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m risk analysis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1초

Analysis of Erosion Risk in a Catchment using Projected Rainfall Data and Spatial Rainfall-Erosion Model

  • Felix, Micah Lourdes;Kim, Joocheol;Choi, Mikyoung;Jang, Ning;Jung, Kwansue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16-316
    • /
    • 2021
  • Erosion in a watershed is one of the main sources of sediment inflow in dams. While sediment management practices can be performed to reduce and manage sedimentation in reservoirs, managing the sediment inflow before it reaches the reservoir should also be consider. The accurate location of areas with high erosion and deposition rates should be determined in order to propose an appropriate sediment management procedure such as the construction of check dams. In this study, the projected rainfall from HadGEMRA-3 for RCP 8.5, was used in C-SEM, a distributed rainfall-erosion model, to determine the projected spatial erosion patterns in Cheoncheon catchment, which is located in the upstream part of Yongdam Dam.

  • PDF

비정상성 확률분포 및 재현기간을 고려한 홍수빈도분석 (Flood Frequency Analysis Considering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Return Period under Non-stationary Condition)

  • 김상욱;이영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7호
    • /
    • pp.567-57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모수(parameter)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비정상성 확률분포를 훙수빈도분석에 적용하였다. 또한, 비정상성을 가정한 재현기간 및 위험도를 추정하였다. GEV (Generalized Extreme Value) 분포를 사용하여 정상성 및 비정상성 모형 4개를 구축하였으며 비정상성 모형은 위치모수(location parameter)만 선형경향성을 가지는 경우, 규모모수(scale parameter)만 선형경향성을 가지는 경우, 위치 및 규모모수가 모두 선형경향성을 가지는 경우의 3가지로 구분되었다. 구축된 4개의 모형 중 적합모형을 선정하기 위해 상대적 우도비 검정과 Akaike 정보기준을 사용하였으며, 우리나라의 8개 다목적댐(충주댐, 소양강댐,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 대청댐, 섬진강댐, 주암댐)으로부터 취득된 과거 관측 댐 유입량을 사용하여 제안된 절차를 적용하고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적합모형 선정 결과 합천댐과 섬진강댐이 비정상성 GEV 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나머지 6개 지점의 다목적댐들은 정상성 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합천댐과 섬진강댐의 경우 비정상성 가정에서 산정된 재현기간이 정상성 가정에서 산정된 재현기간보다 작게 산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간척지 논 침수 원인 조사와 방재 대책 수립 (Investigation and Complementary Measures Establishment for Flood on Tidal Reclaimed Paddy Fields)

  • 정주홍;윤광식;최수명;윤석군;고영배;김영택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05-114
    • /
    • 2010
  • Tidal land reclamation provided water resources and land for agriculture and contributed stable crop production. However, climate change by global warming disrupts the hydrologic circulatory system of the earth resulting in sea level rise and more frequent flood for reclaimed arable land. Recently, Suyu reclaimed paddy field in Jindo-gun experienced prolonged inundation after heavy rainfall and there is a growing risk of flood damage. Onsite survey and flood analysis using GATE_Pro model of Korea Rural Corporation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causes of flooding. To perform the analysis, input data such as inflow hydrograph, the lowest elevation of paddy field, neap tide level, management level of Gunnae estuary lake at the time of the flood were collected. Flood analysis confirmed that current drainage facilities are not enough to prevent 20year return period flood.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flooding more than 24hours. Therefore, flood mitigation alternatives such as sluice gate expansion, installation drainage pumping station, refill paddy land, and catch canal were studied. Replacing drainage culvert of Suyu dike to sluice gate and installing drainage pumping station at the Gunne lake were identified as an effective flood control measures. Furthermore, TM/TC (SCADA) system and expert for gate management are required for the better management of drainage for estuary dam and flood mitigation.

