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tergent cleaner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5초

의영 전의이씨 출토복식의 세척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eaning Method of Excavated Textiles)

  • 박윤미;황은경;정복남
    • 복식문화연구
    • /
    • 제11권6호
    • /
    • pp.956-966
    • /
    • 2003
  • The purpose of study is to find out a suitable cleaning method for excavated textiles of Jeon-ui Lee(1570∼1647). The textiles were excavated from her tomb in 1997, and her descendents put them in a box without any treatment and kept them in the warehouse since then. We used two kinds of silk as samples, non-dyed and dyed textile.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8 kinds of wet cleaning and dry cleaning methods, an ultrasonic cleaner was used in the wet cleaning, decane and perchloroethylene were used as solvents in the dry cleaning. The use of the ultrasonic cleaner in the wet cleaning method did not show any damage to the fibers of the textiles and it not only cleaned well but also was safe for the fugitive dyes. It resulted in more effective cleaning when the detergent was used together.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use the ultrasonic cleaning on the delicate historical textiles and helpful to the operator's safety and environment.

  • PDF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한 사과의 잔류농약 제거 효과 (Removal Efficiency of Pesticide Residues on Apples by Ultrasonic Cleaner)

  • 윤채혁;박우철;김장억;김충효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55-258
    • /
    • 1997
  •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한 과일의 잔류농약 제거율을 알아보기 위해 사과를 3종의 유기인계 농약(Fenitrothion, Chlorpyrifos, Phethoate)에 침지한 다음 물, 30% Ethanol, 0.2% 합성세제를 세척용매로 하여 초음파 처리 시간별로 잔류농약 젝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물을 세척용매로 사용하였을때 잔류농약 제거율은 초기 30초대에 Fenitrothion 39.2%, Chlorpyrifos 32.0%, Phenthoate 50.4% 이었으나, 초음파 세척시간이 증가하여도 잔류농약 제거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합성세제를 세척용매로 사용하였을 때의 잔류농약 제거율은 5분대에서 Fenitrothion 33.5%, Chlorpyrifos 30.1%, Phenthoate 48.3% 이었으며, 30% Ethanol의 경우는 Fenitrothion이 15분대에서 66.2%, Chlorpyrifos, Phenthoate는 10분대에서 각각 41.7%, 74.2%로 3가지 세척용매 중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30% Ethanol을 용매로 하여 $10{\sim}15$분간 초음파로 세척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은 세척방법이라고 하겠다.

  • PDF

Improved Cleaning Method for Dental Instruments

  • Kim, In-Geol;Lee, Yun-Ji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3권2호
    • /
    • pp.26-33
    • /
    • 2010
  • We searched at the "PubMed.gov" and "jendodon.com" sites to conduct a literature review on dental instruments that are reused in clinical settings and on infection control involving pre-disinfection or sterilization cleaning/rinsing. The keyword "dental clean" was used for the Web search. We found the present official definition of instrument cleaning performed prior to disinfection or sterilization rather limiting ("removal of foreign matter (soil, organism, etc.) from the instruments"). Thus, we proposed to expand the definition to include the removal of oils applied to protect the metallic instruments and from corrosion, stains, and rust resulting from the frequent reuse of the instruments. Clinicians are found to clean their dental instruments (a) immediately after treating their patients or (b) following their treatment but not immediately afterward. In the latter case, we recommend presoaking to be added. Ultrasonic sterilization of 5~15 minutes i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terms of eliminating residual matter from the instruments compared to other methods. To check on the cleaning results, we recommend visual inspection, which can be quick and practical in clinical settings. The latest products being developed and marketed on the market address the related problems. Nonetheless, research must be continued on the effects of presoak, cleaning/rinsing, disinfection, and high-temperature or heating-based sterilization on the dental instruments and on dental clinicians' practices in cleaning,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We advise dental clinicians to select the proper cleaning methods and detergents for their instruments to help eliminate or prevent corrosion, staining, and rusting,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s, and to ensure user-friendly instruments/apparatuses.

