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hydration time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34초

Germination of West African Ebony (Diospyros mespiliformis Hochst) Seeds: Effects of Dehydration and Different Pre-sowing Treatments

  • Kanmegne, Gabriel;Mbakop, Christelle Nya;Fonkou, Theophil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4호
    • /
    • pp.267-273
    • /
    • 2020
  • Diospyros mespiliformis is a highly valued and threatened tree species within the Sahelo-Sudanian zone of Africa, but its seed germination requirements under cultivation are not well researched. In a first experiment which aimed at determining germination response of seeds to dehydration, fresh seeds were dried at room temperature for 26 days during which their moisture content, their germinability, and their viability were monitored at two-day intervals. In the second experiment, 14 pre-germination treatments were tested for their effect on the germination of dried seeds. Results showed that fresh seeds had 52.7% moisture and achieved 97.7% germination. As seeds were dried, percentage germination gradually decreased with decreasing moisture content and reached 0% when moisture content had dropped to 18%. Meanwhile, seed viability remained at 100% over drying duration. Seeds that were not germinated after air dry also recorded 100% viability.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inducing germination of dried seeds was scarification using 98% sulfuric acid for 30 min which resulted in 96.6% germination. This study reports for the first time in D. mespiliformis seeds a desiccation-induced dormancy which can be efficiently alleviated by acid scarification.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hat will contribute to efficient management of D. mespiliformis seed resources for propagation.

인간포배기 배아의 효과적인 유리화 동결법의 개발을 위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Vitrification of Human Blastocysts)

  • 이상민;이주희;이상원;이승민;윤산현;임진호;박흠대;이성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0권3호
    • /
    • pp.241-248
    • /
    • 200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 of vitrified blastocyst according to the freezing vessels, equilibration time in cryoprotectant and artificial dehydration method. Methods: Human blastocysts were vitrified after loading onto the plastic straw, open-pulled straw (OPS), electron microscopy grid (EM grid) for 1.5 min or 3 min. They also were directly plunged into LN2 within 30sec. For artificial shrinkage of blastocysts, 36 gauge fine needle was pushed at the cellular junction of the trophectoderm into the blstocoele cavity until it shrank without damage of inner cell mass. Results: The survival rate of vitrified blastocysts on plastic straw, OPS, EM grid as freezing vessels were 26.7, 13.0 and 60.5%,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 of EM gri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lastic straw and OPS (p<0.05). For 1.5 min equilibrium, the survival rates of early blastocyst (EB), middle blastocyst (MB) and late blastocyst (LB) were 64.4, 81.0, and 20.0% respectively. For 3 min equilibrium, the survival rates of EB, MB, and LB were 69.9, 50.0 and 57.5%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s of EB and MB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B in 1.5 min equilibrium group (p<0.05), however, the significance was not observed in 3 min equilibrium groups. In cytoplasmic shrinkage before vitrification, the survival rates of EB, MB and LB were 92.9, 100 and 75.9%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 of MB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B (p<0.05). The survival rates of vitrified blastocysts by artificial dehydration and slow-frozen blastocys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88.9 and 66.7%,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vitrification of human blastocysts using EM grid and artificial dehydration is an effective method. Therefore, these methods would be an useful techniques for blastocyst cryopreservation.

생물고분자응집제 Biopol32의 산업폐수에 대한 응집활성 및 탈수효과 (Flocculating Activity and Dehydration Efficiency of Biopolymer Flocculant Biopol32 in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 이명은;오나라;서현효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62-368
    • /
    • 2019
  • Pseudomonas sp. GP32가 생산하는 생물고분자 응집제 Biopol32의 실제 응용, 개발을 위하여 식품폐수, 도축폐수, 염색폐수에 대하여 응집효과를 검토하였다. 식품폐수의 경우 pH 6.0에서 70%의 화학적산소요구량(COD) 감소율과 49%의 부유고형물(SS)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도축폐수에서는 pH 4.0에서 61%의 화학적산소요구량 감소율과 91%의 부유고형물 제거율을 보였으며, 염색페수의 경우 pH 5.0에서 72%의 화학적산소요구량 감소율과 92%의 부유고형물 제거율을 보였다. 응집과정에서 형성되는 floc의 크기는 Biopol32 용액을 최종농도 20 ppm으로 첨가하였을 때 10 mm였고 이때 탈수효율은 62%였다. 생물응집제 Biopol32 첨가구와 합성응집제 PAA 첨가구에서 탈수효율이 전반적으로 가장 좋은 응집제 첨가 농도는 20 ppm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이때 자연한계함수율(78.1%)에 이르는 최단의 여과시간을 얻을 수가 있었다.

