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condition

검색결과 475건 처리시간 0.026초

명월초 가루를 첨가한 우육 소시지의 최적화 연구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Sausage with the Addition of Gynura procumbens)

  • 박영일;정희선;주나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95-40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명월초 우육 소시지를 개발하여 품질특성 및 관능적 특성의 최적화를 통하여 생리활성을 갖는 식품 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우육 소시지로서의 식품 개발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하였다. 1. 명월초 우육 소시지의 제조를 위하여 명월초 분말과 올리브유(B)의 양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Design-Expert version 8 프로그램(Stat-Ease, Inc.)을 이용하여 실험을 설계하고 결과를 분석한 후 명월초 우육 소시지의 최적 배합 비율을 도출하였다. 2. 명월초 우육 소시지의 이화학적 실험결과 염도(p<0.01)와 수분함량(p<0.001)의 항목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명월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와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나 염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올리브유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였고, 수분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고, 염도는 크게 감소하다가 조금 증가하였다. 3. 명월초 우육 소시지의 기계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가열감량, 색도(명도, 적색도, 황색도)와 조직감(경도, 부착성, 탄력성, 씹힘성, 검성, 응집성)을 측정하였다. 가열감량(p<0.01), 색도 중 a값(p<0.01), b값(p<0.05)의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조직감에서는 씹힘성(p<0.001)과 응집성(p<0.01) 항목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명월초 우육 소시지의 부착성, 씹힘성, 검성, 응집성은 올리브유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크게 감소하였고, 씹힘성과 검성은 명월초 분말에 비해 올리브유의 첨가량이 큰 영향을 받았다. 4. 명월초 우육 소시지의 관능적 최적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색, 풍미, 맛, 부드러움,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의 관능검사 분석 결과 색(p<0.05), 풍미(p<0.05), 부드러움(p<0.05), 조직감(p<0.01), 전반적인 기호도(p<0.01) 항목에서 유의적인 결과를 나타내어 모델의 적합성이 인정되었고 맛에 대한 기호도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모든 항목에서 명월초 분말과 올리브유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다가 일정 시점 이후로 감소하였다. 5. 명월초 우육 소시지의 최적화는 독립변수인 명월초 분말(A)과 올리브유(B)의 범위 내에서 관능검사 항목 중 유의적으로 나온 결과만을 최대로 설정하여 모델화에 의해 결정된 반응식을 이용하여 만족하는 수치점을 예측한 결과, 명월초 분말 2.1 g, 올리브유 7.06 g으로 명월초 우육 소시지의 최적 배합 비율로 산출되었다.

남일벼 돌연변이 후대 분질계통, Namil(SA)-flo1의 건식제분 적합성 평가 (Evaluations on the Namil(SA)-flo1, a Floury Japonica Rice Line, for Dry Milling Process to Produce Rice Flour)

