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ree of obesity

검색결과 383건 처리시간 0.027초

65세 이상 노인과 65세 미만 성인의 고혈압 위험요인 (Risk factors for hypertension in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and adults under age 65)

  • 김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62-169
    • /
    • 2019
  • 본 연구는 65세 미만 성인과 65세 이상 노인에서 고혈압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6차 고령화 연구패널조사를 활용하여 6,152명의 연구대상자를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을 이용하여 카이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고혈압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는 65세 미만 성인과 65세 이상 노인 둘 다에서, 주관적 건강상태, 당뇨병 유무, 심장질환 유무, BMI에 따른 비만정도가 위험요인으로 나타났고, 65세 미만에서는 만성폐질환, 소화기계 질환, 음주가, 65세 이상에서는 거주지역, 관절염 및 류마티스 질환, 흡연, 인지기능 정도가 고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체계적이고 정책적인 만성질환관리가 절실하다. 특히, 나이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는 고혈압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연령대에 따른 위험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개인적 노후준비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사회복지수준 향상 및 노인복지대책을 통해 질병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남녀 대학생의 지방에 대한 영양지식과 실천도 (College Students' Nutrition Knowledge and Practices toward Dietary Fat)

  • 원향례;이승교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1-87
    • /
    • 2006
  • This study was made for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the nutrition knowledge about fat, fat contents in food, and practice toward fat. The result is as follows;1.Out of 13 questions inquiring the knowledge about fa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in 10 questions. Male students' nutrition knowledge about fat was $6.33{\pm}0.16$, and that of female students' was $6.33{\pm}0.16$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ratio of correct answer was 49% and 59% respectively. Female students marked high ratio of correct answer such items as ${\omega}-3$ fatty acid, the relation between high fat diet and atherosclerosis(coronary disease), the relation between obesity and fat, the relation between ${\omega}-3$ fatty acid and heart disease, cholesterol, fatty acid in butter, degree of unsaturation in liquid oil, margarine, chicken fat, rancity of fat. 2.Male students' total score of knowledge about fat quantity in food was $4.91{\pm}0.10$ and that of female students was $5.58{\pm}0.10$.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001) and the ratio of correct answer was 55% and 62% respectively. Out of 9 food items,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7 items according to student's majoring subject. The ratio of correct answer for the questions about the quantity of fat in food female showed high figures in such items as white meat(p<0.01), whole milk(p<0.0001), skim milk(p<0.01), potato chips(p<0.001), biscuit(p<0.001). However, male students showed high figures on the question about the quantity of fat in vegetable margarine. 3. Out of 12 items observing the degree of diet practice on fat,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6 items. Female students practice the question items positively with high ratio: intake of fish instead of meat(p<0.01), removing visible fat in meat(p<0.0001), removing chicken skin(p<0.0001), removing oil during cooking (p<0.05), selection of low fat milk or skim milk(p<0.05), selection of meat part(p<0.00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practicing diet on fat (p<0.001) and the total score was $31.52{\pm}0.52$ and $34.65{\pm}0.41$ respectively.

  • PDF

경남 일부 지역 여자 대학생의 상하체 균형 계측치와 운동 습관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the Upper and Lower Body Balance and Exercise Habit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Some Parts of the Gyeongnam)

