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l periodicit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Diel Periodicity in the Drift of the Fourth Instar Micrasema quadriloba (Trichoptera: Brachycentridae) Larvae in Relation to Body Size

  • Isobe, Yu;Oishi, Tadashi;Katano, Izumi
    • 생태와환경
    • /
    • 제38권spc호
    • /
    • pp.17-21
    • /
    • 2005
  • We investigated the diel periodicity in the drift in relation to body size by field survey using the fourth instar grazing larvae of Micrasema quadriloba Martynov (Trichoptera, Brachycentridae) as a material. Although the larvae showed nocturnal drift periodicity, drift density in the nighttime was only twice that in the daytime. In both time periods, smaller individuals drifted significantly more, and the drift individuals in the daytime was the smallest in size (P< 0.05 in Sheffe's F). We discussed whether the drift of the fourth instar larvae drift behaviorally or accidentally considering larval size and food depletion.

In Situ Measurement of Diel Periodicity in Urea Decomposition in a Reed Zone of Lake Biwa, Japan

  • Tachibana, Junji;Kondo, Kunio;Seike, Yasushi;Osamu, Mitamura
    • 생태와환경
    • /
    • 제38권spc호
    • /
    • pp.31-38
    • /
    • 2005
  • Diel change in urea decomposition activity of epiphytic algae on Phragmites stems and phytoplankton in a shallow littoral reed zone in the south basin of Lake Biwa was investigated with an in situ technique using $^{14}C$-labelled urea. The daily rates of urea decomposition (sum of urea carbon incorporation rate and $CO_2$ liberation rate) by epiphytic and planktonic algae were calculated as 180 ${\mu}$ mole urea surface shoot area $m^{-2}\;day^{-1}$ and 210 ${\mu}$ mole urea $m^{-3}\;day^{-1}$. The chlorophyll a specific urea decomposition rates of epiphytic and planktonic algae were 4.7 to 6.4 and 4.4 to 6.2 ${\mu}$ mole urea mg chl. $a^{-1}$ incubation $time^{-1}$ in daytime and 4.2 to 5.7 and 2.4 to 3.5 ${\mu}$ mole urea mg chl. $a^{-1}\;time^{-1}$ in nighttime, respectively. High values were obtained during 12:00 ${\sim}$ 18:00 and low values during 00:00 ${\sim}$ 06:00 for both epiphytic and planktonic algal communities. A clear diel periodicity in the urea decomposing activity of the planktonic algae was observed. The activity of the epiphytic algae, on the other hand, showed no destinctive variation during a day.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epiphytic algae are one of the significant urea decomposers in a reed zone, and that the diel patterns are quite difference between both algal communities.

부유식물과 침수식물이 습지의 주요 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oating and Submerged Plants on Important Water Environments of Wetland)

  • 이근주;성기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9-3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습지식물의 유형에 따라 습지의 주요 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부유식물로는 부레옥잠(Eichhornia crassipes)을 침수식물로는 붕어마름(Ceratophyllum demersum)을 인공습지 실험구에 도입한 후 pH, 용존산소, 수온, 산환환원전위, 영양물질 농도 등 주요 수 환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 표면에 주로 존재하는 부유식물은 빛이 수체내로 투과하는 것을 막아, 다른 처리구에 비해 수온이 낮게 나타났으며 주 야 모두 상 하층 수온의 차이도 관찰되었다. 오염물 유입 후 모든 실험구에서 용존 산소가 일시적으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회복되었는데 특히 수중에서 광합성을 하는 침수식물 처리구에서 주기성을 가지면서 증가하였고 상승폭 또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pH 또한 침수식물 처리구에서 주기성을 가지면서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나 용존산소의 경우와 같이 광합성의 영향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습지토양의 산환환원전위가 수생식물의 유무나 유형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이 관찰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생지화학적 기작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체 내 총질소와 총인의 농도는 물만 있는 대조구 <물과 토양이 있는 대조구 < 부유식물 처리구 < 침수식물 처리구의 순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식물이 영양물질 제거에도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부유식물과 침수식물 모두 조류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부유식물의 경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