  • 정지웅;신영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7-63
    • /
    • 2011
  • 본 연구를 통하여 조생 다수성 벼 품종인 남일벼의 돌연변이 후대계통으로 'Namil(SA)2652-RGA-l-l-l-l'의 계보를 지니며 Namil(SA)-flo1로 명명된 분질계통의 건식제분 적성과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과 호화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배유절단면의 전자현미경 관찰결과 원품종인 남일벼는 배유절단면이 부드러우며 다변각의 전분립들이 치밀하게 배열된 반면 Namil(SA)-flo1은 원형모양의 전분립들이 매우 성기게 배열되어있었다. Namil(SA)-flo1의 작물학적 특성은 남일벼와 유사하였으나 등숙비율과 천립중이 낮았으며 이러한 특성은 백미수량 감소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조직분석기들 이용한 곡립경도측정 결과 Namil(SA)-flo1는 3,417 g으로 남일벼 (7,526 g)의 45% 수준으로 매우 낮았다. 건식제분기인 Buhler 제분기를 이용해 동일조건에서 생산된 쌀가루들에 대한 입도분석결과 Namil(SA)-flo1는 평균 $86.1{\mu}m$로서 원품종인 남일벼 ($109.1{\mu}m$)는 물론 화성벼($112.2{\mu}m$)나 설갱벼 ($97.6{\mu}m$)보다 매우 고운입자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건식제분에 의한 쌀가루의 손상전분량 역시 Namil(SA)-flo1가 5.1% 수준으로 남일벼 (9.2%), 화성벼(10.3%) 및 설갱벼(7.1%) 보다 매우 낮아 Namil(SA)-flo1의 높은 건식제분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Namil(SA)-flol에서 생산된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과 호화특성은 원품종인 남일벼의 고유한 특성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조피볼락(Sebastes schligeli)에 있어 사료내 단백질 사료원으로서의 어분대체품 (Fish Meal Analog as a Dietary Protein Source in Kor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김강웅;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3-151
    • /
    • 1997
  • 본 연구는 조피볼락 사료에 있어서 어분대체품을 결정하고, 상품어분대체품과 유인물질의 첨가 효과를 통하여 조피볼락용 어분대체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도 사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사료는 조단백질 52%로, 가용성 에너지 16.8 KJ/g으로 설계되었고, 주단백질원으로 북양어분, 어분대체품 및 상품어분대체품을 사용하였다. 사료의 성분조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사료1, 100%FM (control) ; 사료2, 60%FM : 40% CFMA ; 사료3, 60%FM : 40% CFMA+ATT ; 사료 4, 80%FM : 20% FMA ; 사료5, 80% FM: 20%FMA+ATT : 사료 6, ; 사료6, 60%FM : 40%FMA+ATT; 사료7, 40%FM : 60% FMA+ATT. 어분대체품은 혈분(BM), 오징어간분(SLP), 육골분(MBM), 수지박(LM), 가금부산물(PBP), 우모분(FM), 필수아미노산(Met, Lys, Ile) 등을 적절히 배합하여 제작 사용하였다. 성장률, 사료효율, 일간성장률 및 단백질효율에 있어서 사료 1은 사료 4, 사료 5 및 사료 6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P>0.05), 나머지 실험구들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특히, 상품어분대체품(CFMA)인 사료 2와 사료 3은 실험사료로 제작된 동일한 수준의 사료 6과 비교하여 성장률, 사료효율, 단백질효율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0.5% 유인물질을 첨가한 사료 3과 5는 사료 2와 4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P>0.05), 간중량지수, hemoglobin 및 비만도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따라서, 조피볼락에 있어서 어분대체품(FMA)으로 어분단백질을 40%정도 대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정상 남자 아동과 비만 남자 아동의 철 영양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of Iron in Korean Normal and Obese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승아;배윤정;승정자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2권1호
    • /
    • pp.55-6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ood behavior and nutrient intakes, and the analysis of constituent parts of blood related to iron nutrition conditions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iron nutrition conditions and obesity. Each subject was assigned to one of such as normal(n=55) and obese groups(n=60) according to their obesity index. Their nutritional status, serum iron status were evaluated based in 24-hr dietary recalls, questionnaire and blood analysis. The mean age of the normal group(10.76 years) and that of the obese group(10.95 years) made little difference. The height(p<0.05), weight(p<0.001), and obesity index(p<0.001) in the obese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l group in every respect. The 63.55% of the subject of this study gave an answer 'They eat breakfast daily', and the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made little difference. The average intakes of energy were 1669.44 kcal(84.19% of EER) in the obese group and 1673.59 kcal(86.72% of EER) in the normal group respectively, which made littl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intake of nutrients such as calcium and folate was as insufficient as below 75% of RI. The heme iron intake of the obese group was low that of the normal group(p<0.05). Among the major 20 iron resources the iron intake through animal food intake were 1.43 mg(12.00%) in the obese group and 1.93 mg(17.72%) in the normal group respectively. The rating of iron condition in the blood showed that the number of red blood cell(p<0.01), the hemoglobin(p<0.001), and hematocrit(p<0.01) of the obese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norma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the right choice of food according to its bioavailability and nutritive guidance to appropriate food behavior, in addition to increasing iron intake to improve iron nutrition conditions of obese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PDF

유 성분 분석을 통한 젖소 영양상태 및 개체관리에 관한 연구 (Study of nutritional status and management of lactating dairy COWS using analysed milk composition)

  • 이성모;김동원;최병렬;서강문;홍종해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43-252
    • /
    • 2001
  • Milk constituents and somatic cell count (SCC) were analysed for 4,059 milk samples from 178 dairy farms from April to December in 1999. Correlations among each milk constituents, milk urea (MU) concentration and SCC in association with lactation stage, milk yield and parity, and balancing status of nutrients' supplies were analysed,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verages of milk fat percent, total solids percent and milk yield were $3.72{\pm}0.91%$, $12.50{\pm}1.31%$ and $23.80{\pm}8.54kg$, respectively, whereas those were significantly lower during the summer season. In contrast, average of MU concentration was $0.0361{\pm}0.0006%$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during the summer season. With milk yield, concentrations of fat, protein and SCC in milk decreased but concentrations of lactose and urea in milk and body condition score (BCS) were not altered. Concentrations of fat, protein, lactose, total solids, SNF, and urea in milk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tage of lactation ($P{\leq}0.0001$) but SCC was not changed. Parity of dairy cow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centrations of fat ($P{\leq}0.02$), lactose ($P{\leq}0.0001$), total solids ($P{\leq}0.002$), and SNF ($P{\leq}0.0001$) in milk and milk yield ($P{\leq}0.0005$) but did not change concentrations of urea and protein in milk. Somatic cell count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hip with percentages of fat, protein and total solids ($P{\leq}0.0001$), respectively, but had negative correlationship with percentages of urea and lactose in milk and milk yield ($P{\leq}0.0001$). Milk urea concent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ncentrations of protein, fat, total solids, and SNF in milk and milk yield ($P{\leq}0.0001$) and,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using milk urea concentration and SCC, following equation was obtained; $Y(MU)=3.688{\times}10^{-2}-4.04{\times}10^{-7}{\times}X(SCC{\times}1,000)(r^2=0.0038$, $P{\leq}0.0001$). We studied balance between protein and energy supplies to dairy cows in each farm based upon milk urea and protein concentrations, and results showed that 137 of total 178 farms fed cows unbalanced amounts of dietary protein and energy.