  • PDF

한국, 영국, 일본 제품 탄소발자국 기준에 따른 세제, 단열재, 진공청소기 산정 결과 비교 평가 (A Comparative Study for Product Carbon Footprint of Detergent, Heat Insulating Material, Vacuum Cleaner (Korea, UK and Japan))

  • 주홍신;연성모;신유진;김범식;임노현;정헌창;홍응표
    • 청정기술
    • /
    • 제18권4호
    • /
    • pp.440-445
    • /
    • 2012
  • 2007년 영국 Carbon Trust의 Carbon Reduction Label을 시작으로 하여 일본의 CFP (Carbon Footprint Product), 한국 탄소성적표지 인증제도 등 국내외 약 15개 국가 또는 기관에서 제품에 대한 탄소라벨링 제도를 시행중에 있다. 탄소라벨링은 기업이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정량화하고 해당 제품에 대한 라벨링을 부착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한 제도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영국, 일본의 탄소라벨링 제도 운영 현황과 국가별 제도에 대상 세부 산정 기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국내기업 중 청소기, 세제, 포장재료를 대상으로 한국, 영국, 일본 탄소라벨링 기준에 따라 제품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였다. 제품별 평가결과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기준, 배출계수 등의 차이로 동일한 제품의 경우에도 제품의 온실가스 배출량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기업이 국가별로 제품 탄소라벨링을 대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국제표준뿐만 아니라 제품군별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코코넛 오일로부터 유래된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합성 및 계면 특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Carboxylate-Based Anionic surfactant from Coconut Oil Source and Characterization of Interfacial Properties)

  • 이예진;박기호;신희동;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32권3호
    • /
    • pp.260-26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코코넛 오일로부터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SLEC-3을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구조를 FT-IR, 1H-NMR 및 13C-NMR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합성한 계면활성제 SLEC-3에 대하여 임계 마이셀 농도, 정적 및 동적 표면장력, 유화력, 거품 안정성 등의 계면 물성을 측정한 결과, 기존 세제 제품에서 널리 사용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SLES와 비교하여 계면 활성이 보다 우수하고 계면 에너지를 낮추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SLCE-3에 대한 생분해성, 급성 경구 독성 및 급성 피부자극 시험을 실시한 결과, 저자극 및 저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제 및 세정제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구시내 미용실의 보건위생 실태 (Status of Health Hygiene of Some Beauty Shop in Taegu City)

  • 채용곤
    • 환경위생공학
    • /
    • 제16권4호
    • /
    • pp.9-20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sanitary conditions at the beauty shops by informing the owners and employees to be aware of the public health. The data were obtained by the Physical investigation (August 1 to 30, 2001) of the sanitary Problems at 112 beauty shops in Daegu Metrpolitan area and by the surveys from the employees and customers. By analysis these data with SAS/PC+(ver. 6.12) and $x^2-test$, we hav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numbers of the beauty shop workers (67.86% of the shops) were two including the owner, and only 18.75% of the workers had the regular public health training session. Even at the training sessions, no public health specialist was available as an instructor. 2. Sanitary conditions of the floor (92.76%), washer (88.93%) and rest room (74.11%) at the beauty shops were satisfactory. However, only 3.57% of the beauty shop used the vacuum cleaner that would be far more effective than the bloom to remove hairs from the floor. 3. About 91.07% (102 shops) did not or poorly sterilize equipments, and 91.76% (103 shops) did not store the sterilized or non-sterilized equipments separately. The shops that had the ultraviolet sterilizer that is required by the public health regulation were 53.57% (60 shops), and only 2.67% (3shops) actually used it. 4. About 82.14% (72 shops) used Oxyclean and detergent for washing the fabrics such as towels and gowns. About 11.61% (13 shops) used only detergent and 3.57% (4 shops) used the boiling sterilization method. No shop used the customer gown once per customer, and only 2.68% (3 shops) washed the used gown daily.

