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logues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4초

인스턴트 메시징에서의 대화 주제 및 주제 전환 탐지 (Topic and Topic Change Detection in Instance Messaging)

  • 최윤정;신욱현;정윤재;맹성현;한경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59-6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채팅과 같은 텍스트 기반의 대화에서 현재 발화를 기준으로 대화의 주제를 파악하고, 대화 주제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기법에 대해 기술한다. 대화는 다른 종류의 글과 다르게 길이가 매우 짧아 적은 수의 단어를 사용하고, 두 사람 이상이 참여를 하며, 대화의 이력(History)이 현재의 발화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발화 뿐 아니라 대화 상대자의 발화에서 추출한 키워드 기반으로 주제 탐지를 하며, 대화의 이력도 고려하여 대화 주제 탐지의 정확도를 높힌 연구 결과를 기술한다. 대화주제 전환 탐지는 이전 발화와 현재 발화에서 탐지된 주제의 유사성을 계산하여, 유사성이 낮은 경우에 전환 탐지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였다. 본 논문의 실험에서 대화 주제 탐지는 88.20%. 대화 주제 전환 탐지는 87.36%의 정확도를 얻었다.

  • PDF

EBS '다문화 고부 열전'에서 나타난 고부간 대화에 대한 융복합적 분석 (Convergence Analysis on Conversation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in EBS 'Multicultural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Biograph')

  • 양은미;이현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457-466
    • /
    • 2017
  •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내의 고부갈등을 심화시키는 '갈등대화'를 통해 다문화 가정 내의 고부 간 '의사소통'의 유형을 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3편의 EBS '다문화 고부열전' 에피소드를 모니터링 하고, 대화 내용을 기록하여 융복합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결과 다문화 가정 내의 고부 간 대화에서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이 나타났으며, 이런 의사소통의 유형은 고부갈등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내 고부갈등을 완화하기 위해서 순기능적 의사소통을 위한 융복합적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가족 상담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한국어 문장 유형의 자동 분류 한국어-수화 변환 및 한국어 음성 합성에의 응용 (Sentence Type Identification in Korean Applications to Korean-Sign Language Translation and Korean Speech Synthesis)

  • 정진우;이호준;박종철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25-3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문장 유형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한국어-수화 변환과 한국어 음성 합성 분야에서 문장 유형 정보가 자연스러운 수화 표현과 음성 표현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과정을 보인다. 한국어에서 문장 유형은 크게 평서문, 명령문, 청유문, 의문문, 감탄문의 다섯 가지로 분류되는데, 기존의 방법으로는 대화체 문장에서 동일한 문장이 여러 가지 유형으로 해석되는 중의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장 내에서 형태소 및 구문단위의 다양한 단서들을 활용하여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문장 유형 분류 시스템이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한국어-수화 변환 시스템에서 문장 유형에 따라 수화의 비수지신호가 다르게 표현되는 현상을 처리하는 과정과 한국어 음성 합성 시스템에서 문장 유형에 따라 문장의 문미 억양이 변하는 현상을 처리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문장 유형 정보를 음성 합성과 수화 자동 생성에 이용하는 것은 기존에는 연구되지 않았던 방법으로, 좀 더 자연스러운 음성과 수화 표현을 생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모바일 기기와 가상 스토리지 기술을 적용한 자동적 및 편재적 음성형 지식 획득 (Mobile Device and Virtual Storage-Based Approach to Automatically and Pervasively Acquire Knowledge in Dialogues)

