적 교육과정 효과'가 있었다. 중학교 3년 내내 코로나를 겪으면서 대면 모둠활동을 경험하지 못했던 학생들이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가정에서도 한과를 직접 만들어보기도 하였다. 학생들이 전통한과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서 가정과교사가 적극적으로 전통 식품에 대한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에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사상의학에서 바라본 육류에 대한 이해 - 돼지고기와 닭고기에 대한 사상식품론 (Understanding Meat from the Perspectiv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The theory of Four-constitution food with pork and chicken)

  • 이운규;김종덕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0-38
    • /
    • 2009
  • 1. Objective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human beings are classified into four constitutions. Furthermore, medication and food should be taken differently based on the constitution becaus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a field where all living things are perceived from a relative viewpoint instead of a standardized one. If so, what about the animals and its meat?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cs consumed, sonsially targeting pork and chicken as they are some of the most frequently enjoyed ones with the perception of the animals by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 Methods: We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pigs and chickens through the behavior and nature of them such as morphology, sound, body temperature, taste etc and support the observed differences with medical application. 3. Results: From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 perceptive, pig is considered as Soeumche while chicken is belongs to Soyangche. Thus, pork is recommended for the SY type while chicken is preferable for the SE type. 4. Conclusions: In this paper, we are trying to suggest several categories for the evaluation of the constitution in animal, especially for pig and chicken. We hope that this is one of the framework for the understanding the animal with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 viewpoint. And also, it may useful to apply the basis what we have outlined in this paper for improving the method of raising livestock as well as the research of laboratory animals.

  • PDF

Benefits, barriers, self-efficacy and knowledge regarding healthy foods; perception of African Americans living in eastern North Carolina

  • Pawlak, Roman;Colby, Sarah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3권1호
    • /
    • pp.56-63
    • /
    • 2009
  • African Americans in the United States suffer from many health disparities such as obesity, diabetes or hypertension. Lifestyle factors including diet and physical activit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on of these health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roject was to assess beliefs, barriers and self-efficacy of eating a healthy diet and self efficacy of shopping for foods such as whole grains or foods designated as low fat or low sodium. Additionally, the objective was to assess beliefs about healthfulness, appropriate consumption, and protective aspect of specific foods including fruits, vegetables, and whole grains. The assessment was done using a survey instrument developed for this study. Data collection took place at two church locations. Data were obtained from 57 African Americans, mean age 50 years old (SD 12.70) completed the surve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58.1%) were females and most (75%) had at least some college education. Generally, benefits of eating healthy foods received considerably higher scores compared to barriers of eating healthy. A belief that healthy foods would help to take care of one's body received the highest mean score while a belief that healthy foods are too expensive had the highest score from all barriers. The results showed high self-efficacy of eating and purchasing healthy foods, high awareness of knowledge regarding foods associated with disease prevention but low awareness of recommendations for fruits and vegetables. The high scores for benefits, self-efficacy and knowledge regarding eating healthy foods did not translate into the perception of intake of such foods. Most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y do not eat enough of healthy foods. Interventions design to help African Americans make dietary changes should be culturally relevant and should involved working on a community level utilizing messages that are familiar and relevant to African Americans.

Child health promotion program in South Korea in collaboration with US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Improvement in dietary and nutrition knowledge of young children

  • Lim, Hyunjung;Kim, JiEun;Wang, Youfa;Min, Jungwon;Carvajal, Nubia A.;Lloyd, Charles W.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5호
    • /
    • pp.555-562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Childhood obesity has become a global epidemic. Development of effective and sustainable programs to promote healthy behaviors from a young age is important. This study developed and tested an intervention program designed to promote healthy eating and physical activity among young children in South Korea by adaptation of the US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Mission X (MX) Program. SUBJECTS/METHODS: Th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4 weeks of fitness and 2 weeks of nutrition education. A sample of 104 subjects completed pre- and post- surveys on the Children's Nutrition Acknowledgement Test (NAT). Parents were asked for their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two 24-hour dietary records, the Nutrition Quotient (NQ) at baseline and a 6-week follow-up. Child weight status was assessed using Korean body mass index (BMI) percentiles. RESULTS: At baseline, 16.4% (boy: 15.4%; girl: 19.2%) of subjects were overweight or obese (based on $BMI{\geq}85%tile$). Fat consump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normal BMI children ($48.6{\pm}16.8g$ at baseline to $41.9{\pm}18.1g$ after intervention, P < 0.05); total NQ sco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66.4 to 67.9 (P < 0.05); total NAT score significantly improved in normal BMI children (74.3 at baseline to 81.9 after the program), children being underweight (from 71.0 to 77.0), and overweight children (77.1 at baseline vs. 88.2 after intervention, P < 0.001). CONCLUSIONS: The 6-week South Korean NASA MX project is feasible and shows favorable changes in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al knowledge among young children.