  • PDF

경남지역 야계사방사업지의 산림환경특성 분석 - 사방댐 및 계류보전사업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on Torrent Erosion control work area in Gyeongsangnam-do - Focus on Erosion Control Dam and Stream Conservation -)

  • 강민정;김기대;오강산;박진원;박재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5호
    • /
    • pp.111-120
    • /
    • 2016
  • 본 연구는 경남지역 야계사방사업지의 적지적소를 판정하기 위해 사방댐 총 526개소와 계류보전시설 총 230개소의 기시공지 및 시공예정지를 대상으로 입지 및 임상, 수문조건을 분석하였다. 사방댐 시공지과 계류보전시설은 입지환경인자 중 퇴적암, 표고 201~400m, 경사 21~30°, 산사태위험등급 2등급인 곳에 가장 많이 시공되었고, 임상환경인자인 임상, 경급, 영급, 밀도 중 소경급, III영급 임분에서만 시공빈도가 유사하였다. 또한 사방댐의 크기 및 개소수를 결정하는 수문환경인자 중 유역면적의 경우 50ha 이하, 수계밀도 2.1~4.0km/㎢, 종장형 수계, 1시간당 최대강수량 61~90mm, 1일 최대강수량 201~300mm인 곳에서 가장 많이 시공되었다. 따라서 사방댐 시공지와 계류보전시설지 간의 입지 및 수문조건이 다소 유사한 것으로 추후 야계사방사업을 실시할 경우 산각붕괴 및 침식 발생위험이 높은 지역에 한해서는 사방댐과 계류보전시설의 병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댐 공사에서의 Fast Track을 적용한 생애주기분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pplication of Fast Track Method for Dam Project Life Cycle′s Analysis)

  • 윤재호;문영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5호
    • /
    • pp.715-724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간접자본의 대표적인 시설인 댐과 같이 기획, 조사, 타당성분석 단계에서부터 설계, 계약, 시공 및 유지관리단계까지 건설 생애주기가 긴 경우 Risk에 노출되는 시간 또한 길어져 건설기간 지연에 따른 비용증가는 물론 적기 미 준공시의 증액비용과 이용연기에 따른 편익손실로 국가 전체의 경쟁력을 저하시킴으로 이들 문제점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애주기 각 단계별로 경제성분석을 통한 공기와 비용을 연계 분석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사업수행단계 및 건설공정 Network모델을 도출하고 이 성과를 토대로 생애주기분석에 있어 Fast Track기법을 적용하는 하나의 새로운 방안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내수 및 외수영향을 고려한 침수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undation Analysis Considering Inland and River Flood)

  • 조완희;한건연;김현식;김진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4-8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상홍수 및 국지성 호우에 의해 발생되는 제내지에서의 비상상황에 대비하여 내수 및 외수 영향을 고려한 침수해석을 실시함으로써 피해 예상지역 내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제내지에서의 침수범위, 침수위, 침수시간 등을 예측하여 홍수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김천시 신음동 일대를 대상유역으로 HEC-HMS 모형과 FLDWAV 모형을 적용한 외수범람 해석 및 SWMM 모형을 적용한 내수침수 해석에 기초하여 2차원 침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100년 및 200년 빈도 확률강우량에 대한 예상 침수심 및 침수면적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한 내수 및 외수영향을 고려한 제내지에서의 침수해석으로 예상 침수심 및 침수면적이 제시된다면 홍수방어를 위한 구조적 대책 수립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침수해석 결과에 기초한 홍수위험지도가 구축된다면 고위험지역의 인명을 우선적으로 대피시키고, 차량 및 도로를 통제하는 등의 비상대처계획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2년 남부지역 수문학적 가뭄위험도 평가: 수문학적 이변량 가뭄 지역빈도해석 중심으로 (Assessment of hydrological drought risk in the southern region in 2022: based on bivariate regional drought frequency analysis)

