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otivation in learning English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A Comparative Analysis of Demotivation in Secondary English Classes

  • Kim, Kyung-Ja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4호
    • /
    • pp.75-94
    • /
    • 200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demotivation factors and compare the factor between two secondary school student groups. It furthermore examined how the factors related to students' L2 proficiency. A 31-item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07 junior (JH) and senior high school (SH) students. Five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the principal axis factoring: Teachers' competence and teaching styles, Dissatisfaction with English classes and grading system, Difficulty of learning English, Lack of motivation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and Inadequate learning contents. Although both JH and SH students did not perceive their English teacher as a strong attribution of demotivation, Difficulty of learning English and Dissatisfaction with English classes and grading system were the two strongest demotivating factors. When compared the overall mean scores of each factor between JH and SH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factors except Factor 4, with SH students reporting stronger demotivation. JH students attributed their demotivation to Difficulty of learning English, while SH students attributed that to Dissatisfaction with English classes and grading system. Both groups tended to attribute their demotivation to external forces. The study also showed that several demotivation factors related negatively to L2 proficiency.

  • PDF

사이버대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와 탈동기화 연구 (A Study on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Demotivation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 김남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29-140
    • /
    • 2019
  • 본 연구는 온라인으로 학습하는 사이버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학습 동기와 탈동기 요인과 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동기와 탈동기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H 사이버대학교 재학생 중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하는 총 49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기술통계, t-검정, ANOVA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자들의 영어 학습 동기 하위요인 별 평균은 이상적 제2 언어 자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도구성(장려)의 순이었다. 영어 학습 탈동기 하위요인 별 평균은 불안감, 부정적인 학습투자 가치의 순서였다.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른 영어 학습 동기와 탈동기 차이 분석으로는 영어 학습 동기에서는 성별의 경우 필연적 제2 언어 자아 요인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업 유무는 도구성(장려) 요인에서 학생인 대상자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나이에서는 경쟁적 동기 요인과 도구성(장려) 요인에서 대상자의 나이가 젊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영어 학습 탈동기 차이에서는 불안감, 수동적 학습 태도, 부정적인 학습투자 가치 요인에서 모두 여성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직업 유무는 부정적인 학습 투자 가치 요인에서만 직업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의 탈동기 요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목표를 가진 사이버대학교 성인 영어 학습자를 위한 온라인 영어교과 개발에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