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loyment methods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8초

센서네트워크 연결성 강화를 위한 거점 노드 혼합 배치 기법 연구 (Mixed Deployment Methods for Reinforcing Connectivity of Sensor Networks)

  • 허노정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6호
    • /
    • pp.169-174
    • /
    • 2014
  • 센서노드를 활용한 응용이 증가함에 따라 센서네트워크의 장기적 운용과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현실적 배치 문제 해결 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 연결성은 네트워크 전체 수명에도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근거리 센싱 정보의 취합 능력에도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는다. 센서네트워크의 구축 시 요구되는 경제적인 이유와 함께 센서 노드가 배치될 필드의 접근성 문제로 임의 배치 기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센서노드의 불균일로 인한 연결성 문제, 비효율적 네트워크 구성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 배치 노드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거점 노드의 혼합 배치 기법을 제안한다. 혼합 배치를 통해 기존 센서 노드의 불균형을 완화시키면서 추가되는 혼합 노드의 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밀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이 단일 센서노드로 구성된 기존의 배치 방식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의 배치 방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Deployment Methods for Smart Monitoring Systems)

  • 허노정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55-62
    • /
    • 2010
  • 모니터링 시스템은 특정 영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신속히 보고하여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로봇화된 산업 생산라인의 공정 모니터링에서부터 산불감지, 침입탐지, 스마트그리드, 환경오염 경보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산업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무선통신의 발달과 저가의 센서를 활용가능하게 되면서 센서네트워크로 대표되는 지능형 또는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모니터링 시스템의 목적이 다양하고 구축비용, 구성 방식, 구축 후 효과 등 많은 부분이 센서 또는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설치된 장소에 영향을 받게 되지만 제한된 방식에 대해서만 배치 기법에 대해 관심을 받아 왔다. 모니터링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배치 기법을 소개하고 배치 시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성능척도들 또한 소개하여 기존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지점을 확인가능하게 하며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시에도 활용가능하다. 성능 척도는 배치과정에서의 효율성과 배치된 이후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유용성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배치과정에서의 효율성은 배치에 소요된 시간, 에너지 소모량, 비용, 안전성, 센서노드 손상율, 확장성(Scalability) 등이며 배치 이후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유용성은 목표지역(ROI) 커버리지(Coverage), 연결성(Connectivity), 균일도(Uniformity), 목표 밀도(target density) 유사성, 단위기간 에너지 소모율 등이다.

Multi-criteria Comparative Evaluation of Nuclear Energy Deployment Scenarios With Thermal and Fast Reactors

  • Andrianov, A.A.;Andrianova, O.N.;Kuptsov, I.S.;Svetlichny, L.I.;Utianskaya, T.V.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7-58
    • /
    • 2019
  • The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multi-criteria comparative evaluation of 12 feasible Russian nuclear energy deployment scenarios with thermal and fast reactors in a closed nuclear fuel cycle. The comparative evaluation was performed based on 6 performance indicators and 5 different MCDA methods (Simple Scoring Model, MAVT / MAUT, AHP, TOPSIS, PROMETHEE) in accordance with the recommendations elaborated by the IAEA/INPRO section. It is shown that the use of different MCDA methods to compare the nuclear energy deployment scenarios, despite some differences in the rankings, leads to well-coordinated and similar results. Taking into account the uncertainties in the weights within a multi-attribute model, it was possible to rank the scenarios in the absence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performance indicators and determine the preference probability for a certain nuclear energy deployment scenario. Based on the results of the uncertainty/sensitivity analysis and additional analysis of alternatives as well as the whole set of graphical and attribute data,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most promising nuclear energy deployment scenario under the assumptions made.

한국 소방력배치의 실태 분석 (Analysis on Deployment of Fire Service Force in Korea)

  • 백민호;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5-7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취락유형별 소방력배치의 실태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경과 수요에 부합하는 적정규모의 소방력배치 여부를 고찰하였다. 소방력기준의 법적 근거와 시 도별 소방력배치 현황에 대한 자료들을 토대로 현행 소방력기준에 따른 소방력배치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통계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취락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취락유형별 소방력배치 모델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취락유형별 소방력배치는 소방수요와 무관하게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소방력배치 기준의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Fire Service Deployment Standard in Korea)

  • 이해평;백민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8-4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현행 소방력기준과 소방력배치 현황의 실태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취락유형별 소방력배치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취락유형별 소방력배치 및 운용을 위하여 현행 표준정원제 중심의 소방력배치 기준에 대하여 구체적인 인력산출 기준을 분석한 다음, 통계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전국의 시와 읍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표준화지수를 도입하여 취락유형 별로 소방환경과 소방수요를 반영할 수 있는 소방력배치의 기준을 제안하였다.

Quality Function deployment:Methods and modeling issues

  • 김광재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홍익대학교, 서울; 1 Nov. 1997
    • /
    • pp.189-192
    • /
    • 1997
  • New product development is a complex managerial process which involves multiple functional groups, each with a different perspective.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 is a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which stresses cross-functional integration. QFD provides a specific approach for ensuring quality through each stage of the product development and production process.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QFD including its concepts and methods, and then proposes an integrated approach to formulating and solving the QFD process. This paper also discusses issues associated with the prescriptive modeling of QFD.