  • PDF

Chlortetracycline(CTC)의 사료 첨가가 돼지의 생산성과 호흡기 병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hlortetracycline on productivity and respiratory disease in pigs)

  • 권영방;이원형;이완규;강종구;정영철;김성훈;한병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45-360
    • /
    • 2000
  • The effects on CTC (T1) and CTC, Sulfathiazole and Penicillin Combination (T2) medication in feed through one life cycle of pigs, namely, weaning, mating, farrowing, lactation, growing, finishing and slaughter, were tested under local condition. In sow phase, productivity and the number of microflora in urine before and after medication of CTC were studied and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rate were checked during growing and finishing period. All pigs reached at 155 days old were slaughtered for pathological examination. 1. Litter size, farrowing rate and survival rate at birth were improved by CTC medication from weaning to 21th day after mating and mortality of piglet at weaning, 25 days after farrowing, was reduced in the CTC medication group, but no siginificant. 2. The number of microflora in the sow urine was changed with the medication at 200ppm of CTC in feed. In particular, the number of E coli, Samonella and Staphylococci were reduced by CTC medication. 3. The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rate of grower and finisher pigs was improved significantly in both treated groups, most in the high level CTC (T1) medicated group and was lowest in the control group. 4. The number of infected lungs was reduced not significant by both treatments (as % pneumonic lesions Co 66.7%, T1 47.1%, T2 31.4%) and the severity of lung lesions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both high level of CTC and CTC combination medication in feed. 5.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atrophic rhinitis based on turbinate scores among the 3 groups, the number of mild and moderate (Grade 2 and 3) infections was higher in the control group (9/36) than in the treated groups (T1 2/34 & T2 4/35).

  • PDF

서울 지역 고등학생의 영양소 섭취와 체위 및 혈액성상 (A Study on Nutrient Intake, Anthropometric Data and Serum Profil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 이현숙;김보은;조미숙;김화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89-596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hropometric data, serum profiles, and nutrient intakes of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living in Seoul. Anthropometric data showed that mean height and weight were 174.1 cm and 66.6 kg in 99 male and 161.4 cm and 54.0 kg in 116 female students. Mean BMl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21.9 and 22.3 kg/$m^2$, and subjects with BMI > 25 kg/$m^2$ were 14 and 7%, respectively. Total cholesterol, HDL- and LDL-cholesterol of subjects were 149.6$\pm 3.1,\; 46.4 \pm 1.3,\; 86.4 \pm 2.3$,/TEX> mg/dl for males and 169.2 $\pm 3.1,\;50.7 \pm 1.0,\; 100.9 \pm 2.7 mg/dl$ for females, respectively. Hemoglobin (Hb) and 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 were 12.8 $\pm 0.1 g/dl, \;437.3 \pm 7.2\mug/dl\; in\; male\; and\; 11.9 \pm 0.1 g/dl,\; 439.4 \pm 5.7\mug/dl$ in female, respectively. Based on Hb classification, 45.6% of male and 45.0% of female students fell into anemic condition. Intakes of energy, Ca, Fe, Zn, riboflavin, and folate were below the Korean RDA. In particular Ca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64.6 and 64.3% RDA) and Fe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78.6 and 64.3% RDA) intakes were extremely low. Serum triglyceride was positive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eight (r =0.22), BMI (r =0.279), waist circumference (WC, r =0.235), triceps skin-fold thickness (TSF, r =0.197) and obesity index (OI, r =0.279). Hb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ight (r + 0.387), weight (r =0.349), BMI (r =0.191) and waistlhip ratio (WHR, r =0.380).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profiles and nutrient intakes, the Hb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nergy (r =0.163), protein (r =0.149), Na (r =0.153), vitamin A (r =0.165), thiamin (r =0.201) and niacin (r =0.192, p < 0.01).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prevalence of Ca and Fe deficiency of student is high and dietary guideline for prevent anemia in this age needs to contain the adequate intake of energy and its related vitamins.