고온하의 시멘트 경화체의 공극구조 (Pore Structure of Cement Matrix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 송훈;도정윤;소승영;소양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09-512
    • /
    • 2003
  • Dehydration and micro crack thermal expansion occur in cement hydrates of concrete structure heated by fire for a long time. The characteristic of concrete exposed to high temperature can be analyzed from distribution of porosity and pore size. Porosit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rrespective of specimen types. This is due to both the outbreak of collapse of gel comprising the cement and a micro crack by heating. Porosity did not affect the variety of specimen and increased with the same tendency throughout every specimen. In addition, the deteriorate of compressive strength resulted from increase in porosity

  • PDF

초음파 에너지가 mn-Zn Ferrite 분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ltrasonic Energy on Mn-Zn Ferrite Powder Behavior)

  • 이경직;이대희;이석기;이병교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751-755
    • /
    • 1999
  • Effect of ultrasonic-wave irradiation on the Mn-Zn ferrite powder suspension prepared by solid-state reaction and alcoholic dehydration methods was investigated. Size distribution and morphology of the powders prepared at different temperature were examined as a function of irradiation time. It was observed that the powders were reduced in size by ultrasonic energy through distinct routes.

  • PDF

금속 알콕시드로부터 유리의 합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Glasses from Metal Alkoxide)

  • 최석진;김병훈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7-134
    • /
    • 1984
  • Basic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monolithic glasses from metal alkoxide has been done concerning gelling of silicon alkoxides and dehydration of those gells. The felling time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Carbon number of alkyl radical of alkoxide and am-ount of water and the lower pH value of water. Large portions of water and organic materials were rem-oved below 25$0^{\circ}C$ and shrinkage of glass took place above 80$0^{\circ}C$ Therefore heating up to 25$0^{\circ}C$ and above 75$0^{\circ}C$ must be done gradually with rate of 0.5$^{\circ}C$/min.

  • PDF

육포 제조시 염의 확산속도 및 건조 특성 (Diffusion of Salt and Drying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 이신우;이보수;차원섭;박준희;오상룡;조영제;김종국;홍주헌;이원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08-515
    • /
    • 2004
  • 육포에 대한 염성분의 침투정도를 알고자 침지온도, 침지액의 농도 그리고 시간에 대한 염침투량을 조사하였다. 시간의 변화에 따른 소금의 확산량은 침지 2시간 내에 평형농도의 $60\%$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하다가 그이후에 증가 폭이 둔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침지액의 염농도와 침지 시간은 증가할수록 확산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미 침지 육포의 건조 시간에 따른 수분감소 정도는 열풍건조가 가장 크고 냉풍건조 그리고 천일건조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분의 함량변화는 열풍건조의 경우 2시간 건조 후 평형수분함량이 되었고, 냉풍건조와 천일건조의 경우 6일 건조 후 평형수분함량에 다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 초기 때 건조속도상수가 냉풍건조의 경우 건조일수 2일일 때보다 15배 이상이나 큰 값으로 나타나며, 천일 건조의 경우에는 6배 이상으로 열풍건조의 경우 처음 1시간 내의 건조 상수가 2시간째의 경우보다 약 2배 가까이 큰 값을 나타내었다. 초기 건조기간 내에 냉풍건조의 경우 $80\%$ 이상, 천일건조의 경우 $75\%$ 이상 그리고 열풍의 경우 $50\%$ 이상의 수분이 제거되었다. 육포의 품질특성으로는 기호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색도와 조직감을 측정하고 건조방법별로 비교하였다. 냉풍건조가 열풍건조에 비해서는 밝고 가장 선홍색을 띠고 낮은 황색 값을 나타내 열풍건조나 천일건조에 비해 육색소의 산화가 적게 일어난 것으로 판단되어 가장 좋은 품질적 상태를 유지하였고,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열풍건조의 경우 경도와 씹힘성 그리고 인장력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천일건조와 냉풍건조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절단 응력에서 천일건조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화학열펌프에 있어서의 무기수화물계 축열시스템에 관한 연구(III) -Ca(OH)2 탈수반응층의 전열해석- (A Study on the Heat Storage System for Chemical Heat Pump Using Inorganic Hydrates (III) -Numerical Analysis of Heat Transfer in Ca(OH)2 Dehydration Packed Bed-)

