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meter of hole

검색결과 761건 처리시간 0.027초

초기 골 접촉이 없는 수산화 인회석 피복 임프란트 주위 골의 치유 (Healing of the Bone around Hydroxyapatite-Coated Implants without Primary Bone Contact)

  • 조형수;신광용;김흥중;박주철;한경윤;김병옥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2호
    • /
    • pp.415-433
    • /
    • 1999
  • Implant stability is the key to long-term successful outcome for osseointegrated implants. To evaluate the initial healing response of bone around HA-coated implants without primary bone contact. 21 HA-coated thread type implants(STERI-OSS?) were placed in the femurs of 5 mongrel dogs, about 1-year old. Implants, 8 mm in length and 3.8mm(experimental 1group), 5.0mm(experimental 2group) and 6.0mm(control group) in diameter, were inserted after 3 holes of 6.0mm in diameter and 10mm in depth were prepared in the surgical sites each dog. Implants were supported by only nonresorbable membrane($Teflon^{(R)}$), in order to prevent the ingrowth of upper soft tissue into the gap between bone and implant, and to maintain each implant to be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drilled hole. 9 implants with different diameters were inserted in 3 dogs for histologic observation, and 12 implants were inserted in 2 dogs for mobility test and removal torque test. Fluorescent dyes were injected for the observation of new bone formation in order of $Terramycin^{(R)}$, Arizarin $Red^{(R)}$, and $Calcein^{(R)}$ at an interval of 2 weeks. 3 dogs were sacrificed for histologic observation at 4, 8, and 12-week after placement. Light microscopy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were used to qualitatively characterize the bone around HA-coated implant. 2 dogs were sacrificed for mobility test($Periotest^{(R)}$, Simens AG, Bensheim, Germany) and removal torque test($Autograph^{(R)}$ AGS-1000D series, Japan) at 8 and 12-week after plac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istologic observation showed that osseointegration occurred to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as time lapse, but delayed bone healing was revealed in 3.8mm group (experimental 1group), compared to contrtol group and 5.0mm group (experimental 2group). 2. The mobility tes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had no distinguishable movement during experimental periods of 8 and 12-week,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bility depending on the gap between bone and implant, and time lapse. 3. The removal torque forces were increased depended on the gaps decreasing between bone and implant, and time lapse. The results suggest that HA-coated implant without primary bone contact, based on guided bone regeneration could obtain its stability in all experimental groups as time lapse, but bone healing was delayed in experimental group of 3.8mm. And the results suggested that studies on correlationship between mobility test and removal torque test for implant stability would be necessary.

  • PDF

차폐막을 이용한 치주조직 및 골조직 유도재생술의 실패요인에 대한 고찰 (The factors related with the failure in GBR and GTR technique)

  • 염혜리;구영;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1호
    • /
    • pp.117-128
    • /
    • 1997
  • Using barrier membrane, guided bone regeneration(GBR) and guided tissue regeneration(GTR) of periodontal tissue are now widely studied and good results were reported. In bone regeneration, not all cases gained good results and in some cases using GTR, bone were less regenerated than that of contr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method to improve the success rate of GBR and GTR by examination of the cause of the failure. For these study, rats and beagle dogs were used. In rat study, 5mm diameter round hole was made on parietal bone of the rat and 10mm diameter of bioresorbable membrane was placed on the bone defects and sutured. In 1 ,2, 4 weeks later, the rats were sacrificed and Masson-Trichrome staining was done and inspected under light microscope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In dog study, $3{\times}4mm^2$ Grade III furcation defect was made at the 3rd and 1th premolar on mandible of 6 beagle dogs. The defects were covered by bioresorbable membrane extending 2-3mm from the defect margin. The membrane was sutured and buccal flap was covered the defect perfectly. In 2, 4. 8 weeks later.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nd undecalcified specimens were made and stained by multiple staining method. In rats. there was much amount of new bone formation at 2 weeks. and in 4 weeks specimen, bony defect was perfectly dosed and plenty amount of new bone marrow was developed. In some cases, there were failures of guided bone regeneration. In beagle dogs, guided tissue regeneration was incomplete when the defect was collapsed by the membrane itself and when the rate of resorption was so rapid than expected. The cause of the failure in GBR and GTR procedure is that 1) the membrane was not tightly seal the bony defects. If the sealing was not perfect, fibrous connective tissue infiltrate into the defect and inhibit the new bone formation and regeneration. 2) the membrane was too tightly attached to the tissue and then there was no space to be regenerated. In conclusion, the requirements of the membrane for periodontal tissue and bone regeneration are the biocompatibility, degree of sealingness, malleability. space making and manipulation. In this animal study. space making for new bone and periodontal ligament, and sealing the space might be the most important point for successful accomplishment of GBR and GTR.

