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ental disorder

검색결과 511건 처리시간 0.025초

장애인의 미충족 치과치료 실태조사 (Survey of Unmet Dental Treatment Needs among Adult Disabled)

  • 진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501-7507
    • /
    • 2015
  • 이 연구는 장애인 대상 치과진료 필요자 중 치과의료 서비스 미충족율과 그 이유를 조사하고, 미충족 치과치료에 따른 구강상태를 분석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 대상 중 만 19세 이상 장애등록 응답자 444명을 선정하였고, 그 중 구강검진과 설문조사를 완료한 대상자 375명을 최종분석하였다. 장애유형은 6종류(지체장애, 뇌병변장애, 감각장애, 발달장애, 정신장애, 내분비장애)로 분류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미충족 치과치료 대상자는 128명이었으며, 최근 1년 동안 치과진료를 받지 못한 가장 주된 이유는 '경제적인 이유로'에 대한 항목이 49.2%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른 문제에 비해 덜 중요하다고 느껴서'에 대한 항목이 18.0%이었다. 치주질환과 영구치우식경험을 가진 장애인 중 미충족 치과치료 빈도와 진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치과진료 자원의 가용성 측면에서 장애인 수 대비 적절한 치과진료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여 치과진료 서비스의 원활한 이용이 요구된다.

Could Crepitus Be an Indication for Early Temporomandibular Joint Osteoarthritis?

  • Ju, Hye-Min;Lee, Sun-Hee;Jeon, Hye-Mi;Kim, Kyung-Hee;Ahn, Yong-Woo;Ok, Soo-Min;Jeong, Sung-H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4권2호
    • /
    • pp.45-53
    • /
    • 2019
  • Purpose: To determine whether crepitus may be a clinical indication for early temporomandibular joint (TMJ) osteoarthritis (OA)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repitus and the occurrence of TMJ OA with respect to factors, such as patient sex, age, chewing habits, and diagnosis. Methods: This is retrospective analysis of clinical data for 162 TMJs. The criteria for a joint to be included in this study was a minimum of two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s performed with no OA observed during the initial scan. The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as used for OA diagnosis. Crepitus was recorded when it was objectively palpat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Correlations between various patient factors and progression to TMJ OA were calculated using the Pearson's chi-square test. A linear-by-linear association was used to analyze trends of OA progression with increasing age. Results: Among the 162 joints, 101 progressed to OA and 61 did not. In the joints where crepitus had been present before OA was confirmed at next or last CBCT, OA progressed at a high rate, and especially higher in female and older patients (p<0.01). Patients in the pain-related disorder group with crepitus were observed to have higher rates of OA progression compared to patients in the intra-articular disorder group (p<0.01). Conclusions: If a patient experiences pain in the TMJs and crepitus, close monitoring through regular CBCT scans is necessary even if there is no evidence of radiologically confirmed OA after the first CBCT.

Bifid Rib Jaw Cyst Basal Cell Nevus Syndrome: A Case Report

  • Anand, Ruchi M.;Mishra, Sunil S.;Degwekar, Shirish S.;Bhowate, Rahul R.;Motwani, Mukta B.;Rawlani, Shivlal M.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4권1호
    • /
    • pp.33-37
    • /
    • 2011
  • Gorlin-Goltz syndrome is an autosomal dominant disorder with a high degree of penetrance. It is characterized by basal cell carcinomas, odontogenic keratocysts, palmar and plantar pits and ectopic calcifications of falx cerebri. The presence of two major and one minor criteria or one major and three minor criteria are necessary to establish a diagnosis.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Gorlin-Goltz syndrome, as well as family screening and genetic counseling are essential as it may be associated in 10% of patients with aggressive basal cell carcinoma and malignant neoplasias. We report here a patient with Gorlin-Goltz syndrome.

구강악안면외과 영역에서 레이저의 이용 (THE USE OF DENTAL LASER IN ORAL AND MAXILLOFACIAL FIELD)

  • 김영균;김현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3호
    • /
    • pp.298-302
    • /
    • 1999
  • Currently dental laser is used at a variety of dental treatment and many favorable clinical case reports are presented. We performed this study for the presentation of the validity of dental laser which are available and supportable in the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From October, 1998 to March, 1999, dental laser was used in 70 cases. Male patients were 38, female 32. The age ranged from 5 to 77, with a mean of 45.4. Indicated cases were 18 chronic periodontitis, 11 infections, 6 atypical pain, malignant or benign tumor, precancerous lesion, abnormal frenum, TMJ disorder, mucocele, and so forth. $CO_2$ laser(Sharplan 15F, Sharplan Co.) was used in 40 cases, Ho-YAG laser(Duopulse 2000, Excel Co.) 11, Nd-YAG(Duopulse 2000, Excel Co.) 18. We present and discuss about the objectiveness, availability, and future application of laser with case reports.