  • 김영식;윤임실;이원준;남정수;윤중수;윤려민;정한나;고재식;최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35-542
    • /
    • 2010
  • 경남지역 모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자 대학생 212명을 대상으로 인체 계측과 건강에 관련된 습관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0.7 세, 신장은 161.8 cm, 체중은 53.5 kg이었으며, 비만도는 98.4%이었으며 체질량 지수는 $20.6\;kg/m^2$이었고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은 0.80이었다. 이와 같은 신체 계측치는 한국인의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것이지만, 조사 대상자의 63.7%가 상체가 하체에 비하여서 불균형적으로 약한 체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상자를 불균형적으로 상체가 약한 군(UU, n=135)으로 하고 대조군으로써 상 하체가 균형인 군(BU, n=77)의 두 군으로 나누어서 측정 결과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체중, 비만도, 체질량지수, 허리-엉덩이 둘레비가 BU군에 비하여서 UU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체단백질, 체지방, 체무기질량도 역시 UU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상완근육 둘레를 측정한 결과, UU군이 BU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운동의 규칙적 수행 여부를 알아본 결과 UU군의 1.5%, BU군에서 7.8%가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한편 '운동을 전혀 하고 있지 않다'라고 답한 비율이 UU군과 BU군에서 각각 55.5%, 31.2%로써,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UU군에서 1.8배 정도 많았다. 운동을 할 경우에 얼마나 오래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UU군의 38.4%와 BU군의 35.8%가 30분 이하로 운동을 한다고 답하여서, 여자 대학생이 운동을 한다 하더라도 운동 시간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조사 결과, 상체가 하체에 비하여서 불균형적으로 약한 여자 대학생이 총 조사 대상자의 63.7%이나 되었으며, 이들의 운동 습관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운동을 습관화하여 꾸준히 하고 특히 상체와 팔 근육을 발달시키는 운동을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아울러 여자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여 체형의 올바른 인식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하며, 신체 부위의 균형을 고려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맥문동 혼합 하이드로콜로이드막의 제조 및 화상치료 효능평가 (Therapeutic Effect of Hydrocolloid Membrane Containing Liriope platyphylla Extracts on the Burn Wounds of SD Rats)

  • 이은혜;고준;김지은;고은경;송성화;성지은;박찬규;이현아;황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23-532
    • /
    • 2015
  •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은 염증(inflammation), 당뇨(diabetes), 신경퇴행성질환(neurodegenerative disorder), 비만(obesity), 변비(constipation), 아토피질환(atopic dermatitis) 등의 다양한 임상질환에 매우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왔다. 또한, 하이드로콜로이드막(hydrocolloid membranes, HCM)은 피부경화증 피부궤양(scleroderma skin ulcers), 피부궤양(cutaneous ulcers), 영구적 고막천공(permanent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s), 욕창(pressure sores), 욕창궤양(decubitus ulcers)과 같은 피부질환 치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우수한 맥문동 추출물을 HCM에 혼합하여 맥문동 혼합 하이드로콜로이드막(HCM-LP)을 제조하고,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뒤 2도 화상을 유발한 SD 랫드에 14일 동안 처리하여 치료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 하이드로콜로이드막(HCM)에 비하여 HCM-LP에서 인장강도와 흡수성은 각각 38.4%, 46.3% 감소하였으나 표면거칠기는 38.1% 증가하였다. 화상을 유발한 SD 랫드에서 HCM-LP를 처리한 결과, 화상 유발 14일 후에 HCM-LP처리그룹은 GZ처리그룹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화상크기 감소를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흉터감소, 재상피화, 신생혈관형성 그리고 세포외기질의 침적을 유도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HCM-LP가 신생혈관형성과 연결조직형성 조절을 통해 SD 랫드에서의 화상 치료를 향상시킴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는 HCM-LP가 피부상처의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HCM의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생체 임피던스 방법과 이중 방사선 흡수법으로 측정한 체지방량과 인슐린감수성 지표와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Fat Mass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BIA) and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and by the Indices of Insulin Sensitivity)