  • PDF

A Survey of Energy Efficiency Optimization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 Abdulkafi, Ayad A.;Kiong, Tiong S.;Sileh, Ibrahim K.;Chieng, David;Ghaleb, Abdulaziz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2호
    • /
    • pp.462-483
    • /
    • 2016
  • The research on optimization of cellular network's energy efficiency (EE) towards environmental and economic sustainability has attracted increasing attention recently. In this survey, we discuss the opportunities, trends and challenges of this challenging topic. Two major contributions are presented namely 1) survey of proposed energy efficiency metrics; 2) survey of proposed energy efficient solutions. We provide a broad overview of the state of-the-art energy efficient methods covering base station (BS) hardware design, network planning and deployment, and network management and operation stages. In order to further understand how EE is assessed and improved through the heterogeneous network (HetNet), BS's energy-awareness and several typical HetNet deployment scenarios such as macrocell-microcell and macrocell-picocell are presented. The analysis of different HetNet deployment scenarios gives insights towards a successful deployment of energy efficient cellular networks.

품질 4.0: 개념, 요소, 수준 평가와 전개 방향 (Quality 4.0: Concept, Elements, Level Evaluation and Deployment Direction)

  • 서호진;변재현;김도현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47-466
    • /
    • 2021
  • Purpose: This article aims 1) to propose Quality 4.0 concept through surveying related literature, 2) to suggest key elements of Quality 4.0 by arranging the elements of Quality 4.0 that appeared in the literature, 3) to determine the levels of Quality 4.0, and 4) to suggest ideas for effective deployment of Quality 4.0. Methods: Eleven papers or documents are reviewed for Quality 4.0 concept; two papers and one document are investigated for key element extraction of Quality 4.0; and smart factory roadmap and industry 4.0 maturity model are studi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Quality 4.0. Results: 1) Quality 4.0 definition is proposed. 2) Three key elements are determined: data acquisition and analytics, connection and integration, and leadership and culture. 3) Six Quality 4.0 levels are determined. 4) Some suggestions are addressed for effective deployment of Quality 4.0. Conclusion: 1) Definition, key elements, levels, and some suggestions on effective deployment of Quality 4.0 are addressed. 2) Specific contents of Quality 4.0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should be provided in the future. 3) Two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oposed.

고도 지능망 구조의 망 연결 방식 비교를 통한 효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comparison about methods of the deployment of AIN)

  • 장경훈;조현준;이성근;이영호;이재섭;김덕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179-2188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ITU-T에서 권고하는 5가지의 망구조 전개 방식 중에서 크게 SCP 와 IP 간의 No.7망을 통해 직접적으로 연결된 방법과 SSP(Service Switching Point)를 통해 간접적으로 SCP(Service Control Point)와 IP(Intelligent Peripheral)를 연결시키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은 기존 TDX-10 구조에서 고도 지능망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프트웨어 기능블럭들을 제안하고 또한 국내에서 연구중인 SSP를 통해 간접적으로 SCP와 IP를 연결시킬 경우 기존의 TDX-10구조에서의 하드웨어적 기능확장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구조에서의 SCP와 IP간의 두가지 연결방식에 대해 수학적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SSP관점에서 성능비교를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망구조 진화 방향으로 볼 때 SCP 와 IP를 통해 NO.7망을 통해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방식이 더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표적의 이동을 고려한 강화학습 기반 무인항공기의 소노부이 최적 배치 (Optimal deployment of sonobuoy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considering the target movement)

  • 배근영;강주환;홍정표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14-224
    • /
    • 2024
  • 소노부이는 수중에서 음파를 활용하여 정보 수집을 수행하는 장치로, 엔진 소음이나 다양한 음향 특성을 감지하여 수중 표적을 정확하게 탐지하는 대잠전에 효과적인 탐지체계이다. 다중상태 시스템에서의 기존 소노부이 배치 방식은 고정된 패턴이나 휴리스틱 기반의 규칙에 의존하므로, 예측하기 힘든 수중 표적의 기동으로 인해 소노부이 투하 개수 및 작전 소요 시간 측면에서 효율적인 배치를 보장하지는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소노부이 배치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중 표적의 이동을 고려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실험 환경에서 강화학습을 이용한 무인항공기의 소노부이 최적 배치를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Unity ML-Agents를 통해 Proximal Policy Optimization(PPO)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상 작전환경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며 무인항공기를 학습한다. 소노부이 투하 개수 및 음원 및 수신기 간의 비용을 고려한 보상 함수를 설계하여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한다. 동일한 실험 환경에서 강화학습을 적용한 배치 방식과 기존 소노부이 배치 방식을 비교한 결과, 탐지 성공률, 투하된 소노부이 개수, 작전 소요 시간 측면에서 강화학습을 적용한 배치 방식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