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 office

검색결과 1,539건 처리시간 0.029초

영일만 항만에서의 부진동 변화에 관한 연구 (Variation of Harbor Oscillations in Yeongil Bay)

  • 전민수;이중우;정재현;양상용;정영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33-539
    • /
    • 2006
  • 오늘날에 항만부진동의 문제는 대형선박이 입출항하는 항만의 설계에서 가장 현저한 인자로 작용한다. 연안 항만에서 탄성체의 삭으로 계류하고 있는 대형 선박은 장주기파랑과 계류시스템간의 공진으로 인해 종종 이탈되기도 한다. 특히, 장주기 파랑의 증폭비가 현저해지면 화물의 하역에 장애를 가져오며 계류삭이 절단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중 국내에서 부진동의 문제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항만은 포항신항이며, 이에 따른 문제가 도선사 협회나 지역해양수산청으로부터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 항만에서 부진동을 야기하는 장주기 파랑의 내습을 막는 것은 어렵다. 더구나 정부는 이미 포항신항에서 발생하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고 영일만의 입구에서 신항만 건설을 이미착수해놓고 있다. 본 연구는 영일만 입구의 4.1km에 달하는 방파제 건설과 신항만 계획을 반영하여 이들이 항만 부진동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 것인가에 대해 다룬다. 사용한 수치기법은 확장완경사방정식을 사용한 표준형식을 갖춘 것으로 수치실험결과를 이전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관측치와 비교하였으며, 이것이 어느 수준까지의 토론으로 이끌어 낼 것이며 장래 항만개발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본다.

Innovative Geostationary Communication and Remote Sensing Mutli-purpose Satellite Program in Korea-COMS Program

  • 백명진;박재우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29-35
    • /
    • 2007
  • 통신해양기상위성은 다목적 정지궤도위성으로서 Ka대역 통신탑재체, 기상센서 및 해양센서를 하나의 위성플랫폼에 탑재한 복합위성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정부의 자금으로 개발되는 첫번째 혁신적인 정지궤도 통신해양기상위성 프로그램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위성플랫폼은 아스트리움의 EUROSTAR 3000 통신위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세 개의 다른 탑재체를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화성탐사선 Express를 일부 활용하였다. 세개의 탑재체 중 통신탑재체는 스위칭 다중빔 기술을 검증하고 광대역 멀티미디어 통신서비스를 시험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상센서임무는 고해상도 멀티분광 센서로 지속적으로 한반도 기상데이타를 산출하는데 있으며, 세계 최초의 정지궤도 해양센서는 한반도의 어류자원정보 및 장단기 해양정보의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통신임무와 원격탐사임무를 동시에 수행해야 하므로 위성체의 요구사항은 매우 복잡하여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설계 및 조립/시험의 난이도는 매 우 높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안전사고 예방교육이 학생들의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충남지역 일부 초.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School Safety Education on Safety Awareness of Students - Based on Study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Chung-nam -)

  • 이명선;최혜정;김미희;박예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3-105
    • /
    • 2012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resources for developing an effective safety education program. We analyzed the condition of school accidents and safety awareness, and the condition of school safety education and the factors related to safety education. Ultimately, this study can lead the following studies to develop the safety education program realistically, which can effectively change the safety behaviors of Korean students. Methods: We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that was targeted at the schools - three elementary, three middle, and three high schools - located in Chung-nam, from April 1, 2012 to May 2, 2012. Totally, the questionnaires of 578 students were fully filled out. The design of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Results: 1. 64.5%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33%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32% of high school students had experienced more than one safety accident. The frequency of occurrence was the highest in playground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 stairs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most safety accidents occurred during lunch time and at reces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at recess in high school. Further, most of th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the safety accidents had been treated in infirmary (school nurse's offi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n a hospital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2.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safety consciousness fo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18.09 points), middle school (17.68 points), and high school (17.26 points), on a twenty-point scale. (F=3.754, p=0.024). 3. Comparing the factors related to school safety education with safety consciousness,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at gave an answer of the usefulness of safety education showed a high standard in the safety consciousness level. (F=12.347, p=0.002) For the need of safety education, th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that expressed the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showed a high standard in the safety consciousness level. Conclusions: Accordingly, it is true that there are the differences at safety awareness among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enough in that it provides the fundamental resources for developing the effective safety education methods for the subjects.

