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Search Result 68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예술계 고등학교 수학과의 수학교육 현황과 수업 실태 분석 (Surve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in Art High Schools in Korea)

  • 홍석강;이방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1권2호
    • /
    • pp.139-155
    • /
    • 2002
  • In this paper we represented the results of surveying on the present condi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the mathematics text books that are usually taught in Art High Schools interest in mathematics subjects and to achieve the higher level of mathematical abilities. We would like to raise their interest in mathematics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eaching level on the basis of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Revision. Some suggestions are of offered by considering the level of their mathematical abilities in Art High Schools and the present contents of the mathematical subjects from following views ⑴ the aspect of studying method ⑵ the aspect of revising contents of mathematics textbooks for them ⑶ the aspect of educational policies for Art High Schools

  • PDF

중학교 「기술·가정」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단원에 적용한 스마트 교수·학습 과정안과 교재 개발 (Development of smart education-base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a smart textbook for 'healthy diet and meal plans' uni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 최송은;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5-114
    • /
    • 2014
  • 본 연구는 21세기 학습 환경과 학습자가 변화되고 있는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중학교 기술 가정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가정과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과 스마트교재를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스마트교재를 평가하고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가정과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한다. 둘째, 개발한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기본으로 하여 스마트컨텐츠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식생활 스마트교재를 제작한다. 셋째, 개발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식생활 수업을 실행한 후에 이 수업을 평가한다. 연구 과정은 ADDIE 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로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2009 개정 중학교 기술 가정 교육과정과 해설서, 성취기준 성취수준 분석 및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관련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을 구상하고 학습 목표 및 수업 과정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기술 가정 교육과정의 '청소년의 생활' 단원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하여 교과서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내용을 재구성하고, 재구성한 내용을 토대로 학습 목표 및 수업 과정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청소년의 생활'에 속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중 2개의 소단원인 '청소년의 식생활 문제'와 '균형 잡힌 건강 식생활의 실천'으로 각 2차시씩 총 4차시 분량의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 및 학습 자료 등의 교수 학습 자료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스마트컨텐츠 저작도구인 DocZoom을 이용하여 스마트교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성 및 스마트교재 활용 수업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자 사전 사후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을 적용하여 개발된 식생활교육 관련 스마트교재를 수업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을 토대로 제작한 소단원 2개 분량의 식생활교육 스마트교재를 이용하여 2014년 6월 2일부터 6월 13일까지 경기도 광명에 있는 남녀공학의 S 중학교 1학년 각각 3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1주일에 2시간씩 기술 가정 수업에 직접 활용하였다. 총 2주간의 수업을 실행한 후, 사전 사후 설문을 실시하고, 평가 단계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 설문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쌍표본 t-test를 실시하여 개발된 식생활교육 스마트교재의 수업 적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에서 가정과 수업에 대한 흥미(t=-3.99, p<.001),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t=-2.61, p<.05), 학습에의 주도성 및 독립성(t=-4.77, p<.001), 학생들의 식생활 수업에 대한 관심도(t=-3.83, p<.001)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 수업에 대한 평가를 한 결과, 학생들은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이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보다 수업 자료를 찾는데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으며, 동영상과 도표 등의 관련 자료를 바로 볼 수 있어 이해하기 쉬웠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다수의 학생이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보다 편리하였으며, 수업이 더 재미있어졌다고 응답하는 등 학생들은 스마트교재를 이용한 수업을 흥미로워 하였으며, 학습에 도움이 되는 등의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가정과에서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스마트교육은 가정과 수업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 학습에서의 주도성 및 독립성, 식생활 수업에 대한 관심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 필요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athematics)

  • 박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191-206
    • /
    • 2020
  • 본 연구는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 필요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초등교사를 포커스 그룹으로 구성하여 그룹 토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 필요에 대하여 초등 교사는 불필요와 필요하다는 인식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이 불필요하다는 인식에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 내용의 쉬운 수준과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용이함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대해서는 수학 수업의 다양한 측면 고려, 수학 수업 실패의 누적, 학생에 대한 권위 유지, 사회 변화에 따른 수업 개선 요구, 학교 업무 수행의 영향, 교내 교사 학습 공동체의 영향, 동료 교사의 영향, 교사로의 성장을 위한 노력이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에서 교사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의 반바지 만들기 단원에 대한 e-Learning 적용 효과 (The Effect of e-Learning Application to the Unit of Making Short Trouser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of Middle School)

