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nce vitalizati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민간 현대무용단의 활성화 전략 연구: 전문가 중요도 및 시급성 평가를 중심으로 (Vitalization Strategy Research of Private Modern Dance Organizations: Centered on The Importance of Experts and Urgency Assessment)

  • 김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527-538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민간 현대무용단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중요도와 시급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신산업육성 이론을 적용하여 전문가 그룹 5명에게 개방형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고 중요하게 언급되거나 반복된 내용을 통해 총 24가지의 2차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이를 각 무용단 대표 및 기획자, 대학교수 등 20명에게 배포하였으며 전문가 중요도와 시급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대항목은 중요도와 시급성 모두 자금지원이 1순위로 나타났고, 소항목 중요도, 시급성 비교분석은 인프라구축에서 차이를 나타냈는데, 중요도 1순위는 '무용프로그램의 홍보채널 확대", 시급성 1순위는 "무용단 전용공간 확보"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분석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자금지원 측면에서는 "무용단 운영을 위한 세분화된 자금지원" 등 공연 및 교육관련 작품개발 측면에서는 "기획 및 연출 등 전문인력 채용" 인력양성 측면에서는 "복합장르를 소화할 수 있는 안무자 양성" 인프라구축 측면에서는 "무용단 전용공간 마련" 컨설팅 지원 측면에서는 "기획 및 연출 등 전문인력 채용"으로 나타났다.

한국무형문화재 춤 연구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 서울지역 종목을 중심으로 (Bibliometric Analysis on Studies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Dance : Focusing on Events in the Seoul Area)

  • 유지영;김지영;백현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39-147
    • /
    • 2019
  • 본 연구는 서울지역 한국무형문화재 춤 연구를 계량서지학적으로 분석하여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총 24종목의 한국무형문화재 춤 연구 리스트를 취합하여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TEXTOM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텍스트마이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봉산탈춤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특히 교수학습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반면 굿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하여 이에 대한 연구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처용무 종목의 연구에서 '현행 처용무'라는 용어가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이것은 유구한 역사 속에서 변화해 온 무형문화재 춤 연구와 관련하여 의미있는 용어의 사용이라 할 수 있다. 이에 타 종목의 연구에서도 춤의 전형성을 밝힐 수 있는 연구의 활성화가 요구되었다. 셋째, 춤사위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문묘일무 종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것은 춤의 원형적 춤사위에 대한 한국무용계의 논쟁이 학술적인 장외논쟁으로 확산된 결과라고 보았다. 따라서 사안의 옳고 그름을 떠나 학술적인 논쟁이 학문적 성과로 연계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승무의 연구 동향과 과제 : 1978년~2021년 국내 전문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Seungmu's Research Trends and Project : For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1978 to 2021)

  • 최석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01-207
    • /
    • 2022
  • 본 연구는 1978년에서 2021년 국내 학술지에 수록된 승무 연구동향을 분석 하였다. 한국 전통춤 승무는 우리 민족생활의 변화와 함께하며 한민족의 얼과 기술적인 가치를 지닌 민초들의 생활상을 반영하는 예술이다. 승무는 유구한 세월동안 전승되었으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춤으로 자리잡았다. 학술적인 부분에서도 수많은 양질의 연구논문들이 많이 보고되었다. 승무 춤의 동향분석은 지속 가능한 전통문화 유산인 승무 춤의 계승과 보존 발전을 공고히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아울러 다양한 승무 춤 관련 선행연구들을 정리해보는 과정으로 한국 전통춤의 활성화 및 대중화에 기초를 닦는 의미 있는 과정이라 생각한다.

무용학의 융복합적 접근 (Convergent Approaches to Dance as a Discipline)

  • 태혜신;박명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605-615
    • /
    • 2012
  • 무용학은 태생적으로 융복합의 성격을 띄고 있다. 그동안의 무용학은 타학문 영역의 이론을 수용하여 예술이론으로만은 설명할 수 없는 무용현상을 다각도에서 이론적으로 규명해나가면서 무용학 영역을 확장해왔다. 그러나 디지털 혁명에 따른 테크늄과 인터렉션 그리고 자유와 개방이라는 융합사회의 특성을 종전의 무용학만으로 설명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에 국내 무용학의 융복합 연구동향을 고찰한 결과,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무용학은 1.다양한 영역의 융복합 무용학 연구 촉발, 2.융복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시도, 3.무용디지털콘텐츠 융복합 연구 활성화, 4.융복합 무용공연예술현상 연구 이상, 네 측면에서 각 영역이 개별적이긴 하지만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무용예술의 기술융합 및 과학분야와 학제간 융복합 연구 그리고 타 학문영역과 통섭연구라는 측면에서 무용학의 영역확장 및 구조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촉진제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문제점은 현재 연구개발안이나 연구프로그램은 무용디지털콘텐츠 융합 연구이외에는, 거의 대부분 현실화되거나 실용화되는 경우가 없었다. 이에 융합시대에 따른 무용학 발전을 위하여 다음 세 가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과학과 무용과 기술 이론이 집약된 무용융합학을 제안한다. 이는 융합사회에 따른 새로운 인문학적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학문적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다. 둘째, 무용학의 학제적 융합연구가 현실에서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이론을 현장에 상용화하는 행동주의적 단계로 이행해야 한다. 섯째, 무용융합공연의 연구기술 축적 및 활성화를 위해 대규모 위주의 융합공연 형태에서 아이디어가 참신한 소규모 융합공연 형태로 전환이 필요하다.

복합재활중재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저하와 치매환자의 인지와 손기능에 미치는 연구 (The Effect of a Complex Rehabilitation Intervention Program on Cognitive and Hand Functions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 정복희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49-59
    • /
    • 2016
  • Purpose : The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and hand functions after the application of a complex rehabilitation intervention program o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dementia who were living a regional community from. Methods : Subjects who were living in a regional sanatorium or who were outpatients of a community health center were enrolled from 2012. 2 to 2013.2 All subjects were enforced 8 cycles of a complex rehabilitation intervention program including RON dance, physical activity using therabands, reality awareness training, space retrieval training and handicraft activities.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LOTCA-G cognitive function and JTHFT hand function test after the application of a complex rehabilitation intervention program. Conclusion : The result show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gnitive and hand functions after the application of a complex rehabilitation intervention program in patients with MCI and dementia. Therefore the authors suggest the vast studies of the cognitive function program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 vitalization by the application of a complex rehabilitation intervention program.

지역 공공극장 운영 활성화를 위한 드라마투르그 제도 도입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 Dramaturg System for the Active Management of Local Public Theaters)

  • 황아람
    • 예술경영연구
    • /
    • 제60호
    • /
    • pp.69-92
    • /
    • 2021
  • 본 연구는 공연장 전문인력으로서 드라마투르그라는 직무 도입의 필요를 주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드라마투르그란 연극, 무용 등 공연예술 작품 제작 과정에서 예술적 지향을 제시해주는 전문 스태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별 작품에 참여하는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와 극장 내 상주하는 상임 드라마투르그로 구분된다. 본고에서는 상임 드라마투르그를 지역 공공극장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특히 지역에서 공공극장의 역할을 수행하는 문화예술회관에 드라마투르그 직무 도입 통한 이점과 이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화예술회관 내 드라마투르그는 지역주민 대상의 문화예술서비스 확대, 지역 예술가의 창작기회 확대,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 중앙과 지방 간의 문화격차 해소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임 드라마투르그 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기존 문화예술진흥법 또는 공연법 개정, 문예회관 운영 시스템 개선, 공연장 성과평가 방식 변화, 공공부문의 양성과정 신설 등 다방면의 노력이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