  • PDF

대향류 확산화염에서 에지화염이 화염소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uter Edge Flame on Flame Extinction in Counterflow Diffusion Flames)

  • 정용호;박대근;박정;윤진한;권오붕;길상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2호
    • /
    • pp.181-188
    • /
    • 2012
  • 대향류확산화염의 화염소화에 있어서 에지화염 역할에 관한 실험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속도비, 버너직경, 그리고 버너간격을 변화시키며 수행된 실험에서 전체신장률에 따른 화염소화 임계질소몰분율의 그래프는 c-커브 형태로 나타났다. 고신장률화염에서는 화염소화 임계질소몰분율의 그래프가 하나의 곡선으로 일치하였으며, 화염이 일차원의 응답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염 소화는 바깥 에지화염이 반경방향으로의 진동 후에 화염 중심으로 수축하며 소화하는 영역, 진동 없이 화염중심으로 수축하며 소화하는 영역, 그리고 바깥 에지부분의 수축과 진동 없이 화염중심에 화염 구멍이 생기며 소화하는 영역으로 세 가지 모드로 나타났다. 화염 표면온도 측정과 에너지 방정식의 각항을 수치해석 한 결과를 토대로 에지화염부분에서의 반경방향 전도 열손실이 에지화염의 불안정을 야기한다는 것과 전도를 통한 열 공급뿐만 아니라 대류를 통한 열 공급도 바깥 에지화염의 안정화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였다. 그리고 반경방향의 전도열손실이 수축하며 소화하는 메커니즘의 지배적인 역할을 함을 보였다.

Quasi-monochromatic Parallel Radiography Achieved with a Polycapillary Plate

  • Sato, Eiichi;Komatsu, Makoto;Hayasi, Yasuomi;Tanaka, Etsuro;Mori, Hidezo;Kawai, Toshiaki;Ichimaru, Toshio;Takayama, Kazuyoshi;Ido, Hideaki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 /
    • pp.418-421
    • /
    • 2002
  • Fundamental study on quasi-monochromatic parallel radiography using a polycapillary plate and a plane-focus x-ray tube is described. The x-ray generator consists of a negative high-voltage power supply, a filament (hot cathode) power supply, and an x-ray tube. The negative high-voltage is applied to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transmission type target (anode) is connected to the ground potential. The maximum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supply were -100 kV (peak value) and 3.0 mA, respectively. In this experiment, the tube voltage was regulated from 20 to 25 kV, and the tube current was regulated by the filament temperature and ranged from 1.0 to 3.0 mA. The exposure time is controlled in order to obtain optimum film density, and the focal spot diameter was about 10 mm. The polycapillary plate is J5022-21 made by Hamamatsu Photonics Inc., and the outside and effective diameters are 87 and 77 mm, respectively. The thickness and the hole diameter of the polycapillary are 1.0 mm and 25 ${\mu}$m, respectively. The x-rays from the tube are formed into parallel beam by the polycapillary, and the radiogram is taken using an industrial x-ray film of Fuji IX 100 without using a screen. In the measurement of image resolution, we employed three brass spacers of 2, 30, and 60 mm in height. By the test chart, the resolution fell according to increases in the spacer height without using a polycapillary. In contrast, the resolution slightly fell with corresponding increases in the height by the polycapillary. In angiography, fine blood vessels of about 100 ${\mu}$m are clearly visible.

  • PDF

미소부 X-선 회절분석기를 이용한 미립조암광물의 상동정 및 배향도 측정 -$Al_{2}SiO_{5}$ 3상다형- (Phase identification and degree of orientation measurements far fine-grained rock forming minerals using micro-area X-ray diffractometer -$Al_{2}SiO_{5}$ Polymorphs-)

