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stomized cosmetic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5초

개인 맞춤형화장품 사업 활성화를 위한 비즈니스 가이드라인 제안 (A study on Business Guidelines for Revitalizing Personalized Cosmetics Business)

  • 한채연;남현우;신세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4호
    • /
    • pp.123-135
    • /
    • 2022
  • In Korea, business guidelines for nurturing professional manpower in the cosmetic industry are insufficient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legisl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for customized cosmetics. Therefore, in this study, guideline design for customized cosmetics businesses was studied.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on domestic and foreign market conditions and cases of each business type of the customized cosmetics market were analyzed. In addition,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on the guidelines by creating a group of professionals and employees in the customized cosmetics industr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guidelines for individual business owners of customized cosmetics were institutionalized into 4 types, and essential information needed for introduction of the customized cosmetics into the market and information needed for general practice should be provid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developed as a guideline that can guide the growth of the cosmetic industry and the vitalization of the customized cosmetics business in the future.

분쟁의 소지가 있는 화장품법의 대체적해결방법으로서 ADR제도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제도 중심으로- (ADR systems as solutions to reduce disputes of cosmetic law - Focusing on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of Customized Cosmetic Preparation Managers -)

  • 김주리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31권4호
    • /
    • pp.137-160
    • /
    • 2021
  • The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management qualification system was implemented in March 2020, and it served to create jobs by developing professionals and vitalizing the cosmetics business. However, various problems such as high examination fees, suitability of questions, and utilization in industries are emerging. This paper attempts to prevent disputes that the system can cause and suggest ways to improve it by researching customized cosmetics, the industry status, and comparing foreign cosmetics laws. There is a kind of opinion that laws should be eased for this industry and the other opinion that expertise is necessary in this field because of safety. The system now has adverse effects due to a failure to adjust the difficulty of the exam. Cosmetics are not prescription-based, so they are routinely used. However, some toxic ingredients can cause side effects if they do not conform with certain standards. Also, it is difficult for a case to lead to lawsuits because most consumer damages related to cosmetics are individual. In addition, as e-commerce develops, there is a growing possibility of seeing more consumer damages. If safety and distribution issues, which experts are concerned about, escalate, the private dispute settlement system (among the ADR systems) should be activated as a resolution method.

20대 여대생의 맞춤형화장품 체험소비 및 발전방향 연구 (A Study on experiential consumption and development of the customized cosmetics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Preliminary Study-)

  • 이하연;주현영;김규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595-606
    • /
    • 2020
  • 본 연구는 여대생의 맞춤형화장품 체험소비 및 발전방향을 알아보기 위해 2020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S시의 뷰티·화장품 전공자를 대상으로 확률 표본 추출법(Probability Samplin)과 총 30명을 대상으로 연구 모형을 설계하여 체험소비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구매 전 설문조사 결과로 '맞춤형화장품의 인식에 따라 선호하는 사용 종류'는 기초화장품 30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구매 전 설문조사 결과로 '맞춤형 화장품 체험 경험 유형'은 기초화장 품 11명, 색조화장품 1명, 방향용제품(향수디퓨저등) 2명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매 후 설문조사 결과로 '추천 의향 여부'는 있다 29명, 없다 1명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매 후 설문조사 결과로 '체험 특징'은 '피부타입에 맞게 성분 선택'을 한 점 24명, '1:1 상담대비 가격이 저렴'한 점 9명, '화장품 브랜드를 중시하기보다 내 기호(피부)에 맞는 화장품 선택'을 한 점 18명, '퍼스널 케어를 받은 것처럼 자존감이 높아졌다'라로 말한 내용이 3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맞춤형화장품은 개인 맞춤형 화장품의 장점과 동시에 개인 자존감과 심리적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휴먼터치'와 '피부 유전자 분석' 등을 융복합으로 발전함과 동시에, 20대 여대생에게 맞는 맞춤형화장품 체험소비 방법 등을 더욱 새롭게 개발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한방 음허변증에 따른 피부특성 및 설문 분석 연구 (Study on the Skin Characteristic and Questionnaire according to Yin Deficiency Syndrome)

