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criptive drawing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초

Walkway system for measuring and training in gait

  • Hirokawa, Sunji;Matsumura, Kouji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7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한일합동학술편); 한국과학기술대학, 충남; 16-17 Oct. 1987
    • /
    • pp.797-800
    • /
    • 1987
  • We developed a biofeedback gait training system; a 12 m measuring walkway with a training walker which moves at prescribed velocity. The walkway measures a.11 temporal and distance factors of gait. This system provides visual feedback for distance factors and auditory one for temporal at the prescribed walking velocity.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normal and degenerative knee joint subjects, and this system was verified to be very useful.

  • PDF

The Development of the Components of the Length Measurement Concept in the Procedure of Measurement Using a Ruler

  • Antic, Milica D.;Dokic, Olivera J.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261-282
    • /
    • 2019
  • The research related to testing pupils' achievement in the field of Measurement and Measure in initial teaching of geometry points to an insufficient adoption of the basic components of the length measurement concept among pupils. In order to discover the cause, we looked at the basic components on which the procedure of measuring length using a ruler is based, highlighted the possibilities of introducing the procedure in measuring length, and determined pupils' achievement during the procedure of measuring length using a ruler. The research sample consisted of 145 pupils, out of which 72 were the 2nd grade pupils and 73 were the 4th grade pupils. A descriptive method was applied in the research. The technique we used was testing, and for the statistical data processing we used a χ2 tes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when drawing a straight line of a given length using a ruler,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achievement between the 2nd and 4th grade pupils, nor in the pupils' knowledge regarding drawing a ruler independently, while drawing a straight line of a given length using a "broken" ruler 4th grade pupils are statistically bette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dicate that pupils' achievement is better in doing standard tasks than in non-standard ones, given that the latter require conceptual knowledge. The components of the concept of length measurement using ruler have not been sufficiently developed yet, and these include: zero-point, partitioning a measured object in a series of consecutive measurement units and their iteration. We shed more light on the critical stage in the procedure of length measurement - the transition from non-standard to standard units and the formation of the length measurement scale. For further research, we propose to look at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length measurement using the ruler through all its components and their inclusion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as well as examining the correlation of pupils' achievement in the procedure of measuring length with their achievement in measuring area (and volume).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유전학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유전간호 역량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Perceived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Genetics and Nursing Competencies for Genetics)

  • 최현경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69-79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to examine Korea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perceived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genetics. Nursing competencies for genetics among nursing students were also assessed. Methods: Two hundred eighty-six Korean junior and seni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ho went through their clinical practicum completed a packet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exploring opinions about the integration of genetics into the nursing curriculum, as well as their perceived knowledge, attitudes, and nursing competencies toward genetic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Results: Overall, Korea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reported limited genetic knowledge, but most of them were comfortable with drawing pedigree. In general, nursing students were competent in providing genetic nursing. Their genetic nursing competen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general understanding of genetic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uniors and seniors regarding knowledge, attitudes, and competencies toward genetics. More than 60% of nursing students reported the need for genetic nursing, and the majority considered lectures to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learn genetic knowledge. Conclusion: It is imperative to integrate genetics into nursing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nursing students' genetic nursing competencies as well as genetic knowledge.

Geometric Modeling and Five-axis Machining of Tire Master Models

  • Lee, Cheol-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 /
    • 제9권3호
    • /
    • pp.75-78
    • /
    • 2008
  • Tire molds are manufactured by aluminum casting, direct five-axis machining, and electric discharging machining. Master models made of chemical wood are necessary if aluminum casting is used. They are designed with a three-dimensional computer-aided design system and milled by a five-axis machine. In this paper, a method for generating and machining a tire surface model is proposed and demonstrated. The groove surfaces, which are the main feature of the tire model, are created using a parametric design concept. An automatically programmed tool-like descriptive language is presented to implement the parametric design. Various groove geometries can be created by changing variables. For convenience, groove surfaces and raw cutter location (CL) data are generated in two-dimensional drawing space. The CL data are mapped to the tread surface to obtain five-axis CL data to machine the master model. The proposed method was tested by actual milling using the five-axis control machin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ethod is useful for manufacturing a tire mold.

Seven Facets of Learning Agility in Higher Education for Future Society

  • SUNG, Eunm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2권2호
    • /
    • pp.169-197
    • /
    • 2021
  • Learning agility as high potentials is drawing attention as a competency for leading an uncertain future society. The present study aims to determine the factors of learning agility in higher education context for future society. To address this goal, Major factors related to learning agility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tatistically verifi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nationwide data were collected from 1,000 undergraduate students in South Korea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participants asked to answer 29 items of learning agility questionnaires (LAQ).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learning agility items were verified normality and reliability. Learning agility was identified seven factors; challenging mind, learning responsibility, reflecting experience, intellectual curiosity, systemic thinking, change adaptability, and logical thinking. Also, the structural model fit of the seven factors of learning agility was also confirmed to be goo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empirical,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were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oposed in detail.

