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education activity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35초

청소년의 비만과 관련된 요인 분석 및 관련 요인의 변화에 대한 단면조사연구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이용하여-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 obesity and changes: a cross-sectional study based on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 이보라;류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363-375
    • /
    • 2023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 obesity, as well as any new factors that correlated with a change in the rate of obesity over time. Methods: The study used 5-yearly data collected by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starting from the year 2006 up until 2021 (data from 2nd, 7th, 11th, and 17th surveys were analyzed). Factors such as demographics, dietary factors, health behavioral factors, and mental health factors were studied.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7.0, employing chi-square test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is study included data from a total of 255,200 participants. Factors contributing to obesity varied with time. Over the survey duration of 15 years, low academic achievement, parents with low levels of education, low frequency of fruit consumption, low frequency of fast food intake, long periods of being seated, and high levels of stres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high rate of obesity. Factors that showed a new correlation with an increase in obesity rates included living with single parents, low frequency of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and experiencing intense sadness and despair in the past year. Factors that were correlated with a change in obesity rates over time included household economic status, frequency of carbonated beverage consumption, frequency of intense physical activity, and frequency of alcohol consumption. Breakfast intake and smoking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besity rates in the 15-year period. Conclusions: While several factors associated with obesity remained consistent over time, several new factors have emerged in response to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changes contributed to a change in obesity rate over time. Therefore, to prevent and manage adolescent obesity, continuous research into the new emergent factors contributing to obesity is needed.

과체중과 비만 여성의 HbA1c 지표에 따른 당뇨병 예방을 위한 영양상담의 효과 (Benefits of Nutrition Consultation for Preventing Diabetes According to HbA1c Levels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 권용진;선우섭;문황운;박유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9권2호
    • /
    • pp.112-123
    • /
    • 2013
  • HbA1c was recently adopted as a reliable indicator for screening diabet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bility of nutrition consultation to prevent diabetes in overweight women (BMI 23 $kg/m^2$ or more) using HbA1c as an indicator. Twenty overweight and obese women (with $HbA1c{\geq}5.7$%) completed the 12-week nutritional study, with individual and personalized nutrition counseling performed every 2 weeks. The main study guidelines involved the following: 1) reducing the intake of high fat foods and alcohol, 2) consuming a large amount of vegetables, 3) reducing the intake of simple sugars and empty-calorie foods, and 4)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to ${\geq}30$ min/day. Anthropometric (height, weight, BMI, body muscle (kg), body fat (%), waist and hip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and biochemical parameters (fasting blood sugar (FBS), HbA1c, lipid profiles, hs-CRP)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 consultation. After 12 weeks, the HbA1c<5.7% group had significant decreases in BMI, WC, HC, WHR, HbA1c, hs-CRP and also dietary intake of energy (P<0.01), carbohydrates, lipids (P<0.01), proteins (P<0.01) and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the HbA1c ${\geq}5.7$% group, HbA1c, TC, LDL, NON-HDL, hs-CRP and dietary intake of energy, carbohydrate, lipid, protein, and cholesterol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nutrition consultation effectively helps to prevent diabetes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after applying HbA1c standards. Overall, the improvement in all markers measured suggest that HbA1c is a good indicator for blood glucose regulation, helping to prevent diabetes.

아동·청소년의 BMI에 따른 식생활습관 및 인식 연구 (According to the BMI of Children and Adolescents, Eating-Lifestyle Habits, and Recognized Study)

  • 이여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65-27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청소년의 비만실태에 따른 식생활습관의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시행한 용역연구과제중 '2009 한국 아동 청소년 온라인게임 및 가족여가활동실태조사' 연구결과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활용 대상자는 초등학생 2,778명, 중학생 3,385명, 고등학생 3,299명 총 9,4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BMI에 따라 그룹화 하였다. 저녁식사 후 간식 섭취는 18.5>BMI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38.8%, 18.5${\leq}$BMI<23.0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41.1%, 23.5${\leq}$BMI<25.0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40.1%, $25{\leq}BMI$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37.4%로 가장 높은 응답을 하였다(p=0.001).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지 조사한 결과 BMI 지수가 높은 그룹 일수록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시간 등과 같은 시간에 적극성을 조사한 결과 BMI 지수가 낮은 그룹 일수록 적극적으로 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위사람과의 식사 속도 역시 BMI 지수가 높은 그룹일수록 식사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 청소년 시기에 올바른 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해 준다면 보다 건강하고 윤택한 삶을 영유할 수 있을 것이다. 아동 청소년기의 올바른 인식과 생활습관을 갖추도록 해주어 보다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도록 해 주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동 청소년은 물론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

어린이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를 이용한 제주 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 상태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using nutrition quotient)