  • 임인석;윤기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8호
    • /
    • pp.857-864
    • /
    • 2005
  • 목 적 : 인슐린 감수성 지표들은 신체계측지수인 체질량지수 및 비만도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체계측지수들이 체지방량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는 하나 소아에서는 성인에 비해 그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실제로 측정한 체지방량과 인슐린 감수성 지표들 간에도 이와 같은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순 소아 비만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체지방측정에 있어 비교적 객관적이며 정확한 방법으로 알려진 BIA와 DEXA로 측정한 체지방량과 인슐린 감수성 지표들 간에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추후 외래에서 비만아들을 추적 관찰할 때 어느 지표가 가장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4년 7월까지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비만클리닉을 방문한 28명의 단순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2시간 이상 금식 후 채혈을 하여 혈당과 인슐린 수치를 측정하였다. 같은 날 신장, 체중, 허리 둘레, 엉덩이 둘레를 계측하였고, BIA와 DEXA를 시행하여 체지방량을 구하였다. 얻어진 혈당과 인슐린 수치를 이용하여 G/I ratio, $log_{insulin}$, HOMA-IR, $log_{HOMA-IR}$, QUICKI를 구하여 체지방량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 과 : 1) 인슐린 감수성 지표 중 G/I ratio만 triglyceride와 통계상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r=-0.206, P<0.05). 이외의 $log_{insulin}$, HOMA-IR, $log_{HOMA-IR}$, QUICKI는 혈중 지질치와 관련이 없었다. 2) 비만도는 G/I ratio와 -0.209(P<0.05), $log_{insulin}$과 0.196(P<0.05), HOMA-IR과 0.238(P<0.01), $log_{HOMA-IR}$과 0.198(P<0.05), QUICKI와는 -0.224(P<0.05)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고, 체질량지수는 G/I ratio와 -0.463(P<0.01), $log_{insulin}$과 0.417(P<0.05), HOMA-IR과 0.301(P<0.01), $log_{HOMA-IR}$과 0.403(P<0.01), QUICKI와는 -0.451(P<0.01)로 나와 비만도 보다 더 인슐린 감수성 지표들과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BIA로 측정한 체지방량과 비만도 및 체질량지수 각각에 대한 상관계수는 0.612(P<0.01), 0.316(P<0.05)으로 나왔고, DEXA로 측정한 체지방량과는 각각 0.667(P<0.01), 0.512(P<0.05)로 나와 체지방량과 비만도 및 체질량지수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4) G/I ratio는 BIA로 측정한 체지방량 및 체지방률과 각각 상관계수 -0.420(P<0.05), -0.366(P<0.05)으로 상관성을 보이고 있었고, DEXA로 측정한 체지방량 및 체지방률과도 -0.512(P<0.01), -0.449(P<0.01)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HOMA-IR은 DEXA로 측정한 체지방량과만 상관계수 0.341(P<0.05)로 연관성을 나타냈고, 그밖에 다른 인슐린 감수성 지표들은 체지방량 및 체지방률 모두와 상관성이 없었다. 결 론 : 인슐린 감수성 지표들과 비만도 및 체질량지수와 같은 신체 계측지수들 간의 상관성에서, 인슐린 감수성 지표 특히 G/I ratio가 비만도 및 체질량지수 모두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체지방량 및 체지방률과 인슐린 감수성 지표와의 관계에서는 G/I ratio만이 BIA와 DEXA로 측정한 체지방량과 체지방률 모두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순 비만아의 진단 및 추적 관찰시 BMI 및 인슐린과 혈당치를 기초로 한 인슐린 감수성 지표 특히, G/I ratio의 활용이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노년기여성의 배면만곡도 감소효과를 위한 의복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Cloth Design for Elderly Women to Mask Their Dorsal Curvature)

  • 김태영;이경희;박정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83-195
    • /
    • 1990
  • The author has studied the effect of clothes design to mask the dorsal curvature that is one of the commonest changes in elderly women. Body measurements including the body type and the status of dorsal curvature were perfor-med on 153 women of over 60 years of age, and then a body form to fit to the mean measure-ments was made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designs to it. With 31 pattern designs modified by changing in their slash lines and gathers using darts, the diminishing effect of the rounded back were evaluated by means of sensory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 . Results from the body measurements 1) The mean body type in elderly women was that of obesity. 2) With the advancement of age, the angle to indicate the degree of dorsal curvature as well as the angle to indicate the posture are increased. II . Concerning to the clothes design to diminish the shape of dorsal curvature 1) Among the designs by the position of darts, the basic pattern (Fig. 5-1-(1)) showed the best effect to mask the shape of dorsal curvature. 2) Out of the applied designs of princess lines, that in which the slash line is pointing toward the shoulder point (Fig. 5-2-(1)) seemed to be most effective. 3) What has angled princess line (Fig. 5-3-(1)) had the most diminishing effect among the waist darts and armhole princess lines. 4) Among the V-shaped designs, the slashed at the shoulder point (Fig. 5-4-(1)) had the best effect to lessen the shape of the dorsal cuuature. 5) Wider angle yoke had better effect to the narrow angle one among the designs with straight yoke, and that with downward direction (Fig. 5-5-(1)) showed the best effect. 6) Between straight wide angle yoke and curved yoke, that of curved one with downward direction (Fig. 5-6-(1)) had better effect as far as the masking effect of dorsal curvature is concerned. 7) Gathers around the neck showed better effect to those around the shoulder, and the more amount of gathers (Fig. 5-7-(1)), there was better effect. 8) The design with midline gathers at the level of horizontal slash line of armhole (Fig. 5-8-(1)) showed better effect to that with seperated gathers. 9) In case of design with gathers at the horizontal line of armhole, it showed the better effect with less amount of gathers in midline ones, but with more amount in the side ones. 10) Considering all 7 different designs with better effect in covering the shape of dorsal curvature, it was evident that the design with gathers was far better than the design with application of slash lines.