  • 유기동
    • 지능정보연구
    • /
    • 제18권2호
    • /
    • pp.1-17
    • /
    • 2012
  • 최근에 들어 많은 관심과 인기 속에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편재적 기능성을 접목하여 즉각적인 지식의 획득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지식의 주제어 또는 명칭을 자동으로 파악하여 해당 지식을 저장할 수 있다면 전반적인 지식 획득 과정이 자동화될 수 있다. 본 논문은 텍스트마이닝 기반 주제어 추출 기술과 클라우드 스토리지 기반 스마트폰을 접목하여 지식이 발생되는 지점 및 시점에 즉각적으로 해당 지식을 획득할 수 있는 학제적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은 지식이 포함된, 지식소유자의 대화를 녹음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지식소유자의 대화의 내용을 부가적으로 특성화 할 수 있는 상황정보를 채취할 수 있는 센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기계학습 알고리듬 중 텍스트마이닝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Support Vector Machine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해당 대화의 주제어를 추출한다. 파악된 주제어와 상황정보를 연관시켜 일종의 비즈니스 규칙을 생성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규칙, 주제어, 상황정보, 그리고 문서화된 대화를 종합하여 하나의 지식을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mart Phone Usage and Self-efficacy & Academic Achievement in Hig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여란;김현숙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00-210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use of smart phon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students in 5th to 6th grade. Methods: 954 students in $5^{th}$ to $6^{th}$ grade were select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K City through purposive sampling. Data of 591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x^2$ 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program. Results: First, 64% of the students possessed a smart phone and female students used their phone more than male students. 47.5% of the students said they first used a smartphone in their $5^{th}$ grade and 11.7% said in their 6th grade. Second, heavier use of smart phones was related to a lower level of self-efficacy (p<.001). Third, the more the students used a smart phone, the less they achieved in academic performance (Korean language: p<.001, mathematics: p<.01). Finally, the biggest factor influencing smart phone addiction was longer use of smart phones. In addition, lower self-efficacy and lower ability to adapt to difficult tasks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crease in smart phone addiction. Less use of smart phones and higher self-efficacy resulted in higher achievement in academic performance.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decrease students' use of smart phones and improve their self-efficacy and academic performance. Intervention programs to reduce the use of smart phones should include a profound interest, a personality-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ufficient dialogues with students at home, schools and the local society, beyond simple regulations to prevent adverse effects.

따지야나 똘스따야의 문학세계 - '잃어버린 낙원', 유년으로의 회귀 (The Literary World of T. Tolstaya)

  • 이수연
    • 비교문화연구
    • /
    • 제23권
    • /
    • pp.265-293
    • /
    • 2011
  • This study focused on the literary world of T. Tolstaya, a Russian writer who takes a crucial position in contemporary Russian literature, drawing upon the wrier's a couple of short stories. 'Youth' is a key motive encompassing all works of Tolstaya, so that it becomes the poetic keynote among her literary works. In order to examine such distinctions of the main characters' world awareness in their youth as shown in Tolstaya's literary works, Chapter 2 of this paper paid a special attention to the analyse of her representative works such as "Sitting on a Golden Terracing Stone" and "Meeting with a Bird", and expressed potential implications of youth with mimetic imagination for her. For Tolstaya, youth is perceived as a paradise but original imagination of youth gradually fades away in adult and ends up with a lost paradise. This is why Tolstaya uses poetic means based on nostalgia for youth like paradise and literary motto for recovery of imagination in youth. In this regard, this study particularly examined the retrospective prologue resisting the power of time as well as different fictional characters living in her own fantastic world. As a result, this study draws a conclusion that such longing and nostalgia for youth and lost paradise as delineated by Tolstaya through retrospective prologue and characters speak for an existential speculation that explores any profound implication of afflictions in reality of human lif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painful reality of human life which consists of honest dialogues with realities like 'darkness' and 'pain.' In addition, this study, complying with Zolotonosov's ideas which deal with and define Tolstaya's literary works as a shabby and humble box invisibly containing a full wealth of precious jewels inside, sheds a new light on the writer's literary world.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그림과 내용의 연계성 (The connection between illustrations and content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홍갑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2호
    • /
    • pp.225-237
    • /
    • 2019
  • 수학 교과의 그림은 내용의 핵심을 잘 전달하면서 한편으로는 수학의 어려움을 완화시켜주는 복합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본 연구는 그림과 글의 상호 보완적 관계, 그리고 그림의 감정 표현이라는 두 요소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그림과 내용의 연계성을 보는 관점의 예로 제시하고, 중국, 일본, 인도, 미국 등의 외국 교과서를 이 관점에서 조사하여 우리나라 교과서 그림 제작에 대한 시사점을 얻었다. 이는 그림을 읽고 의미를 해석하는 과정을 수학 공부의 일부로서 다루어야 한다는 것, 등장인물이 가진 개성과 감정을 더욱 풍부하고 자유롭게 표현해야 한다는 것 등이다.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Sharing and Resource-Sharing Networks in Environmental Policy Governance: Focusing on Germany and Japan