  • 부미나;조수경;박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4호
    • /
    • pp.335-343
    • /
    • 2015
  • 본 연구는 '어린이 영양지수 (NQ)'를 활용하여 제주지역 일부 초등학교 5~6학년 440명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식습관과 영양 상태를 진단, 평가하였고 전국 6대 광역시 거주 아동들의 결과와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NQ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특성 요인과 영양교육 관련 요인에 대해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제주 지역 아동의 평균 NQ 점수는 100점 만점에 60.3점이고, 영역별로는 균형 56.6점, 다양 68.4점, 절제 71.3점, 규칙 57.4점, 실천 54.8점으로 절제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영양불량을 진단하는 기준치에 해당하였다. 둘째, NQ점수를 바탕으로 5개의 등급으로 구분한 결과, '불량' 19.8%, '약간 불량' 18.6%, '보통' 45.0%, '우수' 10.7%, '최우수' 5.9%의 분포를 보였다. 셋째, NQ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 및 생활습관 특성을 분석한 결과, 운동을 더 많이 하는 아동일수록, 가족과 함께 자주 식사할수록,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NQ 점수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가족 구성원의 수와 어머니의 직장여부에 따른 NQ 평균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평소 영양교육에 관심이 많다고 응답하였거나, 영양교육 받은 내용을 실천한다고 응답하는 대상자들이 NQ 등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제주지역 아동들의 평균은 전국 6개 광역시, 경북지역, 대구지역 아동의 평균인 각각 67.4점, 62.2점 62.3점과 비교하여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다섯 가지 영역별 NQ 점수에서도 전반적으로 저조한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다양 요인과 실천 요인은 매우 낮은 결과를 보여 제주지역 아동들의 식습관 및 식생활 개선이 시급한 사안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제주지역 아동들에게 올바른 식습관 형성과 긍정적 영양상태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영양 교육의 확대 및 강화뿐만 아니라 제주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 높은 맞벌이 부부의 비율, 낮은 가족 식사 동반율 등을 고려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영양교육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유아의 채소편식 감소와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컬러푸드 원예활동 (Horticultural Activities Using Colorful Food for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Reduction of Unbalanced Vegetable Diet of Young Children)

  • 손효정;송종은;손기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5호
    • /
    • pp.772-783
    • /
    • 2015
  • 본 연구는 컬러푸드 채소류를 활용한 원예활동과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채소편식을 감소시키고 정서지능을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컬러푸드 채소류 원예활동은 유치원 7차 교육과정의 건강생활영역을 기초로 하여 영양교육의 요소들을 적용하였고, 유아의 지속적인 식습관의 개선과 효과를 위해 가정과 연계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합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4세반 유아들로 총 7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은 컬러푸드 채소류 원예활동과 영양교육을 실시하였고, 영양교육군은 영양교육만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원예활동과 영양교육 모두를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기간은 2011년 9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12회 실시하였다. 유아용 영양지식검사 결과는 대조군에 비해 영양교육군과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의 영양지식은 향상되었으며, 특히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에서 더욱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편식행동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채소선호도에서도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은 채소류의 선호도 증가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정서지능에서는 하위항목인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에서 자기인식과 타인인식에서는 대조군, 영양교육군과 원예활동 영양교육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자기조절에서 대조군에 비해 영양교육군과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의 점수가 높았지만, 영양교육군과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의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타인조절에서는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이 영양교육군 보다 매우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영양교육만을 실시한 유아들 보다 원예활동을 실시한 유아들이 채소와 과일의 색에 자연스럽게 반응하고 즐거워하는 정서적 감성과 컬러푸드 채소를 직접 키워보는 원예활동을 통해 자발적인 섭취를 하게 되어 채소편식이 감소되는 결과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연구의 컬러푸드 채소류 원예활동은 채소 편식으로 인한 유아의 건강의 불균형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대학생의 성격요인과 식습관 및 건강관련행태 (Food habits, health behaviors related to the personality in Korean college students)

