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acclima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저온순화 및 탈순화가 배추의 내동성 및 total RNA, soluble protein, soluble sugar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d Acclimation and Deacclimation on the Freezing Tolerance, Total RNA, Soluble Protein and Soluble Sugar in Chinese Cabbage)

  • Jeong Hyun Nam;Won Hee Kang;Il Seop Kim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44-250
    • /
    • 2001
  • 저온은 배추 묘에서 1주일동안 RNA함량과 단백질 함량을 증가시켰고, 당 함량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유발했을 뿐만 아니라 저온순화시 치사온도에서 생존율 또한 증가하였다. 이런 결과에서 보듯이 이러한 변화는 내동성의 발달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5$^{\circ}C$에서 처음 24시간처리 했을 때 12시간 이후부터 내동성이 증가했으며 5일째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치사온도에서의 생존율도 저온처리한지 12시간 후부터 증가해서 5일 후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수용성당 함량은 저온순화 한지 1일 후부터 크게 증가했다. 몇몇 주요한 당 함량에서 볼 수 있듯이 포도당(Glucose)은 저온처리된 배추묘에서 함량이 가장 많은 당 성분으로 저온처리된 배추묘와 처리되지 않은 배추묘 사이에서 1일 후부터 계속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과당(Fructose)도 포도당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저온처리를 시작할 때 자당(Sucrose)이 가장 많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처리 9시간 이후부터 큰 차이를 나타내기 시작했다. 당의 정량분석결과 배추묘에서 주요한 당 성분은 포도당이었으나, 저온처리시 크게 증가한 당 성분은 자당이었다. 최대내동성에 도달하기까지 5일이 걸렸으나 탈순화시 9시간후부터 생존율이 서서히 감소해 24시간만에 저온순화로 획득된 내동성이 모두 상실되었다. 전체 RNA와 수용성 단백질 함량 역시 24시간 경과 후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

Emerging Research Advancements to Overcome the Peach Spring Frost

  • Pandiyan Muthuramalingam;Rajendran Jeyasri;Yeonju Park;Seongho Lee;Jae Hoon Jeong;Yunji Shin;Jinwook Kim;Sangmin Jung;Hyunsuk Shin
    • 식물병연구
    • /
    • 제29권3호
    • /
    • pp.220-233
    • /
    • 2023
  • The phenomena of global warming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average air temperature in temperate climates. Springtime frost damage is becoming more common, and after a period of dormancy, damage to buds, blooms, and developing fruits is greater significant than damage from low winter temperatures. Peaches are a crucial crop among moderate fruits. Spring frost damage in peaches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crop growth, yield, and quality. It is noteworthy that these plants have evolved defenses against spring frost damage while being exposed to a variety of low temperatures in the early spring. In this current review, recent research advancements on spring frost damage avoidance in peaches were deliberated. Additionally, adaptive mechanisms of peach, such as deacclimation and reacclimation, were emphasized. Moreover, the emerging advancements using various omics approaches revealed the peach physiology and molecular mechanisms comprehensively. Furthermore, the use of chemical products and understanding the spring frost mechanisms through the use of environmental chamber temperature stimulation and infrared thermography studies were also discussed. This review is essential groundwork and paves the way to derive and design future research for agronomists and horticulturalists to overcome the challenges of spring frost damage avoidance and crop management in these circum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