  • 박찬수;김형식
    • 암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05-210
    • /
    • 2000
  • 암석중에 미립(직경 0.3mm내외)으로 존재하는 조암광물의 동정 및 결정학적인 배향도를 미소부 X선 회절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표품들은 $A1_{2}SiO_{5}$ 3상디형(규선석, 남정석, 홍주석)으로서 모든 표품들은 박편상의 것을 측정대상으로 하였다 측정에 이용된 X선 회절분석기는 3(${\omega}\;{\chi}\;{\phi}$)축 회전 측각기 및 위치민감형 검출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X선원으로는 $CuK_{\alpha}$를 사용하였으며 직경 $50\;\mu\textrm{m}$의 시준기를 사용하였다. 광물 동정은 3(${\omega}\;{\chi}\;{\phi}$)축 회전 측정법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박편표면에 우세하게 나타나는 광물상의 격자면을 알아보기 위해 2(${\omega}\;{\phi}$)축 회전 측정을 실시하였고 2축 회전 측정법에 의해 우세하게 나타난 회절선에 대한 격자방향의 배향도와 극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X-선 극점도 측정을 시행하였다. 3축 회전 측정결과 측정대상 광물상에 대해 동정이 가능하였으며 2축 회전 측정과 X-선 극점도 측정결과 규선석(310), 남성석(200), 홍주석(122)극이 절단면, 즉 박편표면의 법선방향으로 잘 발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측정법은 편광현미경을 사용하여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미립조암광물의 동정과 배향도를 알아보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분석기법이다.

  • PDF

예연소실 점화 플러그의 화염 분출구 직경에 따른 매립지가스의 연소 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Land Fill Gas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Flame outlet of the Pre-chamber Spark Plug)

  • 김권세;전영철;최두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11-117
    • /
    • 2021
  • 본 연구는 LFG(Land Fill Gas)의 주성분인 메탄(CH4) 60%와 이산화탄소(CO2) 40%로 구성된 매립지가스를 활용하여 정적연소 환경에서 연소의 초기 불안정성을 해결할 수 있는 실험적인 연구결과를 제안하는 것이다. 실험조건은 공기과잉율 0.9~1.6, 초기연소를 위한 압축압력 3bar, 실험주변온도 25℃, 실험용 연료가스 메탄, 예연소실 화염 분출구 직경 2.5, 3.0, 3.5, 4.0, 4.5mm로 설정하였다. 실험결과 M3.0 모델에서 초기화염의 확산성이 매우 증가된 특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증가의 특성은 공기 과잉률이 0.9, 1.0, 1.2에서 오리피스의 효과가 극도로 향상하게 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을 통하여 M3.0으로 설계된 예연소실 화염 분출구 치수를 LFG에 적용할 경우 기존의 점화 플러그 특성 보다 부분적인 연소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공함양 주입성능평가에 의한 설계요소 산정 연구 (A Study on Optical Design Factors by Artificial Recharge Performance)

  • 원경식;이영동;신동민;김병준;김규범
    • 지질공학
    • /
    • 제30권4호
    • /
    • pp.603-615
    • /
    • 2020
  • 인공함양의 설계요소 결정은 대수층의 수리지질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산정하게 된다. 연구지역의 시험 부지 내 구축된 주입유형별(수직정, Ditch 및 혼합형)로 주입시험을 단계별로 수행한 후 인공함양의 최적 설계요소 인자를 도출 하였다. 주입정의 구경에 따른 주입 효과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토지 이용의 가용성과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100 mm 규격이 적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부 암반까지도 주입 효과가 잘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주입정 설치심도는 충적층 및 상부 암반층을 대상으로 결정하였다. 한편, Ditch에 의한 주입 방식의 경우에는, 10~30 mm의 여재를 채운 경우에 침투효율과 수리간섭영향이 우수한 주입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수직주입정의 간격 차이에 따른 간섭효율 분석 결과, 각 주입공 간격 1 m 당 간섭효율 감쇄계수는 1.75% 산출되었으며, 주입정의 적정 간격은 9~12 m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산정한 인공함양 설계요소를 현장 시공 및 운영에 적용하여 검증한다면 상시 물부족 지역의 용수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한국고유종 남방종개 Iksookimia hugowolfeldi 후각기관의 형태 및 형태계측학적 연구 (The Morphology and Morphometry of the Olfactory Organ of Southern King Spine Loach, Iksookimia hugowolfeldi (Cypriniformes, Cobitidae))

  • 김현태;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9-54
    • /
    • 2020
  • 한국 고유종 남방종개 Iksookimia hugowolfeldi 후각기관의 형태 및 형태계측학적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실체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통계프로그램 SPSS로 분석하였다. 후각 기관의 외부 형태는 주둥이 좌우로 돌출된 튜브형의 전비공(직경 0.35~0.53 mm)과 눈모양의 후비공(장축 0.32~0.68 mm)으로 구성된다. 후각기관 내부에서는 14~21개의 후판으로 구성된 로제트 구조가 확인된다. 형태계측학적 분석에서 후판개수(수컷 vs. 암컷, 18±1.8 vs. 17±1.6)와 체장대비 후판개수 비율(24.2±1.3% vs. 21.7±2.5%)은 수컷이 암컷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체장과 후판은 수컷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P<0.001)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남방종개의 후각기관 특징은 서식처 바닥의 모래를 파고 숨는 저서성 생활의 적응과 암수 간 생식에서의 후각의존성 차이를 반영하는 결과로 사료된다.