  • PDF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무릎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Knee Balance Taping Therapy on Knee Pain and Range of Motion in the Elderly)

  • 김두미;김보경;권오윤;박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213-2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무릎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로 자료수집은 2014년 12월 5일부터 10일까지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노인여가복지시설을 이용하며 무릎 통증이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n=21)에게는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을 적용하였고, 대조군(n=19)에게는 테이핑 적용을 하지 않았다. 두 군의 무릎 통증 및 관절가동범위를 중재 전, 중재 1시간 후, 중재 24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test,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조군에 비해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 요법을 받은 실험군에서 무릎 통증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F=34.03, p<.001), 무릎 관절가동범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7.83, p=.006). 본 연구를 통해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무릎 통증에 적용 가능한 독자적인 간호중재임을 확인하였다.

WHO 침구임상 지침서 개정을 위한 국제회의 보고 (Reports on 'Meeting on the Revision of Guidelines for Clinical Research on Acupuncture')

  • 박히준;서정철;김세현;김상우;안경애;임사비나;김용석;최도영;강성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5호
    • /
    • pp.195-199
    • /
    • 2005
  • The Working Group on the revision of Clinical Research Methodology for Acupuncture met in Seoul, Republic of Korea from 24 to 26 August 2005. The main objectives of the meeting were to review the regional publication guidelines for Clinical Research on Acupuncture, to make necessary revisions in the guidelines, to make recommendations on further collaboration and activities in the field of research on acupuncture, and to discuss scientific evidence-based approaches in the clinical research on acupuncture. Fourteen members from the eight Member States, one secretariat staff from the WHO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and ten observers from the Republic of Korea attended the meeting. The members presented their paper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clinical research on acupuncture. The drafts of proposed revision to the previous guidelines for clinical research methodology on acupuncture were discussed extensively. The issues covered during the discussion included: the definition of the new terms; reorganization of clinical research design; revision and update of contents (e.g., control group); introduction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n the section of ethical approval; additional outcomes includ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qualitative measures, etc. In the course of these discussions, the working group developed the revised guidelines for clinical research on acupuncture and made recommendations for promoting the dissemination of the revised guidelines.

  • PDF

학교건축의 공사비 분석 및 예측에 관한 연구 (Construction cost Prediction Model for Educational Building)

  • 전용일;황찬수;박태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90-295
    • /
    • 2004
  • 사회변화와 더불어 학교건물에도 과거와는 달리 복합화 및 다양화 되어지고 있지만 이에 따른 현실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공사비 자료의 분석이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발주기관에서는 예산절감과 품질확보 차원에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공사비 관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교육청에서 발주한 신설학교 설계내역서를 기본자료로 분석하고, 이를 다른 용도의 건물과 비교한 결과 1개교의 평균 건축공사비는 8,017,596천원이고 공사별 분석에서는 건축, 기계설비, 전기 $\cdot$ 통신, 토목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종별공사비는 RC공사가 전체공사비의 $30.3\%$를 차지하고 있다. 학교건물 M2당 공사비는 838,000원으로 11개 용도별 중 6번째로 높고 비교대상의 평균값 953,000원 보다는 조금 낮다. 공사비 구성 비율은 비교대상 보다 건축공사 비율은 높게, 기계설비, 전기 $\cdot$ 통신공사 비율은 조금 낮게 나타났다. 연면적에 대한 단순회귀분석을 통하여 총공사비, 공종별공사비, 주요자재량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식을 제시한다.

  • PDF

대학 플립드 러닝의 효과인식과 계속의향에 기초한 교수학습 지원전략 탐색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ing Strategies based on Effect Recogni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in College Flipped Learning)

