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ndelion extract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2초

민들레 추출액 농도에 따른 민들레 코팅쌀밥의 품질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According to Different Coating Ratios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Extracts)

  • 유경미;이연경;김세희;황인경;이부용;김성수;홍희도;김영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7-123
    • /
    • 2005
  • 씻어 놓은 쌀에 민들레 추출액을 각각 20, 30, 40 $^{\circ}$Brix의 농도로 하여 쌀에 $5\%$를 첨가하며 10분 동안 5 mL/min의 속도로 분무하여 회전하며 코팅 쌀을 가공하였다. 대조군의 수분함량은 민들레 추출액 코팅 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D-40의 수분함량이 가장 낮았다. 색차계 측정값인 L값, a값은 코팅 수준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b값은 증가했으며, 밥을 지은 당일과 저장 2일 모두 같은 경향을 보였다 민들레 코팅 수준이 높은 쌀가루에서 DSC 호화 개시 온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호화 정점 온도는 낮게 나타났다. 텍스쳐 측정결과 코팅 수준이 높아질수록 경도, 부착성, 탄성, 응집성, 씸힘성, 검성이 증가했고, D-20이 가장 바람직하게 평가되었으며 저장 2일 후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Antioxidant Activity of Salad Vegetables Grown in Korea

  • Xin Zao;Song, Kyung-Bin;Kim, Mee-R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4호
    • /
    • pp.289-294
    • /
    • 2004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orty two kinds of salad vegetables grown in Korea was evaluated. Methanol extract of freeze-dried vegetable was assayed b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1,2-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Fe^{2+}$-catalyze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by TBA method. Total phenolics were determined colorimetrically using Folin-Ciocalteu reagent.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expressed by perilla leaf, followed by dandelion leaf, red and green leafy lettuce, of which $IC_{50}$ was less than 0.10 mg/mL. Angelica leaf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on for lipid peroxidation with $95\%$, and then dandelion leaf, water spinach, and perilla leaf inhibited over $80\%$. However, lettuce (Iceberg) and young Chinese cabbage exhibited the lowest antioxidant activity based on both assay methods. High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s were observed (p < 0.001). The results suggested that salad vegetables, especially perilla leaf, leafy lettuce, dandelion or angelica, could be used for easily accessible sources of natural antioxidants.

당 첨가 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발효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extracts Fermented with Raw Sugar)

  • 김경민;김영남;최병곤;오덕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07-612
    • /
    • 2012
  • 본 연구는 민들레에 각각 30, 50% 당을 첨가하고 15-20에서 120일간 발효를 하여 30% 당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민들레 발효물(FD30), 50% 당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민들레 발효물(FD50)로 진행되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FD30, FD50이 각각 $78.9{\pm}2.17$, $59.35{\pm}2.56$ mg/g으로 DWE(dandelion water extract)의 $54.2{\pm}1.49$ mg/g 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IC_{50}$으로 나타낸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FD30이 $118.7{\pm}2.03{\mu}g/mL$, FD50이 $123.40{\pm}2.15{\mu}g/mL$의 결과를 나타냈고 FD30이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했다. 항염활성을 보기 위해 실시한 NO 소거능은 FD30, FD50 모두 2 m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8.8{\pm}1.72$, $11.8{\pm}2.87{\mu}M$, 같은 농도의 민들레추출물은 $4.9{\pm}1.20{\mu}M$를 나타냈다. 효소활성능은 FD50이 탄수화물 분해, 단백질 분해, 지질 분해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혈전용해 활성은 FD30, FD50이 각각 $0.56{\pm}0.28$, $1.39{\pm}0.20$ unit/mg protein 활성을 보였으며 DWE는 0.28 unit/mg protein 의 활성을 나타냈다. 이 연구를 통해 당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민들레 발효물의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확인하였고, 여러 가지 유용한 효소활성을 입증하였다.