Bacillus pumilus RS7에 의한 난분해성 케라틴 분해효소의 생산 및 아미노산 공급원으로서 우모 분해산물 (Production of Keratinolytic Protease by Bacillus pumilus RS7 and Feather Hydrolysate As a Source of Amino Acids)

  • 우은옥;김민주;손형식;유은연;정성윤;손홍주;이상준;박근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0호
    • /
    • pp.1203-1208
    • /
    • 2007
  • Feathers are produced in huge quantities as a waste product at commercial poultry processing plants. Since feathers are almost pure keratin protein, feather wastes represent an alternative to more expensive dietary ingredients for animal feedstuffs. Generally they become feather meal used as animal feed after undergoing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s. These processes require significant energy and also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s. Therefore, biodegradation of feather by microorganisms represents an alternative method to prevent environment contamin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ultural conditions affecting keratinolytic protease production by Bacillus pumilus RS7. We also assessed the nutritive value of microbial and alkaline feather hydrolysates, The composition of optimal medium for the keratinolytic protease was fructose 0.05%, yeast extract 0.3%, NaCl 0.05%, K2HPO4 0.03%, KH2PO4 0.04% and MgCl2 6H2O 0.01%, respectively. The optimal temperature and initial pH was $30^{\circ}C$ and 9.0, respectively. The keratinolytic protease production under optimal condition reached a maximum after 18 h of cultivation. Total amino acid content of feather hydrolysates treated by NaOH and B. pumilius RS7 was $113.8\;{\mu}g/ml$ and $504.9\;{\mu}g/ml$, respectively.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of feather hydrolysates treated by NaOH and B. pumilius RS7 was $47.2\;{\mu}g/ml$ and $334.0\;{\mu}g/ml$, respectively. Thus, feather hydrolysates have the potential for utilization as an ingredient in animal feed.

배합사료에 미역, 어보산 및 고추냉이 첨가가 넙치 치어의 성장, 체성분, 혈액성상 및 비특이적 면역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upplemental Undaria, Obosan and Wasabi in the Experimental Diets on Growth, Body Composition, Blood Chemistry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박상언;권문경;이윤호;김경덕;신일식;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10-215
    • /
    • 2003
  • 넙치 치어 배합사료의 첨가제로서 미역 분말, 어보산 및 고추냉이의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평균 체중 8.4g 의 넙치를 각 수조마다 30마리씩 3반복으로 수용하여 미역 분말, 어보산 및 고추냉이를 첨가한 6종류의 사료로 8주간 사육하였다. 생존율은 모든 실험구가 95% 이상이었으며, 증중량과 사료효율은 어보산 첨가구가 가장 높았지만 미역 분말 10% 첨가구를 제외한 타 실험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일사료 섭취율은 미역분말 10%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P<0.05). 단백질효율은 어보산 첨가구가 미역 분말 첨가구 및 고추냉이 줄기 첨가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지만(P<0.05), 대조구 및 고추냉이 잎 첨가구와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비만도는 어보산 첨가구가 가장 높았지만 미역 분말 10% 첨가구를 제외한 타 실험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간중량 지수는 미역 분말 첨가구가 타 실험구에 비해 낮았다(P<0.05).실험 종료시 전어체의 수분, 단백질, 지질 및 회분함량은 모든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의 수분 함량은 미역 분말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반면, 지질 함량은 가장 낮았다(P<0.05). 혈액 성상 및 혈청 성분은 사료의 첨가제에 따른 특별한 변화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혈청 라이소자임 활성은 미역 분말 5% 및 어보산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식세포의 활성은 어보산 첨가구와 고추냉이 줄기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이상의 결과로 볼 때, 배합사료에 어보산 첨가는 넙치 치어의 성장을 개선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미역, 어보산 및 고추냉이 줄기의 첨가는 넙치 치어의 비특이적 면역계 활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초등학교 고학년의 식생활·환경적 요인 및 성장과의 관련성 분석 (Risk Factors for Allergic Diseases in School-Aged Children)

  • 민선애;조미진;박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387-1394
    • /
    • 2013
  • 본 연구는 대구 지역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질환 환자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알레르기 유병과 관련이 있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고 알레르기 유병여부에 따른 대상자의 성장 수준 및 영양 섭취 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조군과 비교하여 환자군의 어머니 교육수준이 더 높았으며, 부모 및 형제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 비율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출생 순위가 더 낮은 경향을 보였고, 출생 당시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와 이유식 섭취 후 부작용을 경험한 비율이 더 높았다. 셋째, 현재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반영하는 최근 병원 진료 경험 빈도와 감기 및 소화질환 경험 빈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환자군에게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넷째, 아동의 알레르기 질환 위험을 높이는 가장 강력한 요인은 부모 및 형제의 알레르기 질환력이었다. 전 세계적으로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위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