중학교 기술.가정 의생활영역의 서술형 평가문항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descriptive evaluation questionnaire on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 이수경;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9-90
    • /
    • 2011
  •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 의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타당도 신뢰도 높은 서술형 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이를 학생들에게 적용해보고, 평가 결과를 분석해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평가할 내용을 분석하고, 평가 문항을 설계 개발하여 평가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목표 이원분류표와 평가 영역 및 평가 목표 설정을 토대로 서술형 평가 문항 초안을 작성하였고, 채점 기준표와 예시답안을 함께 작성하였다. 전문가 검토와 예비 검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서술형 평가 문항 총 23개를 완성하였으며, 이를 중학교 2학년 2개 학급 총 65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시행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서술형 평가 문항의 타당도는 각 문항별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채점자간 신뢰도는 세 채점자간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발된 평가 문항은 타당하고 신뢰할 만한 문항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개발된 서술형 평가 문항에 대한 학업 성취도는 전반적으로 낮았다. 즉, 알고 있는 지식을 자신의 언어로 표현해서 서술하는 것과 정확하고 구체적인 답안을 작성하는 것을 힘들어했다. 또한 서술형 평가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서술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 학습량의 증가 등이 학생들에게 서술형 평가를 부담스러워 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서술형 평가 방식을 통한 학생들의 평가가 보다 효율적이고 변별력 있게 시행되기 위해서는 서술형 평가를 위한 별도의 학습이나 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앞으로 학생들은 수업시간을 통해서 교과 내용과 관련된 교과서 이외의 다양한 자료를 접해보고, 주어진 문제의 해결 방법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보며, 사고를 확장시키고, 이를 글로 서술하여 표현해보는 연습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서술형 평가가 학교 현장에서 공정하고 객관성 있게 시행되기 위해서는 타당도 신뢰도 높은 평가 문항의 개발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고, 평가 문항의 개발과 관련된 교사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연수와 연찬을 제안해 본다.

  • PDF

설명적 그림을 활용한 정리가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ctorial Represent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 구혜민;여상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2호
    • /
    • pp.131-143
    • /
    • 2016
  • 본 연구는 학업 성취도와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전략으로 수업을 정리하는 단계에서 설명적 그림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6개 학급의 학생 152명(실험 집단 남학생 38명, 여학생 39명, 비교 집단 남학생 36명, 여학생 39명)이었으며, 실험 집단의 학생들은 총 7차시에 걸쳐 학습 내용의 정리를 설명적 그림을 이용하여 하도록 하였고, 비교 집단의 학생들은 학습내용을 전통적인 방법인 글로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명적 그림으로 학습 내용을 정리한 실험 집단과 전통적 정리 방법을 사용한 비교 집단의 사후 성취도 검사 결과, 두 집단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지연된 사후 성취도 검사에서는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학업 성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설명적 그림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사후 성취도 검사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연된 사후 성취도 검사에서는 남학생 중 실험 집단의 성취도 검사 점수가 비교 집단의 성취도 검사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과학적 태도의 향상 측면에서 설명적 그림을 통해 정리하는 방법이 미친 영향을 보면 실험 집단의 점수가 전통적 정리 방법을 활용한 비교 집단의 점수에 비해 호기심, 개방성, 비판성, 협동성, 자진성, 끈기성의 과학적 태도 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과학 개념의 이해와 과학적 태도의 향상에 설명적 그림의 활용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Driver의 개념변화 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의 오개념 교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aching Based on Driver's Conceptual Change Model on Rectifying High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 of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 김동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12-72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에 관련된 오개념을 조사하고, 이를 교정할 수 있는 방안으로 Driver 개념변화 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의 남자고등학교 재량교과 시간에 생물학습을 선택한 1학년 66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생들의 광합성과 식물의 호흡에 관한 개념 정도는 그림그리기와 서술형 검사로 서로 상호적인 방법으로 조사되었다. 광합성과 식물 호흡에 관한 학생의 오개념을 단계별 수준으로 구분 짓는 방법으로 그림그리기 방법을 적용한 결과, 많은 학생들이 과학교과서나 과학자에 의해 이해되지 않은 오개념이 포함된 그림을 그렸으며, Driver 개념 변화 학습 모형 적용 후에는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의 필수 요소인 빛, 이산화탄소, 물, 포도당, 산소, 나뭇잎,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기공, 에너지 등을 포함한 과학적 인 그림을 그렸다.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의 여러 측면에 대한 개념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형 검사 결과에도 사전검사에서는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이 일어나는 시점과 장소, 식물의 영양소, 광합성에서의 잎의 역할,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의 관계에 대해서 많은 학생들이 오개념을 보였으나, Driver 개념변화 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 후에는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에 대한 오개념이 많이 교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분수 이해 분석 - 6학년의 분수 개념 및 분수 나눗셈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Sixth Graders' Knowledge of Concepts and Operations about Fraction)

  • 김민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51-170
    • /
    • 2009
  • 초등학생에게 분수는 추상적인 개념이며 형식화된 이해를 요구하는, 핵심적인 수학적 기초 내용이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중학교 수학으로 연계되는 내용의 위계 구조상 적지 않은 영향력을 끼치는 내용 중 하나가 초등수학에서의 분수 학습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생에게 나타난 분수 개념에 대한 이해와 오류를 분석하고 초등학교 학생이 가장 어려워하는 분수 나눗셈에 대한 표현 능력을 살펴봄으로써 초등수학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과학공학 융합 수업을 통한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공학과 공학자에 대한 인식 변화 (The Change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ption about Engineers and Engineering Practices through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SEI) Lessons)

  • 한누리;남윤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75-290
    • /
    • 2018
  • 본 연구는 과학공학 융합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공학과 공학자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과학공학 융합 수업은 제한된 예산과 시간동안 공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24차시 수업으로 설계되었으며 20명의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데이터는 공학자 그림 그리기와 설명문항, 그리고 이에 대한 개별 인터뷰와 초점 집단 면접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공학자 그리기에 대한 설명과 인터뷰는 전사내용을 토대로 양적(빈도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 질적 분석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과학공학 융합 수업은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공학 설계에 대한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학과 공학자, 그리고 공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인식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공학은 여러 명이 협력하는 사회적인 활동이라는 인식, 그리고 공학자의 윤리의식, 공학의 사회적 가치 등 공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인식도 바람직하게 변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