  • 정복희;손원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4
    • /
    • 2008
  • 본 연구는 중등교육과정의 의생활 단원 중 반바지 만들기 수업에 e-Learning 적용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e-Learning 수업을 위한 사이버 공간으로 인터넷 카페를 개설하고, 여러 곳에서 개발한 기존의 의생활 관련의 콘텐츠를 활용하였으며, e-Learning 수업을 위한 인터넷 카페 운영의 효율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교수 학습 지도안을 제작하여 수업에 활용하였으며, e-Learning 수업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업 후 학생들의 반응을 설문 조사하였다. 요약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Learning 활용 수업으로 가정 교과 학습 내용을 학습자 수준에 맞게 다양한 방법으로 재구성하고 여러 가지 학습콘텐츠를 제공하였다. 둘째, e-Learning 활용 수업을 위하여 학습 자료실에 교과서외의 다양한 자료와 심화 보충 학습 자료를 탑재하여 수준별 선택학습이 가능하였다. 셋째, 과제 결과물을 모든 학생들이 같이 볼 수 있어 평가의 신뢰성을 높이며, 과제 제출물에 대하여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실천하며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넷째, 학생과 교사, 학생과 학생간에 쌍방향적 교류가 가능하므로 교과학습 내용이나 과제에 대한 의견 교환으로 효율적인 학습활동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생활 전반에 걸친 상담도 수시로 이루어져 학습지도, 진학지도 및 인성지도가 가능하게 되었다. 다섯째, e-Learning 활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의생활 영역에 대한 흥미와 이해가 증가되었고 스스로 공부하는 학습 태도나 습관이 길러졌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e-Learning활용 수업이 도움이 되었으며, 그 이유로는 방과후에도 계속 학습할 수 있고 다양한 자료를 얻을 수 있으며 과제제출방법이 간편하다는 것을 들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의생활과 관련하여 활용 가능한 콘텐츠를 수업에 적용시키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으나, 보다 발전적인 연구를 위하여 e-Learning 교수 학습 모형에 따른 다양한 가정과 영역별 적용 사례 개발 및 발굴이 진행되어야 하며, 사이버교육 콘텐츠 개발 지원으로 학생들의 학습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다양한 학습 콘텐츠의 제작 보급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대안학교 교사의 생태중심주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Survey on the Kore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Ecocentric Environmental Education)

  • 김영주;차정호;정철;이정호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4권4호
    • /
    • pp.51-61
    • /
    • 2011
  • In this study, the Kore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ecocentric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surveyed. A total of 80 teachers from 42 alternative schools across the nation answered to th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lot of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and to practice some environmental actions inside and outside school. Over sixty percent teachers agreed with the ecocentric philosophy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most two important issues among 11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for teachers were "natural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ethics". Teachers used and preferred "field work" for teaching environmental issues, and got teaching materials mostly from the internet. However, many of them were not satisfied with environmental activity in their schools because of their lack of professionalism. They had not enough experienc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trongly wanted to learn about field work.

  • PDF

고등학교 생물I의 세포분열, 생식, 수정개념에 대한 오인 분석 (An Analysis of Misconceptions about the Concepts of Cell- division, Reproduction and Fertilization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 I)

  • 최승일;조희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7
    • /
    • 1987
  • The rectnt studies on the learning of the scientific concepts have suggested that most students have misconceptions related to the contents to be learned and that those misconceptions exert their influences on the subsequent learning of the content Those facts necessitate the identification of the misconceptions before the instructions and the preparation of the instructional materials based on those misconceptions identified. Several studies also revealed that such biological areas as cell division, reproduction and fertilization were ranked among the most difficult areas for high school students to learn. Therefore, this study had its triple objectives as follows: (1) Identification of misconceptions in such areas as cell division, reproduction and fertilization. (2)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high school biology textbook I's as the sources of those misconceptions. (3)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misconceptions identified and the problems in the textbooks analyzed.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misconceptions held by high school students of biological concepts related to the conceptual areas of life-continuity, and found the problems in learning of the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Based on the misconceptions and the problems, a teaching/learning model and its content material were developed at the final course of this study.