  • PDF

뇌성마비 환자의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 (Dental Treatment of a Patient with Cerebral Palsy under General Anesthesia)

  • 정준민;서광석;이영은;한희정;한진희;김혜정;신터전;김현정;염광원;장주혜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2-28
    • /
    • 2008
  • Background: Cerebral palsy (CP) is non-progressive disorder of motion and posture. In CP patient, there are difficulties in dental treatment because of uncontrolled movement of limb and head, and conjoined disabilities such as cognitive impairment, sensory loss, seizures, communication and behavioral disturbances. It is reported that CP patients have high incidence in caries and a higher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But, despite the need for oro-dental care, these patients often are unlikely to receive adequate treatment without sedation or general anesthesia because of uncontrolled movements of the trunk or head. Methods: We reviewed the 58 cases of 56 patients with CP who underwent outpatient general anesthesia for dental treatment at the clinic for the disabl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Results: The mean age was 19 (2-54) years. The number of male patient was 40 and that of female was 18. They all had severe spastic cerebral palsy and 22 had sever mental retardation, 15 epilepsy, 8 organic brain disorder, 1 blindness, 2 deafness and cleft palate. For anesthesia induction, 14 cases was needed physical restriction who had sever mental retardation and cooperation difficulty, but 44 cases showed good or moderate cooperation. Drugs used for anesthesia induction were thiopental (37 cases), sevoflurane (14 cases), ketamine (3 cases ) and propofol (4 cases). All patients except one were done nasotracheal intubation for airway management and 4 cases were needed difficult airway management and 1 patient already had tracheostomy tube. Mean total anesthetic time was $174{\pm}56$ min and staying time at PACU was $88{\pm}39$ min. There was no death or long term hospitalization because of severe complications. Conclusion: If general anesthesia is needed, pertinent diagnostic tests and workup about anomaly, and appropriate anesthetic planning are essential for safety.

  • PDF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환아의 증례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CASE REPORT)

  • 소정원;라지영;이광희;안소연;김윤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82-487
    • /
    • 2010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학령기 어린이의 가장 흔한 정신장애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ADHD 어린이들은 자극에 선택적으로 오래 집중하는 것을 어려워하고, 말이 많거나 허락 없이 자리에서 일어나고 뛰어다니며, 팔과 다리를 끊임없이 움직이는 등 활동 수준이 높다. 또한 충동적인 성향이 있어서 넘어지거나 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많다. 이에 치과치료 시 행동조절, 구강위생, 외상 등의 문제를 예상할 수 있는 바, 치과의사의 관심이 증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증례는 ADHD로 진단받은 만 8세 여아로 약물진정 및 심리적인 행동조절법을 이용해 치과적 주소를 해결해 주었고, 문헌고찰을 통해 다소의 지견을 얻었다.

미각 장애 환자의 임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Taste Disorders)

  • 이은진;박원규;남진우;윤종일;고홍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4호
    • /
    • pp.341-351
    • /
    • 2009
  • 사람들은 미각을 통해 음식물의 영양분과 안전성 여부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식욕이 자극되고 만족되므로 미각은 음식물을 섭취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미각이 상실되거나 왜곡된 환자들의 경우 섭식 양상에 변화를 일으켜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다. 미각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는 매우 다양하며 미각의 장애 양상 또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미각은 주관적인 감각으로 다른 감각들과는 달리 객관적으로 평가하기가 까다로우며, 맛을 느끼는데 있어서 미각뿐 아니라 후각, 촉각, 온도감각, 심리 상태 등 여러 다른 요소들의 영향을 받으므로 미각 이상을 나타내는 환자들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므로 실제 임상적 상황에서 미각장애의 평가를 위해서는 무엇 보다도 신중하고 철저한 병력청취와 임상적 증상의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미각은 시각이나 청각과 같은 다른 감각에 비해 그 동안 주목을 받아오지 못한 분야였으나,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삶의 질을 중시하게 됨으로써 최근 미각 장애로 내원하는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각 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미각 장애를 주소로 2005년 1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50명(남 12명, 여 38명, 평균 연령 $53.6\;{\pm}\;14.7$ 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담을 통하여 현재 미각 장애의 증상과 관련된 사항들과 그 밖의 의과적 치과적 병력, 투약, 미각 장애 외의 구강 증상들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구강 검진, 설문지 작성, 방사선 사진 촬영, 혈액검사, 타액분비율 측정 검사 등의 임상적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각 장애 환자들 중 구강 점막의 통증 혹은 작열감을 호소한 환자가 36명(72%)이었다. 이들 중 구강점막에 특별한 병소를 보이지 않는 구강작열감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는 18명(36%)이었다. 2. 전체 환자들 중 19명(38%)의 환자가 주관적 구강건조감을 호소하였으며, 타액분비율 측정 결과 비자극시 타액분비율이 0.1 mL/min 이하인 환자는 14명(28%)이었고, 자극시 타액분비율이 0.5 mL/min 이하인 환자는 17명(34%)이었다. 3. 미각 장애의 종류로는 미각감소(hypogeusia)가 25명(50%)으로 가장 많았으며, 미각왜곡(dysgeusia)이 18명(36%), 환상미 각 (phantogeusia)이 15명(30%), 미각과민(hypergeusia)이 10명(20%), 미각상실(ageusia)이 5명(10%) 이었다. 전체 50명 중 19명(38%)의 환자가 두 가지 이상의 미각 장애의 종류를 나타내었으며, 가장 많은 조합은 미각왜곡과 미각감소를 같이 보이는 경우였다. 4. 미각 장애의 원인이나 관련요인은 병력조사와 임상검사를 토대로 평가하였으며, 구강점막질환이나 원인불명인 경우가 각각 9명(18%)으로 가장 많았다. 그 밖에 심인성이 8명(16%), 약물이 7명(14%), 구강건조증이 6명(12%)으로 나타났으며, 이 5가지의 항목이 전체의 78%를 차지하였다.