  • 강경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1-29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 플립드 러닝에서 학생들의 효과인식과 계속의향에 기초하여 교수학습 지원전략을 탐색한 것이다. 충남에 소재한 K-대학의 15개 플립드 러닝 수업에서 효과인식과 계속의향을 조사하여 426명의 데이터로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학습자 특성으로는 남학생, 고학년, 플립드 러닝에 대해 잘 알고 있는 학생, 이전에 수강 경험이 없는 학생, '언제나 수시로' 동영상 학습을 하는 학생이 효과인식과 계속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교수전략으로는 보충심화형 플립드 러닝 수업과 자연공학영역에서 효과인식과 계속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지원전략으로, 첫째, 대학은 여학생, 저학년을 위한 학습전략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둘째, 교수자의 좋은 플립드 러닝 설계와 운영모델 개발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이 수시로 학습할 수 있는 고품질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개발을 지원하고 넷째, 플립드 러닝 수업을 개발 운영할 수 있는 교수역량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대학의 효과적인 플립드 러닝 수업을 지원하고, 확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중이용업소의 내장재 규정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Regulation of the Interior Materials in Entertainment Occupancy)

  • 이주헌;윤명오;김운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00-107
    • /
    • 2001
  • 건물 내장재는 화재 발생 시 화염 확산 및 유독성 가스발생의 주원인으로 피난안전계획에 매우 중요하지만 다중이용업소의 인테리어 공사 시 화재성능에 대한 검증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어 동일한 유형의 인명피해가 반복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내장재 사용 실태조사를 통해 현행 관련규정상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개선,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구조체 밀착재를 제외한 내장재는 가칭 화재안전코드규정에서 사용규제하고, 소방·방화완비증명제도 시행 전 허가·신고된 다중이용업소는 건축법시행령에 소급하여 적용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며 지하 소규모 업소에 대한 소방방화시설 법제화, 내부 용도 변경 시 내장재사용 도면첨부 및 무단 변경 시 관련기관에 통보조치, 이동성가구에 대한 방염 처리 의무조항 신설, 화재확산 빛 연기 유독성을 기준으로 하는 재료등급 평가 및 시험방법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노인을 위한 신체활동 및 스마트 헬스 케어분야의 경향 (The Physical Activity and Smart Health Care of Trend for the Elderly)

  • 이은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511-516
    • /
    • 2017
  • 이 연구는 노인을 위한 신체활동 및 스마트 헬스 케어분야의 경향과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2006년부터 2017년 현재 시점까지의 논문검색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학술지논문을 분석자료로 선정하였으며, 특허청에 등록된 특허자료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노인, 신체활동, IT, IoT, 헬스케어를 조합하여 검색어로 설정하여 관련주제와 부합된 자료를 추출한 결과 총 102편의 학술논문과 79개의 특허를 대상으로 범주화 및 주제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첫째, 학술논문의 경우 2006년을 시작으로 2010년 연구가 급증하였으며, 2017년 현재까지 학계의 지속적인 관심 영역으로 나타났다. 반면 특허의 경우 2012년을 기점으로 특허등록수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술논문의 경우 5가지 연구영역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디자인, 모니터링 시스템, 시스템, 정책, 기타연구로 분류되었다. 특허의 경우 3가지 형태로 시스템, 기기, 정보 관련 특허로 분류되었다. 후속연구에서는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스마트 헬스 케어 기술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토양내 중금속 및 유류 오염농도 저감을 위한 생화학적 기작의 효율성 평가 (Assessment of Biochemical Efficiency for the Reduction of Heavy Metal and Oil Contaminants in Contaminated Soils)

  • 김만일;정교철;김을영
    • 지질공학
    • /
    • 제22권3호
    • /
    • pp.253-262
    • /
    • 2012
  • 중금속 및 유류 오염토양 정화를 위해 효율적인 토양세척법과 공정 선정을 목적으로 최적의 오염정화 설계인자를 제시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 분석항목은 구리, 납, 아연을 포함하는 중금속 항목과 총석유계탄화수소(TPH)인 유류 항목에 대해 흡광광도법(absorptiometric analysis), 기체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법을 이용하여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실험방법은 최적 세척용매(washing solution) 결정시험, 최적 세척시간(washing time) 도출시험, 최적 진탕비(dilution ratio) 결정시험 등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계면활성제(surfactant) 첨가량별 중금속 용출영향 분석시험, 미생물 및 과산화수소 주입시험 순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결과에서 세척용매인 염산 0.1 mole, 체류시간 1시간, 진탕비 1 : 3 조건에서 오염물질의 저감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이들 조건을 적용하였을 때 1%의 계면활성제를 세척 용매에 첨가하였을 경우 추가적인 오염물질의 농도저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미생물과 과산화수소 주입에 따른 추가적인 TPH 농도 저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