전분이용(澱粉利用)에 관한 연구(硏究)(제(第) 1 보(報)) Starch Agar-gel-plate를 이용(利用)한 Amylase 활성(活性) 측정법(測定法) (Studies on Application of Starch Part I. Action of Amylase on Starch Agar-gel-plate)

  • 유주현;추경희;홍윤명;유마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7-71
    • /
    • 1970
  • 본 실험(本 實驗)에서는, amylase 활성(活性)을 측정(測定)하기 위하여 starch-agar-gel-plate를 만들어 cork borer로써 9mm의 구멍을 뚫고, 각(各) 농도(濃度)의 효소(酵素)를 주입(注入)하여 일정(一定)한 온도(溫度)에서 일정(一定)한 시간(時間)동만 반응(反應)시킨 후, 0.1N-iodine액(液)으로 분해(分解)하지 않은 starch를 착색시켜, 착색안된 무착색(無着色) zone의 직경을 측정(測定)해서 비교 검토한 것으로 서 이 방법(方法)을 "cork borrer method"라고 칭하였다. starch-agar-gel-plate 상(上)에서의 무착색(無着色) zone 형성(形成)의 최적(最適) pH는, Bacillus 균(菌)이 생산(生産)하는 amylase인 biotex, spitase 등은 중성(中性) 내지 알카리성(性)에서, 사상균이 생산(生産)하는 효소인 mucor-rennin, gluco-amylase, biodiase 등에 있어서는 pH $5{\sim}7$의 범위이다. 무착색(無着色) zone 형성(形成)직경은 전분농도(濃度)가 적을수록 유리하고, 반응시간(反應時間)이 길수록, amylase activity가 강할수록 커진다. 한편 반응온도(反應溫度)에 의한 영향은 $10^{\circ}C$보다 $50^{\circ}C$에서 무착색(無着色) zone이 크게 형성(形成)된다. 따라서 starch 온도(溫度) 및 pH가 일정(一定)한 starch-agar-gel-plate를 만들고, 반응시간(反應時間) 반응온도(反應溫度) 등을 일정하게 하여주면 amylase activity 를 능률있게 측정(測定)할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本 硏究)를 위하여 연구비(硏究費)를 지급(支給)하여주신 연합재단(聯合財團)과 대학원장 이길상박사(大學院長 李吉相博士), 또 효소(酵素)를 제공하여 주신 삼중효소공업주식회사(三中酵素工業株式會社)의 김동진사장(金東振社長). 천야제약주식회사(天野製藥株式會社)(일본(日本)) 등의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PDF

남해구 자원관리형 자망 · 통발 어구어법 기술개발 -붕장어 Conger myriaster 그물통발의 망목선택성- (Improvement of Gill Net and Trap Net Fishing for the Resource Management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이주희;권병국;이춘우;김형석;정순범;조영복;유제범;김성훈;김부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1권1호
    • /
    • pp.27-34
    • /
    • 2005
  • 붕장어에 대한 스프링형 그물통발의 망목선택성 및 적정망목을 추정하기 위한 시험조업은 경남 거제시 능포 인근해역에서 2002년 9월25일${\sim}$9월27일에 실시되었다. 시험어구는 현용어구인 15mm, 20mm 및 시험을 위해 제작한 25mm, 30mm 그리고 수산자원보호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35mm와 대조어구로써 통수공 6.7mm의 플라스틱 통발을 각각 50개씩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망목선택성은 Kitahara(1968)와 Fujimori(1996)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적정망목은 어체 동주와 체장과의 관계 그리고 망목선택성 Master Curve를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조업 결과 총어획미수는 835미로, 붕장어 537미(64.4%), 게류 225미(26.9%), 기타 73미(8.7%)였다. 2. 망목선택성 곡선의 Master Curve에서 최대 전장/망목(max. 1/m)의 값은 23.9로 추정되었다. 3. 붕장어 스프링 통발의 적정망목은 34.0mm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