  • PDF

고등학생의 영양 관련 문제점 분석 및 영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 ( I ) - 영양교육 목표 설정을 위한 식생활 문제점 분석 - (Problems Analysis Related to Nutrition and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I ) - A Study Centered on Analyzing Problems of Dietary Life for Nutrition Education Goal Setting -)

  • 이은주;소혜경;최봉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38-350
    • /
    • 200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nutrition-related problems and to develop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00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level at high schools in Daegu who differed i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body composition analysis was accomplished by the Inbody 3.0. The develop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8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with a 96.2% of response rate.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WIN(ver.12.0) for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s and $X^2$-tests. We first analyzed students' problems related to nutri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a question addressing skipping breakfast, only 11.5% answered they "do not eat" breakfast. In regards to BMI, the male students' degree of obesity was higher. Second, we analyzed living environments, which greatly influence dietary behavior. For the snacks-related categories, most of the students liked bread, cake and other snacks. When they chose the snacks, they mainly considered tas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males and females(p<.01) in terms of snacks intake habits, where 43.1 % of the males answered they snack "occasionally" and 43.4% of the females answered they snack "according to how they feel". In the case of beverages, the males consumed significantly more(p<.001). Based on their regional groups, the area A group preferred milk and milk products, and the area B group preferred soft drinks. As for the time of beverage intake, 77.6% of the females answered "with snacks",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61.4% of the males(p<.001), 12.2% of the males drank beverages after exercise. For late snacking, 68.0% of the male students and 71.1 % of the female students consumed late snacks. Most of them preferred bread, cake and other snacks. The reasons for taking a late snack were "when I feel hungry" by 61.8% of the males which was higher than the females(p<.001), 23.6% of the females consumed late snacks "impulsively". Ideally, in order to improve the food habits of high school students effective and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that consider gender and regional school group, should be carried out.

  • PDF

섬강의 어류상 및 피라미 개체군의 생육특성 분석 (Fish fauna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Zacco platypus populations in Seomgang River)