  • 민서림;명준오;김병현;김태훈;황승진;임준만;진무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81-388
    • /
    • 2019
  • 개인의 피부특성을 반영한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특성을 분류하기 위해 한의학 변증(辨證) 개념을 도입하여 피부특징 및 대상자 특성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변증 중 노화와 관련 있는 음허(陰虛)변증을 선정하였고, 건강한 40대와 50대 여성 218명을 음허변증으로 구분하여 피부특성과 설문응답패턴을 분석하였다. 피부특성은 Corneometer®, Cutometer®, Janus lll 측정기기를 활용하여 보습, 탄력, 모공, 주름, 색소침착, 피부색 및 피지 항목을 측정하였다. 설문은 음허설문지(yin-deficiency questionnaire, YDQ)와 피부상태설문지(modified skin type questionnaire)로 구성되어 있는데, 음허변증 여부에 따른 교차비(odds ratio) 분석과 유의한 피부특성 차이를 나타내는 설문 분석의 두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허로 변증된 집단은 아닌 집단에 비해 보습과 탄력이 감소하고, 피부 붉기가 증가하는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얼굴 열감과 불면, 신체 수분 감소 항목에서 불편감을 호소하였고 피부 민감성 항목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음허변증과 관련된 설문 중 수분, 탄력, 붉기의 피부특성을 나타내는 설문을 바탕으로 해당 고객에게 제품을 추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맞춤형화장품 베이스로서 리포좀 에센스의 물성 평가 및 피부타입에 따른 만족도 평가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Liposome Essences as Customized Cosmetic Bases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Skin Type)

  • 안형근;현통일;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10
    • /
    • 2022
  • 맞춤형화장품은 화장품산업에서 최근 사회환경의 빠른 변화에 대한 대응, 개성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트렌드로서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다. 이에 사업장에서 용이하게 혼합하여 적용할 수 있는 맞춤형화장품 베이스로 리포좀 제형과 에센스 제형의 비율을 달리함으로써 피부타입에 대응한 리포좀 에센스 4 종을 제조하였다. 리포좀 에센스 4 종에 대한 휘발잔분 측정과 90 일 동안의 시간에 따른 나노 입자크기, 다분산지수, 제타전위 및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콜로이드 분산계의 안정성 평가방법으로서 터비스캔을 측정하였다. 또한 피부타입에 대응한 리포좀 에센스 4 종에 대해 간이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 리포좀 에센스 4 종은 지성용보다는 건성용 제품에서 휘발잔분량이 증가하였으며, 입자크기는 165 ~ 175 nm 범위로 시간에 따라 증가 경향을 보여 최대 31.5%까지 증가하였고, 다분산지수는 0.23 ~ 0.26 정도로 시간에 따른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제타전위는 -74 ~ -72 mV로 시간에 따라 약간 감소 경향을 보이나 최대 14.0% 감소하는 정도로 변화가 거의 없었다. 점도는 2,580 ~ 3,290 cps 범위로 시간에 따라 감소 경향을 보여 최대 17.5% 감소를 보였다. 터비스캔 측정에서는 안정성의 척도인 turbiscan stability index가 모두 1.0 이하로 분산 안정성을 보였다. 피부타입 대응 전체적인 간이 사용성 만족도 평가(6 점법)에서는 중지성 피부용 제품(5.33 ± 0.75 점) > 중건성 피부용 제품(5.13 ± 0.95 점) > 건성 피부용 제품(5.03 ± 0.96 점) > 지성 피부용 제품(4.80 ± 1.04 점) 순으로 평가되었다. 리포좀 제형과 에센스 제형의 비율을 달리한 피부타입 대응 리포좀 에센스 4 종은 물성적으로 안정하며, 피부타입에 따른 맞춤형화장품 베이스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맞춤형화장품 베이스로서 나노에멀젼 앰플의 물성 평가 및 피부타입에 따른 만족도 평가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Nanoemulsion Ampoule as Customized Cosmetic Bases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Skin Type)