  • PDF

예비유아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재개발 및 효과-시지각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Effects for the Improvement of Multimedia Utilization Ability for Pre-Kindergarten Teachers-Focusing on Visual Perception Interface)

  • 홍수현;강성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113-1128
    • /
    • 2017
  • This study was practiced in order to develop a textbook to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use multimedia required by kindergartens and to examine its effects. First, investigation of the status of multimedia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indergartens was done along with looking through their attitude and anxiety. The expertise and the multimedia education was requi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urriculum. As a result, 15 categories and 50 subcategories under 4 themes were drawn through the procedures of qualitative analysi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education for multimedia application related to the tasks required in kindergartens is needed instead of the common education for multimedia application, to improve the ability to use multimedia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multimedia education based on visual theory for the purpo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ather than common features-centered multimedia education, is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use multimedia. Finally,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use multimedia will be a chance to provide children with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가정과 교사의 가정교과교육의 일반적 성격에 관한 인식과 관련변인 (Recognition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on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1ts Related Variables)

  • 이종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1-45
    • /
    • 1997
  • The theoretical rationale and basic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cognition on home economics teacher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through the close examination of the teacher’s recognit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For this study, review of literature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performed. As the results, the following may be suggested. 1. There teachers more experienced and non-majored the home economics or those who finished professional course should be reeducated adequately for new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and new curriculum. 2. The development of qualification for home economics teacher and the educational system and program for training preliminary should be try to find a solution to improve the new and positive recogni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3. The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pay and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improved to satisfy home economics teacher with new view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with their duties. 4. The systematic and concrete teaching programs for contents of improving new recogni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and for promoting positive self-recognition as home economics teacher, and for training the abilities of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and guiding practical techniques should be developed.

  • PDF

Using Concrete-representational-abstract Integrated Sequence to Teach Geometry to Students who Struggle

  • Flores, Margaret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5권3호
    • /
    • pp.227-244
    • /
    • 2022
  • The concrete-representational-abstract integrated (CRA-I) sequence is an explicit approach for teaching students who struggle in mathematics. This approach is beneficial because it assists students in the development of conceptual understanding. This article describes how the approach is used in general as well as its use with a specific geometry concept, area of a rectangle. The author will describe why one might choose CRA-I and the steps needed for implementation. Finally, the CRA-I steps will be shown with a lesson series related to teaching the concept of area. The article will describe lesson activities, methods, materials, and procedures.

Interdisciplinary Knowledge for Teaching: A Model for Epistemic Support in Elementary Classrooms

  • Lilly, Sarah;Chiu, Jennifer L.;McElhaney, Kevin W.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137-173
    • /
    • 2021
  • Research and national standards, such as the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NGSS) in the United States, promot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K-12 interdisciplinary curricula integrating the disciplines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and computer science (STEM+C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explored how teachers provide epistemic support in interdisciplinary contexts or the factors that inform teachers' epistemic support in STEM+CS activitie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rticulate how interdisciplinary instruction complicates epistemic knowledge and resources needed for teachers' instructional decision-making. Toward these ends, this paper builds upon existing models of teachers' instructional decision-making in individual STEM+CS disciplines to highlight specific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on classroom epistemic supports. First, we offer considerations as to how teachers can provide epistemic support for students to engage in disciplinary practices across mathematics, science,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We then support these considerations using examples from our studies in elementary classrooms using integrated STEM+CS curriculum materials. We focus on an elementary school context, as elementary teachers necessarily integrate disciplines as part of their teaching practice when enacting NGSS-aligned curricula. Further, we argue that as STEM+CS interdisciplinary curricula in the form of NGSS-aligned, project-based units become more prevalent in elementary settings, careful attention and support needs to be given to help teachers not only engage their students in disciplinary practices across STEM+CS disciplines, but also to understand why and how these disciplinary practices should be used. Implications include recommendations for the design of professional learning experiences and curriculum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