D-Galactosamine으로 유발된 간손상에 대한 민들레 열수추출물의 예방효과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Water Extract against D-Galactosamine-Induced Hepatitis in Rats)

  • 박지영;박충무;김진주;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7-18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실험동물에 민들레 열수추출물 식이를 급여한 후, GalN으로 간손상을 유발함으로써 그 예방효과를 혈액중의 생화학적 변화 및 간조직의 효소적인 변동을 통해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GalN의 투여로 현저히 증가하였던 AST, ALT의 활성은 민들레 열수추출물 투여로 억제되었으나 군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ALP의 활성과 TBARS 함량은 3%의 추출물을 급여한 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GalN의 투여로 현격하게 높아졌던 혈중 $TNF-{\alpha}$의 농도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GalN의 투여로 억제되었던 catalase, GSH-reductase, Mn-SOD의 활성은 민들레 추출물 투여로 유의적인 회복이 관찰되었으나 GSH-px의 활성은 그 경향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 검경을 통해 민들레 열수추출물의 간염 예방효과를 확인한 결과 GalN으로 인해 유발된 광범위한 간세포의 괴사와 변성, 지방변성 등이 민들레 열수추출물식이로 다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민들레 열수추출물은 AST, ALT와 ALP의 활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활성산소 해독계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GalN으로 인한 간 손상을 예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민들레로부터 항균성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Dandelion(Taraxacum platycarpum D.))

  • 한영실;김건희;민경찬;이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22-829
    • /
    • 1999
  • 최근 식품 산업의 발달로 장기간 식품 보존을 위하여 합성 보존제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를 대체할 천연 보존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야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구황 식물인 민들레를 메탄올과 여러 용매로 추출하여 식품부패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실험하고 그 항균 활성 물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민들레의 메탄올 추출물은 $2000\mu\textrm{g}/ml$ 농도에서 s. aureus를 완전히 억제하였고, L. monocytogenes는 98.43% 억제하였다. 그리고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물은 $1000\mu\textrm{g}/disc$ 농도에서 5종의 모든 시험균주에 대하여 clear zone을 형성하여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물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TLC를 통해 분리하여 얻은 fraction을 5가지 시험균주에 대한 항균 실험 결과 3번째 3rd fraction의 항균력이 가장 높아 $250\mu\textrm{g}/disc$ 농도에서 E. coli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 대하여 14mm 이상의 clear zone을 나타내었다. 항균력을 보인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의 3번째 3rd fraction을 먼저 HPLC로 분리하여 얻은 peak II로부터 $^{l}H-NMR$ 및 GC-MS로 분석한 결과 benzoic acid로 동정 되었다.

  • PDF

흰민들레 발효추출물의 남성 갱년기 개선에 대한 효과 (Effects of Fermented Dandelion (Taraxacum coreanum) Extract on Male Climacteric Syndrome)

  • 이학수;백연수;김예슬;김현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63-107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민들레 추출물(DE) 및 민들레 발효추출물(FDE)이 남성갱년기 증상의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22주령된 고령 흰쥐에 추출물을 4주간 투여한 후, testosterone, SHBG, PSA, 체지방, 혈중지방, 근육량, 운동수행능력, 정자 수 및 정자 활동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세포 실험을 통해 그 기작을 알아보았다. DE 및 FDE 투여 후 남성갱년기의 지표로 사용되는 남성호르몬인 testosterone의 혈중 농도가 증가하였고, testosterone 과 결합하여 생체 내 활성을 저하시키는 SHBG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전립선에 대한 부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전립선특이항원(PSA)을 측정하였으나,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지방조직과 근육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 지방조직량은 줄이고 근육량은 늘리는 것으로 나타나 남성갱년기에서 흔히 나타나는 근육량 감소 및 체지방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testosterone의 감소에 흔히 동반되는 혈중지질대사 이상에 있어서도 민들레 추출물 및 민들레 발효추출물 투여군이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감소시킨 것에 반해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증가시켰음을 관찰하였다. 강제수영을 통한 운동수행능력 측정 결과에서는 민들레 추출물 및 민들레 발효추출물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수영시간이 증가하였고, 이는 민들레 추출물 및 민들레 발효추출물의 투여가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총 정자 수와 활동성 정자 수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민들레 추출물 및 민들레 발효추출물 투여군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정자 형성과 활동성에 영향을 주는 testosterone 농도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동물실험 결과의 기작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실험을 통해 testosterone 생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투여군에서 모두 증가함을 나타냄으로써, 추출물이 testosterone 합성을 직접적으로 촉진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인 결과로 민들레 추출물 보다는 발효추출물이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발효 과정을 통해 민들레 유효 성분의 생체 이용률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 발효에 의해서 증가하는 활성 성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민들레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이 남성갱년기에 긍정적인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보였고, 이를 활용하여 남성갱년기 개선에 도움 줄 수 있는 소재로 개발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민들레(Taraxacum mongolicum H.) 추출액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개발 및 기능성 성분 (Preparation of Functional Beverage by Using Dandelion (Taraxacum mongolicum H.) Extracts and Its Functional Components)