  • PDF

몇 가지 오염물질과 비료의 처리가 살균제 Oxadixyl의 토양중 분해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me Pollutants and Fertilizers on Degradation of Oxadixyl in Soil)

  • 문영희;김용휘;김영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1-346
    • /
    • 1997
  • 퇴비, 화학비료, 중금속, 합성세제를 첨가한 토양중 살균제 oxadixyl의 분해성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토양중 oxadixyl은 매우 느리게 분해가 진행되는 lag phase후에 분해가 빨라졌으며 분해 반감기는 10.5일이었다. 퇴비 첨가는 oxadixyl의 분해를 크게 촉진시켰다. Oxadixyl의 분해는 칼리 첨가에 의하여 크게 촉진되었으나 질소와 인산에 의하여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토양중 oxadixyl의 분해는 중금속 첨가에 의하여 억제되었으며 억제 정도는 Ni이 가장 컸으며 다음은 Cd, Cr, Cu, Zn순이었다. 합성 세제 첨가 또한 oxadixyl의 분해를 억제시켰다. 각종 물질을 첨가한 토양중에서 oxadixyl의 분해율은 토양의 microbial biomass나 호흡률과 높은 정의 상관 관계를 보여 각종 첨가 물질이 oxadixyl의 분해를 촉진 혹은 억제하는 것은 이들 첨가 물질이 분해 미생물의 생육을 촉진 또는 억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 PDF

식기용 세정제 조성에 있어서 계면물성이 세정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facial Properties on the Detergency in Dishwashing Agent Composition)

  • 오현주;임효선;김영호
    • 공업화학
    • /
    • 제31권2호
    • /
    • pp.193-199
    • /
    • 2020
  • 식기세정용 세정제의 조성에 따른 오일(O) 및 세정수용액(W)의 계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계면물성에 따른 세정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각 조성에 따른 식기표면에 오염된 오일의 세정력과 세척 헹굼 후 오염물 및 세척제의 잔류성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세정제의 조성에 있어서 고체표면에 오염된 오일의 제거는 세척액/오일/고체 간의 계면물성과 깊은 관련이 있었으며, 특히 전진 및 후진 동적접촉각에 크게 의존하였다. 전진 및 후진접촉각이 동시에 낮은 경우에 세정액의 침투성이 매우 커서 고체표면에 오염된 오일의 제거효과가 높았으며 세척 후 오염물의 잔류가 거의 없었다. O/W의 계면장력이 작을수록 오염된 오일의 유화가 잘 되었으며 계면장력이 높을수록 유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유화효과는 세척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특히 낮은 계면장력을 갖는 세정제의 경우 세척 후 세정제 물질이 피세척물의 표면에 잔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폐감률피에서 추출한 limonene 오일의 세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eaning Efficiency using the d-Limonene Oil Extracted in Wasted Mandarin Peels)

  • 송민경;김윤신;임호섭;오은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7-113
    • /
    • 2010
  •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conform of practicable possibility and recycling of producing junk after citrus fruits is processed. With extracting d-limonene oil that have 70~90% a component of oil out of junk citrus peel, making certain the about 12000ppm concentration of it. Limonene derived from citrus in jeju using conventional synthetic detergents can be replaced with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natural detergent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Mostly due to ocean dumping, disposal and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by recycling natural citrus cleaner alternative to the research conducted on the possibility. Cleaning efficiency with temperature did not affect the largest concentrations were able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cleaning efficiency. At least 10% of the d-limonene oil could be from the cleaning performance,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cleaning efficiency was increased in size. Ultrasonic is very high removal efficiency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he cause of pure self-generated ultrasonic cleaning power as co-effects of d-limonene oil appears to chemical cleaning effect of ultrasonic cavitation occurs in the physical cleaning effect due to a combination of synergistic stability is maximized by low concentrations of d-limonene oil in a short time showed an excellent cleaning ability. Having the ability of cleaning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e side recycling in the junk citrus peels reflects possibility of basic materials utility eco-friendly in the skin soap, bath soap, cosmetics etc, through ability of exclusion a contaminant in based cleaning effect(EC) it can prospect substitution effect environmentally in the pre existence synthetic deterg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