턱관절 장애로 인한 청각장애의 치료: 증례보고 (Treatment of hearing loss due to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Case Report)

  • 강동우;김영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4호
    • /
    • pp.204-212
    • /
    • 2019
  • Introduction :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may have various ear-related symptoms. If an exc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ear area due to the skeletal shape of the mandibular condyle or malposition of the disc, an auditory problems may occur. Case report : The patient was referred to our clinic due to the suspicion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from the local otorhinolaryngology clinic. A few days ago, his right ear could not be heard. MRI showed that the left TMJ disc was anterior displacement with reduction, the right TMJ disc was anteromedial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Also Right mandibular condyle showed sclerotic bone change, subchondral cyst and was compressing the frontal wall of the ear on MRI view. Right TMJ arthroplasty was done under the diagnosis of right TMJ osteoarthritis and osteochondroma. Postoperative intermaxillary fixation was done with SAS screw and elastics for 2 weeks. One month after the operation, hearing and TMJ discomfort were recovered without any complications. Conclusions As seen in this case, hearing loss due to benign tumor-like lesion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should be treated surgically to restore the TMJ function and hearing.

  • PDF

일부지역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측두하악장애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Occupational Stress of the Some Local Workers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 이정화;박의정;최정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15
    • /
    • 2009
  • 측두하악장애의 절정기 연령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측두하악장애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함으로서 측두하악장애의 예방과 치료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8년 1월 7일부터 1월 26일까지 D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서비스직, 사무직, 생산직 근로자 21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10.0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별 정도, 측두하악장애 유무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 직무스트레스정도와 측두하악장애에 관한 상관관계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에서는 관절잡음에서 가끔 그렇다 45.8%, 자주 그렇다 12.0%였고, 관절탈구는 가끔 그렇다 12.0%였다. 저작시동통에서는 41.2%, 비저작시동통에서도 24.1%가 가끔 경험하고 있었다. 개구장애에서는 2.8%가 자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관절 잡음에서는 연령에 따라 30대에서 가장 높이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 0.05), 관절탈구에서는 근무기간이 1년미만 37.9%, 3년미만 31.0%, 5년미만 20.7%로 근무기간이 짧을수록 많았으며, 근무 형태에서는 교대 34.5% 보다는 주간 근무 58.6%가 높게 나타났다(P < 0.05, P < 0.01). 또한 저작 시 동통에서도 근무기간이 낮을수록 유병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개구장애에서는 근무기간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3. 개구장애가 있는 근로자는 직무자율성에서 스트레스를 더 높게 나타났고(P < 0.05), 탈구유무와 비저작시 동통과는 관계갈등 부분에서 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P < 0.05, P < 0.01). 직무불안정이 높은 근로자일수록 탈구유무와 비저작시 동통에 문제가 있었으며, 탈구에 문제를 가진 근로자가 보상부적절에 관한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05). 4. 관절탈구가 있을 경우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보상부적절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P < 0.01, P < 0.05), 비저작시 동통이 있는 근로자 일수록 관계갈등, 직무 불안정에 대한 스트레스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 0.05, P < 0.01). 개구장애가 있을수록 직무자율성에 대한 스트레스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 PDF

측두하악장애의 치료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 정다운;정아영;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4호
    • /
    • pp.441-452
    • /
    • 2012
  • 다른 근골격성 질환에서와 같이, 측두하악장애의 징후와 증상은 일시적이거나 자기 한정적(self-limiting)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복잡한 교합 치료나 수술과 같은 비보존적, 비가역적 치료를 초기치료로 선택하는 것은 가급적 피해야 한다. 또한 자가요법, 행동 수정, 물리치료, 약물요법, 장치치료 등과 같은 보존적, 가역적 치료가 측두하악장애의 초기치료로 추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