  • 송노을;유향덕;백상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33-7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뛰어난 생리 활성을 가진 전통 민들레 착즙액이 고유의 쓴맛으로 인하여 가공식품으로 활용되는 형태는 매우 제한되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음용하기 편리하고 기호도가 높으며, 항산화 활성과 기능적인 면에서도 뛰어난 새로운 형태의 음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민들레 음료 제조 시 민들레 추출액의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음료의 관능평가를 거쳐 가장 선호도가 높은 10% 민들레 추출액 함유 음료의 pH, 당도, 수분함량, 고형분 함량과 기능성 성분인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및 silibinin 함량을 분석하여 품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민들레 추출액이 10% 함유된 기능성 음료(C10)의 경우, 수분 함량은 $99.6{\pm}0.5%$를 보였으며, 당도의 경우, 민들레 추출액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대조군 음료(C0)가 $0.8^{\circ}Brix$를 나타냈으나, C10의 경우 $0.7^{\circ}Brix$로 감소하였다. pH는 C0에서 3.4이었으나, 10% 민들레 추출액의 첨가에 의해 C10에서 3.7로 증가하였다. C10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페놀 함량은 $295.8{\pm}5.8mg/L$이었고,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22.8{\pm}18.4mg/L$, DPPH 라디칼 소거 항산화능은 $98.2{\pm}0.6%$로 나타나, C0보다 높은 기능성을 가지므로 고기능성 음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간 보호 효과를 가지는 약학 성분인 silibinin의 함량이 민들레 추출액에서 $2.9{\pm}0.1mg/L$로 분석된 결과, C10에는 약 $0.3{\pm}0.04mg/L$의 silibinin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화약쑥 추출물이 종자발아 및 유식물 생장에 미치는 알레로파시 효과 (Allelopathic Effect of Ganghwa mugwort (Artemisia spp.)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Plants)

  • 이주화;변지희;이정훈;박춘근;박충범;조준형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89-605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llelopathic effect of Ganghwa domestic Artemisia spp., named Sajabalssuk and Ssajuarissuk, for various receptor plants including clover (Trifolium repens L.), alfalfa (Medicago sativa L.), lawn grass (Zoysia japonica Steud.),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and dahurianpatrinia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 ex Trevir). Receptor plants were treated with the aqueous and essential oil extract of Artemisia plants. In consequence, their allelopathic effect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seed germination rates, seedling growth, and dry weights of the receptor plants.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the receptor plants were inhibited by all treatments of both aqueous and essential oil extracts of the Artemisia plants, and, in addition, the inhibitory effect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higher concentration. Among the donor plants, A. $sp.^*III$ showed most effective allelopathic effect. Comparing the alleopathic effect among the receptor plants, seed germination was most inhibited in lawn grass while inhibitory effect of seedling growth was comparatively higher in dandelion. Although inhibitory effects were comparatively lower, the allelopathic effects of Artemisia plants were identified in clover and alfalfa since the seedling growth of these plants were inhibited more than 70%. Thus, in result, Ganghwa domestic Artemisia spp. could be possibly used for weed control since natural products of the plants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various receptor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