  • 김윤성;정민규;김태웅;정승명;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2호
    • /
    • pp.151-16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수문학적 가뭄의 위험도 평가를 위해 이변량 지역빈도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2022년 가뭄 빈도를 평가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수문학 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자료의 대부분이 자료연수가 부족하여 기존의 지점빈도해석 수행 시 도출되는 결과의 신뢰도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입량 자료를 대상으로 지역빈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가뭄사상의 결합재현기간을 도출하여 가뭄위험도 평가를 위한 각 댐 별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되는 Copula 기반 지역빈도해석 모형은 가뭄변량 간의 상관성 및 극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역빈도해석모형과 지점빈도해석모형의 적합성 검정 결과의 비교를 통해 지역빈도해석 모형의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2022년에 발생한 낙동강 유역의 수문학적 가뭄사상은 결합재현기간이 8년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강댐의 경우 결합재현기간이 20년으로 평가되어 낙동강 유역에서 상대적으로 심한 가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계절별 저수지 유입량의 확률예측 (Probabilistic Forecasting of Seasonal Inflow to Reservoir)

  • 강재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965-977
    • /
    • 2013
  • Reliable long-term streamflow forecasting is invaluable for water resource planning and management which allocates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demand of water users. It is necessary to get probabilistic forecasts to establish risk-based reservoir operation policies. Probabilistic forecasts may be useful for the users who assess and manage risks according to decision-making responding forecasting results. Probabilistic forecasting of seasonal inflow to Andong dam is performed and assessed using selected predictors from sea surface temperature and 500 hPa geopotential height data. Categorical probability forecast by Piechota's method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probability forecast by condition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re used to forecast seasonal inflow. Kernel density function is used in categorical probability forecast by Piechota's method and probability forecast by condition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The results of categorical probability forecasts are assessed by Brier skill score. The assessment reveals that the categorical probability forecasts are better than the reference forecasts. The results of forecasts using condition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re assessed by qualitative approach and transformed categorical probability forecasts. The assessment of the forecasts which are transformed to categorical probability forecasts shows that the results of the forecasts by condition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re much better than those of the forecasts by Piechota's method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xcept for winter season data.

Spatial Interpolation of Rainfall by Areal Reduction Factor (ARF) Analysis for Hancheon Watershed

  • Kar, Kanak Kanti;Yang, Sung Kee;Lee, Junh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27-427
    • /
    • 2015
  • The storm water management and drainage relation are the key variable that plays a vital role on hydrological design and risk analysis. These require knowledge about spatial variability over a specified area. Generally, design rainfall values are expressed from the fixed point rainfall, which is depth at a specific location. Concurrently, determine the areal rainfall amount is also very important. Therefore, a spatial rainfall interpolation (point rainfall converting to areal rainfall) can be solved by areal reduction factor (ARF) estimation. In mainland of South Korea, for dam design and its operation, public safety, other surface water projects concerned about ARF for extreme hydrological events. In spite of the long term average rainfall (2,061 mm) and increasing extreme rainfall events, ARF estimation is also essential for Jeju Island's water control structures. To meet up this purpose, five fixed rainfall stations of automatic weather stations (AWS) near the "Hancheon Stream Watershed" area has been considered and more than 50 years of high quality rainfall data have been analyzed for estimating design rainfall. The relationship approach for the 24 hour design storm is assessed based on ARF. Furthermore, this presentation will provide an outline of ARF standards that can be used to assist the decision makers and water resources engineers for other streams of Jeju Island.

  • PDF

게임 장애/중독 연구에 대한 비판적 분석 - 뇌 사진, 판단 척도 및 연구 절차를 중심으로 (Critical Analysis of Gaming Disorder/Addiction Researches on Neuroimages, Measurement Tools, and Research Processes)

  • 송두헌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35-146
    • /
    • 2019
  • 2018년부터 국제보건기구의 게임 장애의 국제 질병 코드(ICD-11) 등재 계획이 본격화하면서 세계적으로 학자들 간에 뜨거운 토론이 있었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등재의 부당함에 대한 학문적 근거 제시 없이 회피만 해온 것 같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중독/장애와 관련한 과거의 학술 연구의 쟁점과 연구 오류 및 왜곡 사례들을 뇌 사진 판독과 게임 중독/이상 진단 도구의 적절성 등을 중심으로 짚어 본다. 본 분석은 게임의 과도한 사용이 게임의 질병 코드 등재의 충분 조건이 아니며 대다수의 건강한 게이머들에게 부당한 낙인을 찍어버릴 위험이 있음을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