  • Lee, Junku;Tkach-Kawasaki, Leslie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7권2호
    • /
    • pp.176-198
    • /
    • 2018
  • Environmental issues are among the most critical issues nowadays. These issues are no longer confined to individual countries, and international society has been progressing in building global dialogues since the early 1970s. Within these international efforts, Germany and Japan have played essential roles in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However, there are major differences in nation-level environmental policies in both countries. Governance based on network structure is more efficient than that based on hierarchy for solving complex problems. The network structure is formed through horizontal cooperation among various autonomous actors, and the relationship intensity among actors is one of the key concepts in the governance.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framework to explain complicated societal structures explains how interaction among actors creates networks, and these networks further affect their intera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environmental policy governance as collaborative governance in Germany and Japan. To address this goal,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al dimension of governance networks and its complement resource-sharing networks in both countr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information-sharing networks have lower-level network influence on the resource-sharing networks as higher-level networks even if not all of the information factors have singular influence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nformation-sharing networks may be one of the pieces of the puzzle for explaining this phenomenon in environmental governance in Germany and Japan.

상서(湘西) 토가족(土家族) 마고사(毛古斯) 무용 원시숭배(原始崇拜)의 해석 (Interpretation of Primitive Worship of Maogusi Dance of Xiangxi Tujia Nationality)

  • 쭈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81-389
    • /
    • 2021
  • 토가족(土家族) 모고사(毛古斯) 춤은 상서(湘西) 토가족의 오래된 하나의 의식무(儀式舞)이다. 이는 인물, 대화, 단순한 스토리와 일정한 연출의 격식을 갖춘 일종의 원시적 춤이다. 또한 이는 중국 무용계와 연극계 전문가들로부터 중국 무용, 연극의 가장 원초적이고 살아있는 화석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고는 철학, 종교학, 인류학 및 민속학 등 다각도에서 모고사(毛古斯) 춤의 원시 숭배 표상 뒤에 담긴 상고 시대에 남긴 여러 가지 정신 기호와 문화적 함의에 대해 해독하도록 하고자 한다. 이 여러 가지 정신 기호는 즉 자연 숭배, 토템 숭배, 조상 숭배와 생식 숭배이다. 그 강렬한 원시 숭배의식은 모구스춤의 공연과정의 시종에 내포되어 있으며, 그 행위와 정신 이념은 결코 미신과 봉건적인 행위가 아니라, 토가족의 풍부한 역사문화, 풍속과 정신내용을 진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원시적 생태의식이 살아서 번성해온 진정한 원인을 탐구하고 모고사(毛古斯) 춤에 덮인 베일을 벗기려 함으로써 우리에게는 이 두터운 역사를 담아낸 예술 형식의 깊은 내면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유성기 음반 속 고전소설 - 20세기 초 고전소설의 장르 전환과 변모 - (A Study on the Gramophone Record that were based on Classical Novels)

  • 최호석
    • 동양고전연구
    • /
    • 제63호
    • /
    • pp.221-252
    • /
    • 2016
  • 본고에서는 유성기 음반과 관련하여 20세기 초 고전소설의 장르적 전환과 변모의 양상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유성기 음반에 수용된 고전소설의 현황을 파악하는 한편, 고전소설이 유성기 음반에 수용되면서 발생한 장르적 전환과 변모의 양상, 그리고 그것의 지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살펴본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고에서는 고전소설을 주 소재로 하여 녹음된 유성기 음반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숙영낭자전>, <심청전>, <장화홍련전>, <춘향전> 등을 비롯한 10종의 고전소설이 31종의 음반이 대상이 되었다. 둘째, 고전소설은 유성기 음반에 수용되면서 가요, 가요극, 극, 아동극, 영화설명, 판소리, 희극 등의 다양한 장르로 전환되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서사 전개가 인물 간의 대화를 중심으로 새롭게 구성되었다. 셋째, 고전소설이 유성기 음반으로 수용되면서 영화설명이나 근대극 등으로 재생산된 작품들은 고전소설이 본래 가지고 있던 문제의식과 가치 등을 유지함으로써 전통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희극으로 재생산된 작품들은 본래의 문제의식과 가치를 고수하기보다는 당대 사회현상과 맞물려 가벼운 웃음을 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