  • 김나현;김진희;계승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1호
    • /
    • pp.13-2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 5요인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 신경증)에 따른 식습관, 건강관련행태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도 성남지역 대학생 남녀 337명을 대상으로 NEO 성격검사 (NEO-II test)를 실시하고 식습관 및 건강관련행태를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은 전체 337명중 남자 133명, 여자 204명이었으며, 연령은 남자의 경우 평균 21세, 여자의 경우 평균 20세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성격요인별 점수를 분석한 결과 남자의 경우 여자에 비해서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 점수가 더 높았고, 여자는 신경증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자의 경우 외향성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 인스턴트·패스트푸드 섭취는 0.20(95% CI, 0.06-0.66), 채소반찬은 3.02 (95% CI, 1.05-8.64)이었으며, 친화성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서 과일 섭취는 0.29 (95% CI, 0.10-0.84)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경우 신경증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 고콜레스테롤 음식 섭취는 3.03 (95% CI, 1.06-8.67)로 분석되었다. 여자의 경우 개방성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 탄 생선·고기 섭취는 4.99 (95% CI, 1.57-15.81), 동물성 지방의 섭취는 0.30 (95% CI, 0.13-0.68)이었으며, 음식 섭취시 영양적 균형 고려는 3.16 (95% CI, 1.24-8.01)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성실성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서 탄 생선·고기 섭취는 0.35 (95% CI, 0.13-0.89)이었으며, 음식 섭취시 영양적 균형성을 고려하는 정도는 2.72 (95% CI, 1.01-7.33)으로 분석되었다. 조사대상자의 건강관련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각 성격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자의 경우 개방성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 신체활동은 3.04 (95% CI, 1.36-6.79)이었으며, 신경증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 흡연은 4.82 (95% CI, 1.90-12.22), 충분한 수면 정도는 0.33(95% CI, 0.13-0.85)으로 분석되었다. 여자의 경우 외향성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서 흡연은 4.00 (95% CI, 1.25-12.83)이었으며, 친화성 점수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 신체활동은 3.04 (95% CI, 1.04-8.8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성별로 성격요인에 따라 식습관, 건강관련행태의 차이를 보였으며, 일부 성격요인별 식습관의 분석결과에서는 외국의 연구결과와 상이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개인 성격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영양상담이 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국내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결과의 축적이 요구되는 바이다.

부산지역 일부 노인들의 신체조성, 신체활동수준, 기초대사량 및 에너지소비량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dy Composition, Physical Activity Level, Basal Metabolic Rate, and Daily Energy Expenditure of Elderly in Busan)

  • 임화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8-189
    • /
    • 2016
  •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assess body composition, physical activity level (PAL), basal metabolic rate (BMR), and daily energy expenditure (DEE) and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PAL and body composition, BMR, and DEE of elderly in Busan.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mong 226 elderly aged 65-93 years.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by Inbody 720. PAL was calculated by daily activity diary. BMR was calculated by Harris-Benedict (H-B) formula,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 formula, and Inbody 720 measurement. DEE was calculated by H-B formula, DRI formula, Inbody 720 measurement, and estimated energy requirements (EER) formula. Results: The mean fat free mass (FFM) in elderly m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elderly women (p<0.001). The mean percent body fat and fat mass (FM) in elderly women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elderly men (p<0.001, p<0.001). The mean PAL in elderly men (1.59)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elderly women (1.53) (p<0.001). The mean DEEs calculated by 3 methods except for H-B formula in elderly men were higher than EER for elderly men (2000kcal). The mean DEEs calculated by 4 different methods in elderly women were higher than EER for elderly women (1600kcal). Ag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height (p<0.001, p<0.001), FFM (p<0.001, p<0.001), BMRs calculated by H-B formula (p<0.001, p<0.001), DRI formula (p<0.001, p<0.001) and Inbody 720 measurement (p<0.05 p<0.01) and DEEs calculated by H-B formula (p<0.001, p<0.001), DRI formula (p<0.001, p<0.001), Inbody 720 measurement (p<0.05, p<0.05), and EER formula (p<0.001, p<0.001) in elderly men and elderly women. PAL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FFM (p<0.05), BMR by Inbody 720 measurement (p<0.05) in elderly men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FM (p<0.05) in elderly wome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PAL was associated with greater FFM in elderly men and lesser FM in elderly women. Therefore, nutritional education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promotion in late life is needed in the elderly.

대구시 일부지역 중학생들의 건강관련 위험행동과 관련요인조사 (Youth Risk Behavior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Metropolitan City)