  • 배지혜;왕주현;이황구
    • 환경생물
    • /
    • 제42권1호
    • /
    • pp.15-27
    • /
    • 2024
  • 섬강은 국가하천으로 강원도 횡성군 태기산 일대에서 발원한다. 본 연구는 섬강 어류상의 종다양성을 확인하고, 과거 문헌비교를 통해 어류상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여 섬강의 어류 및 어족자원 관리에 있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우점종의 생육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장도 및 비만도 분석과 시·공간적인 생식능력을 분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어류상 파악을 위해 2020년 10월부터 2021년 8월까지 8개 지점에서 총 3회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피라미의 생육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21년 6월부터 2022년 7월까지 4개 지점에서 총 7회 조사를 수행하였다. 총 10과 43종 3,999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은 피라미로 조사되었다. 한국고유종은 각시붕어, 묵납자루, 줄납자루, 쉬리 등 총 19종으로 44.19%의 고유종 빈도로 분석되었으며, 멸종위기야생생물은 묵납자루, 새미, 꾸구리, 돌상어 등 총 4종 (9.30%)이 출현하였다. 섬강은 높은 고유종 비율을 나타내며, 다양한 멸종위기야생생물이 서식하여 양호한 서식환경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문헌비교 시지점 간의 차이로 인하여 11종이 과거와 비교해 출현하지 않았으나 9종이 추가로 확인되었다. 피라미의 전장-체중 상관도 분석 결과 모든 지점에서 회귀계수 b값은 3.0 이상, 비만도 지수는 양의 값을 보여 양호한 생육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장빈도 분석 결과에서는 당년생부터 만 3년생 이상의 개체가 출현하여 안정적인 생활사가 유지되고 있었다. GSI 분석 결과 섬강의 수온이 20℃ 이상을 유지하는 5월부터 산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피라미 개체군은 생육상태가 양호하고, 안정적인 생활사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섬강에서는 종다양성이 증가했으며, 우점종, 다양한 법정보호종, 고유종 등 어류상이 안정적인 것으로 보아 서식지가 잘 보존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외래종이 유입되고 있어 이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업장(事業場) 근로자(勤勞者)의 사상체질(四象體質)과 생활습관(生活習慣)에 따른 스트레스의 평가(評價) (The Study on Stress Evaluation with Sasang Constitution and Lifestyle for Labors in Workplace)

  • 서병윤;권소희;김삼태;서지연;정해경;김유철;장두섭;왕명자;송용선;이기남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5
    • /
    • 2003
  • This study tri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stress degree by Sasang constitution and lifestyle for workplace labors, and suggested the preventive oriental medicine approaches in occupational health area. 479 data for research were collected through the process of oriental health examination with questionnaire in workplace,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crosstab,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subjects, total 479 were men, and constitutional distributions were 39.2% of Taeumin, 32.4% of Soumin, and 28.4% of Soyangin. The distributions of stress score were 13.2% of normal group, 13.4% of high risk group, and 73.5% of potential risk group. 2)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stress by constitution(p=0.085). By the results of optimal scaling and homogeneity analysis, Soyangin was close to potential risk group compared to other constitution, and Soumin and Taeumin were close to high risk and normal group, respectively. 3) For the difference of stress score by Sasang constitution and lifestyle, Soumin who exercised nearly everyday had the highest stress score with interaction in Factor 4 area(p<0.05),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in other area. 4) For the difference of PWI score by lifestyl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drinking(p<0.01), smoking(p<0.01), and obesity index(p<0.01)

  • PDF

무심기공 도인법이 요통치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oosim-Gi-Gong Doinbeop on Treatment of Low Back Pain)

  • 장상철;정명수;필감매;안훈모;이재흥;노주희;배재룡
    • 대한의료기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6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Moosim-Gi-Gong Doinbeop on low back pain targeting low back pain patients hospitalized in Korean medicine hospitals. For the study, 44 adult female and male patients hospitalized with low back pain at M Korean Medicine Hospital and H Korean Medicine Hospital located in Gimpo, Gyeonggi Province were recruited. The subjects had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left and right 湧泉(KI1) of over 0.5℃ through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and 23 of them were classified in the control group for retrospective analysis based on the test records.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X-ray pelvic AP view - standing position, a sit-and-reach test and a VAS survey were employed for detection, and IBM SPSS Statistics 24 for the statistical process. The results were rounded down to three decimal places as in an average±standard deviation,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0.05 to be evaluated significant if p<0.05.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In the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conducting Moosim-Gi-Gong Doinbeop, the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all indicators. But Indicators except fo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湧泉(KI1)(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and In displaced pelvic correction indicators on the X-ra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2. As for the variation width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former showed significant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印堂(EX-HN3) and 關元(CV4) and right and left 湧泉(KI1); difference variations of anteflexion; and changes in PI and In displacement on the X-ray. 3. As for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 degree of obesit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ndicators. However, those who experienced back pain for more than six month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biggest body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印堂(EX-HN3) and 關元(CV4), while other indicator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patients who received Korean medicine treatment showed relieved back pain and improvement in pelvic correction and sports activity; however, those who got Moosim-Gi-Gong Doinbeop together showed more clearer improvement effects in pelvic correction and sports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