대구시 삼삼급식소와 일반급식소의 나트륨 및 당류 저감화 실천도 비교 (Comparison of the Sodium and Sugar Reduction Practices at Samsam Foodservices and General Foodservices in Daegu)

  • 권성영;김길례;이연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0-279
    • /
    • 2021
  • 본 연구는 대구시 삼삼급식소 종사자 80명, 일반급식소 종사자 80명의 총 160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 급식소별 종사자의 짠맛과 단맛 선호도, 급식 맛 인식도, 행동변화단계, 식행동과 급식소의 나트륨 및 당류 저감화 실천도를 비교·분석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삼삼급식소 종사자가 일반급식소 종사자보다 50대 이상의 비율이 높았으며, 근무처는 삼삼급식소는 병원(43.8%)과 관공서(42.5%)의 비율이 높았고, 일반급식소는 학교(55.0%)와 산업체(31.3%)의 비율이 높았으나, 직위와근무경력은 두 급식소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짠맛과 단맛 선호도는 삼삼급식소 종사자와 일반급식소 종사자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싱겁게 먹기를 실천하거나 유지하는 단계에 있는 종사자의 비율은 더 높았다. 또한 급식의 짠맛과 단맛 정도는 삼삼급식소 종사자보다 일반급식소 종사자가 더 짜고, 더 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짜게 먹는 식행동 조사결과, 삼삼급식소 종사자는 일반급식소 종사자에 비해 '국이나 국수류의 국물을 남김없이 먹는다'는 식행동 점수가 낮았으나, 당류에 관한 식행동은 두 급식소 종사자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나트륨 저감화 실천도는 일반급식소보다 삼삼급식소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급식소 간 실천도에서 특히 차이가 큰 항목은 '음식의 간을 전반적으로 싱겁게 하려고 노력하기', '국·찌개의 국물 양을 적게 제공하기', '가공완제품을 사용하기보다 직접 조리하기', '양념해서 오래 재워두지 않고 제공 직전 양념하기', '양념의 짠맛을 줄이고 단맛, 신맛 추가하기', '김치양을 적게 제공하기', '소금, 장류 줄이고 천연조미료 사용하기' 등이었다. 5. 급식소의 당류 저감화 실천도는 삼삼급식소가 일반급식소보다 높았다. 특히 '한 끼 양념과 소스의 종류를 2가지 이하로 식단 구성하기', '첨가당 함량이 높은 식재료 많이 구매하지 않기', '양념 대신 식재료 본연의 맛을 살려 조리하기', '첨가당 함량 높은 식재료 사용 줄이기', '소스를 버무리지 않고 직접 찍어 먹도록 별도 제공하기' 항목에서 삼삼급식소가 일반급식소에 비하여 실천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 삼삼급식소는 일반급식소에 비하여 급식의 나트륨 저감화 실천도가 높았을 뿐 아니라 당류 저감화 실천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단체급식소의 나트륨 및 당류 저감화를 보다 확대하고 정착하기 위해서 국가 차원의 지원과 인센티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대전.충청지역 초.중학교 급식의 당 함량 및 급식을 통한 당류의 섭취실태 연구 (Survey on the Content and Intake Pattern of Suga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odservice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

  • 박유경;이은미;김창수;엄준호;변정아;선남규;이진하;허옥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545-155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전과 충남북 지역에서 지역별로 8개의 학교를 선정하고 각 학교당 4주간의 급식을 수거하여 842개 메뉴의 당 함량을 분석하였고, 수거된 급식메뉴에 대해 초등학교 2학년과 5학년, 중학교 2학년 남녀학생의 급식섭취량을 직접 측정하여 급식을 통한 2,806건의 당 섭취량을 산출함으로써 해당학교 및 지역의 당 섭취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였다.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lactose의 함량 합으로 구한 총 당류의 함량은 가공식품에서와 달리 학교별로 임의의 조리법에 의해 조리된 음식이므로 그 범위가 넓게 나타났다. 주식류의 당 함량은 급식 100 g당 평균 0.20 g, 부식류는 2.08 g, 후식류는 5.13 g으로 과일음료와 유제품, 과일 등을 포함한 후식류의 당 함량이 다른 군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식류 중에서는 소스류와 조림류의 당 함량이 높았다. 급식메뉴 중 가장 많은 양을 섭취하는 음식은 일품식류, 음료 및 차류, 탕 및 전골류, 찌개류 순이었으며, 주스나 식혜와 같은 음료는 정해진 규격이 있어 다른 부식류에 비해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부식류중에서는 국 종류를 제외하면 30~50 g 범위에서 찜류, 튀김류, 볶음류, 부침류, 조림류, 구이류 순으로 많이 섭취하였으나 무침.나물류와 김치류는 각각 13 g, 10 g만을 섭취하였다. 급식메뉴 중 후식류, 특히 음료 및 차류, 유제품류섭취로 인한 당 섭취량이 가장 많았으며 이들 식품은 당 함량도 높고 규격화된 중량으로 인해 섭취량도 많았기 때문이다. 일품식류는 낮은 당 함량에 비해 급식섭취량이 많아 후식류 다음으로 당 섭취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부식류에서도 조림류에 비해 당 함량이 낮은 튀김류의 급식섭취량이 많으므로 튀김류로 인한 당 섭취량이 조림류로 인한 것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식 한 끼니를 통한 당 섭취량은 평균 4.22 g으로, 학년이 높을수록 급식섭취량과 함께 끼니당 당의 섭취량도 많아 중학생이 5.31 g, 초등학생이 4.03 g을 섭취하였으며, 성별이나 수거시기에 의한 차이는 크지 않았다. 학교급식을 통한 한 끼니의 당 섭취량은 열량섭취량을 기준으로 정한 한국인 총 당류 섭취기준이나 한국인영양조사 결과의 하루 총 당류 섭취량의 10분의 1 이하 수준으로, 한 끼니 해당량으로서도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과일주스, 식혜 등의 음료나 요구르트 등의 당 함량이 높은 식품이 제공되거나 이러한 후식류가 일품식류와 함께 제공되어 한 끼니당 당의 섭취량이 높은 급식일이 없도록 하는 데에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