  • 이중정;이충원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1-72
    • /
    • 2002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health-related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get fundamental research data essential to provide efficient student guidance and public health service at school. The interview using Youth Risk Behavior Surveillance System(YRBSS). Translation and modification for Korean students of the YRBS. The Korean version of YRBS(Youth Risk Behavior Surveillance System) that translation and modification for Korean students of the YRBS developed by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was used to assessment to health-related behaviors of youth. The interviewees were 1040 enrolled students at middle school in Daegu metropolitan city. YRBSS monitors six categories of priority health behaviors among youth and young adults behaviors that contribute to unintentional and intentional injuries; tobacco use; alcohol and other drug use, sexual behaviors that contribute to unintended pregnancy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STDs)(including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unhealthy dietary behaviors; and physical activity. The result shows that over 30% of students rarely or never used safety belt and almost students were rarely or never wore a bicycle helmet. During the 12 months preceding the survey, 21.9% female students had felt so sad or hopeless almost every day for $\geq$ 2weeks in a row that they stopped doing some usually activities 20.5%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have ever tried cigarette smoking. 26.2% of male students and 27.2% do female students had had over one drinks of alcohol during their lifetime(lifetime alcohol use). 47% of male students had had over one drinks of alcohol on $\geq$ 1 of the 30 days preceding the survey(current alcohol use). Over one half of female student were thought they were overweigh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risk behaviors be very prevalent in a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iority health-risk behaviors, which contribute to the leading cause of mortality and morbidity among youth and adult, often are establish during middle school age, extend into adulthood, are interrelated. Among both children and adults, the leading causes of death are closely linked to these behaviors. Among adults, chronic disease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 cancer, and diabetes are the national leading killers. Practicing healthy behaviors, such as eating low-fat, high-fruit-and-vegetable diets, getting regular physical activity, and refraining from tobacco use, would prevent many premature deaths. Because health-related behaviors are usually established in childhood, positive choices need to be promoted before damaging behaviors are initiated or become ingrained.

저열량균형식, 운동 및 행동수정에 의한 비만여성의 치료에 관한 연구 (Treatment of Obese Women with Low Calorie Diet, Aerobic Exercise and Behavior Modificaiton)

  • 장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0-516
    • /
    • 1995
  • 체지방이 30% 이상으로 비만이라 판정되는 20~62세의 지원자들에게 저열량 균형식, 무리하지 않은 유산소 운동 및 개인별 비만의 원인을 교정하고 평생체중을 조절하기 위한 영양상담과 교육을 포함한 행동수정을 통해 5주 동안 비만을 치료하고 성인병과 관련된 위험 요인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활동량, 식습관,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여 개인별 비만의 원인을 진단한 후 잘못된 식생활을 교정할 수 있도록 주 3회의 영양상담과 매주 1회의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식이요법은 1일 1끼의식사와 3회의 조제식이를 통해 열량이 1200kcal 정도가 되고, 양질의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은 성인 권장량의 100~150% 이상이 되도록 하였다. 식전에 식이섬유와 물을 복용하고 식사 기간은 20분 이상으로 천천히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투긴음식, 가공식품, 패스트 푸두, 술, 청량음료, 달고 기름진 음식, 짜고 자극적인 음식 등은 제한하였다. 주당 3~5일간 1시간 정도의 가벼운 유산소 체조를 실험대상자 저원이 모여서 실시하였다. 먹은 식품, 활동, 운동, 감정상태, 피로여부 등을 일지로서 기록하게 하여 삼담을 통해 교정하고 관찰하여 긍정적인 내적동기를 갖도록 교육하였다. 비만치료 기간 중 탈락한 수는 총 16명 중 5명 (31.3%)이었으며, 비만도는 대상자의 대부분이 경증이고, 불규칙적인 식사, 빨리 먹는 습관, 과식, 짜게 먹는 습관, 야식, 음주 등의 비만의 원인이 되는 습관들을 가지고 있어 식습관 점수는 개선이 요구된다고 진단되었다. 5주동안의 비만치료로 체중은 평균 4.8kg(주당 0.96kg)이 감량 되었으며, 체지방, body mass index, 허리, 팔, 둔부의 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압, 공복시의 혈당, 혈액증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은 변화가 없었으나, LDL-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 PDF

사회인지론과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저소득층 아동 대상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Low-income Family Children by applying the Social Cognitive Theory and Health Belief Model)

  • 이샛별;정유리;안효진;안민지;유수아;강남이;오세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5-177
    • /
    • 2015
  • Objectives: Based o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low-income children, we developed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ccording to effective use in social welfare centers. Methods: We conducted in-depth group interviews to assess program needs in 28 participants, 10 low-income school-aged children and 9 of their care givers, 9 social workers and 9 care-givers. Theoretical backgrounds of our program were heath belief model and social cognitive theory considering motivation, action an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Resul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qualitative study, we developed major program themes and contents. Five selected key themes were 'balanced diet', 'processed food', 'food hygiene and safety', 'Korean healthy traditional diet', and 'family cooking' to induce changes in dietary behaviors. Main findings of in-depth group interviews included 'child's active participation', 'simple and easy to understand messages',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such as a lack of child care at home, limited budget of social welfare centers, and less qualified educators for nutrition and health. Each lesson was constructed as a 1-hour program particularly emphasizing activity-based programs, including cooking and teamwork exercises. Program contents in each session consisted of activities that could induce outcome and value expectations, self-efficacy,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and cues to actions regarding diet behavior. Conclusions: We developed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that is rarely available for low-income children in Korea, considering theoretical bas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validate our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