  • 박영해;이영세;김종식
    • 공업화학
    • /
    • 제7권6호
    • /
    • pp.1181-1191
    • /
    • 1996
  • 본 연구는 고온용 열구동형 화학열펌프에 있어서 폐열 및 태양에너지를 유용하게 이용하기위한 목적으로 $Ca(OH)_2$ 탈수반응시 원주형 반응기 충진층내 핀을 주입 전열촉진한 경우의 전열 및 반응촉진효과에 대해 이론적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탈수흡열 반응시 반응층내 온도분포변화, 반응완결시간, 방열량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 구리판 전열핀을 설치한 경우 입자 충전층의 탈수반응 소요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었으며, 본 실험조건 하에서는 전열핀을 주입하지 않았을 때보다 탈수반응 소요시간이 1/2정도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석결과 열화학반응은 온도 및 농도에 주로 의존하였고, 경계조건과 입자충전층의 열전도도에 의해 크게 좌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소프트콘택트렌즈 건조로 인한 렌즈 형태 및 TBUT의 변화 (Changes of Lens Morphology and TBUT by Dehydration of Soft Contact Lens)

  • 박미정;이유나;강규은;이민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
    • /
    • 2008
  • 목적: 본 연구에서는 건안에 착용되어 지속적으로 건조한 상태에 노출되거나 관리 부주의로 건조한 상태가 되었던 소프트콘택트렌즈(soft contact lens, SCL)에 발생되는 렌즈의 형태 및 렌즈 착용시의 누액 안정성에 나타나는 변 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함수율과 두께, 재질이 상이한 소프트콘택트렌즈들을 각각 인위적으로 2회 또는 4회 건조시키고 다시 수화시킨 후 렌즈 전체직경 및 곡률반경을 측정하였다. 또한,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시의 눈물파 괴시간(tear film break-up time, TBUT)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건조과정에 의하여 함수율 70% 소프트콘택트 렌즈와 59% 소프트콘택트렌즈 모두에서 전체직경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함수율 59%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전체직경의 변화 정도가 더 컸다. 함수율 59%의 소프트콘택트렌즈는 건조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곡률반경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함수율 70%의 소프트콘택트렌즈는 2회 건조시에는 곡률반경에 변화가 없었으며, 4회 건조시에는 곡률반경이 크게 증가하였다. -1.00 D 소프트콘택트렌즈는 -9.00 D 소프트콘택트렌즈 보다 직경의 감소 정도가 더 컸다. 또한, -1.00 D 소프트콘택트렌즈는 건조횟수가 증가하면 곡률반경의 증가정도가 커지는 반면, -9.00 D 소프트콘택트렌즈는 2회 건조시나 4회 건조시에 곡률반경의 차이가 없었다.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재질인 lotrafilcon B의 직경 및 곡률반경 변화는 HEMA와 N-vinyl pyrrolidone의 공중합체인 hilafilcon B보다 더 적었다. 렌즈를 착용하였을 때의 TBUT는 건조되었던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시 감소하였다. 결론: 소프트콘택트렌즈가 건조되었을 때 수화 과정을 거치더라도 렌즈의 전체직경 및 곡률반경이 변하였으며, 렌즈 착용시의 TBUT가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건조 되었던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을 때의 착용감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건조로 인한 소프트콘택 트렌즈의 형태 변화 및 TBUT 변화는 함수율, 두께, 재질에 따라 상이하였다.

  • PDF

Modeling and parameter estimation of a fish-drying control system

  • Sakai, Y.;Wada, K.;Nakamura, H.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2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제학술편); KOEX, Seoul; 19-21 Oct. 1992
    • /
    • pp.440-445
    • /
    • 1992
  • The major purpose here is to estimate the drying time required in the fish-drying process employed. The basic element of the prediction of the drying time is the model or the equation, which governs the change in weight. By an intuitive consideration on the mechanism of dehydration, a mathematical model of the fish-drying process is built, which is described by a system of linear differential equations. Further, a modified system of linear differential equations for a model of drying is also proposed for more accurate estimation. The parameter estimation of this system of equations provides the prediction of necessary drying 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