  • 김세연;안형근;김자영;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43-355
    • /
    • 2022
  • 맞춤형화장품은 사회환경 변화와 개성을 중시하는 트렌드에 따른 화장품으로서 지속해서 언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나노에멀젼 제형과 앰플 제형의 비율을 달리함으로써 피부타입에 대응한 나노에멀젼 앰플 4 종을 제조하여, 맞춤형화장품 베이스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휘발잔분량을 달리한 나노에멀젼 앰플 4 종에 대해, 90 일 동안의 시간에 따른 입자크기, 다분산지수, 제타전위 및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콜로이드 분산계의 안정성 평가방법으로 터비스캔을 측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인체 사용성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나노에멀젼 앰플 4 종은 지성용 시험품보다 건성용 시험품에서 휘발잔분량이 많음을 확인하였다. pH는 6.41 ~ 6.88 범위이며, 입자크기는 170 ~ 174 nm 범위로 90 일 경과 후 변화는 최대 1.2% 이내로서 입자크기 안정성에는 특이점이 없었다. 다분산지수는 모든 시험품에서 0.21 보다 작은 수치 내에서의 변화를 나타냄으로써 거의 일정하며, 단분산에 가까운 입도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제타전위는 초기에 4종의 시험품 모두 -63 mV 이상이며, 시간에 따라 약간 감소 경향을 보이나 최대 2.5% 감소하는 정도로 변화가 거의 없었다. 점도는 초기에 4,100 ~ 5,100 cps 범위로 시간에 따라 감소 경향을 보여 최대 37.7% 감소하였다. 터비스캔 측정에서는 안정성의 척도인 turbiscan stability index가 모두 1.0 이하로 분산 안정성을 보였다. 피부타입에 대응한 나노에멀젼 앰플 4 종의 사용성 만족도 평가(6 점법)에서는 지성용 시험품(5.42 ± 0.67 점) > 중지성용 시험품(5.36 ± 0.67 점) > 중건성용 시험품(5.15 ± 0.69 점) > 건성용 시험품(4.75 ± 0.75 점)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나노에멀젼 앰플 4 종은 물성적으로 안정하며, 피부타입에 따른 맞춤형화장품 베이스로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확장 가능성도 기대된다.

한국 여성의 연령에 따른 피부 측정 데이터 기반 20대 ~ 40대 피부 나이 예측 모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kin Age Prediction Model Based on Skin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Age of 20's to 40's ages of Korean Women)

  • 맹지혜;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5-3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20 대 ~ 40 대 한국 여성을 대상으로 피부 수분량, 피부 멜라닌, 피부 붉은기, 피부 비틀림 탄력을 측정하여 기초 피부 특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나이와 상관성 분석을 진행하여 피부 지수를 만들고 이에 기반 하여 4 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후 시제품 2 종을 2 주간 사용하여 피부 수분량, 피부 붉은기, 피부 각질량 감소에 대한 개선 효과를 확인한 후, 해당 시험자 중 피부 특성시험에 참여했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어느 군집에서 어떤 제품이 더 효과적이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피부 지수와 군집분석결과를 제품 효능평가에 반영하여 맞춤형 화장품 시장에 대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소비자 특성에 따른 화장품 품질 인식 및 만족도 연구 (Research on Cosmetic Qualit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 이은주;리순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16-224
    • /
    • 2021
  •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의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18세부터 50대까지 남녀 317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특성에 따른 화장품 품질(안전성, 안정성, 기능성, 사용성) 인식과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부작용 경험에 따른 화장품 품질인식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화장품 품질 요인 중 사용성에는 만족하고 있었으나 안전성, 안정성, 기능성 인식은 낮게 나타나 전반적인 품질 개선이 필요하였고 특히 남성과 40대의 화장품 품질 인식과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이를 위한 맞춤형 솔루션이 필요하였다. 화장품 부작용을 경험한 경우와 안 한 경우 모두 사용성과 기능성의 순서로 만족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쳐 사용성과 기능성 인식의 제고가 만족도를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고 소비자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보완하는 것이 품질 인식과 만족도 향상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웹 미디어에 나타난 커스터마이저블 패션 브랜드의 유형 및 전략 연구 (A Study on the Types and Strategies of Customizable Fashion Brands on Web Media)

  • 이미숙;정경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1호
    • /
    • pp.134-14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shion brand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tion platform of users, to assess the types and strategies of mass customization(MC). Most fashion brands sell one professional content: Shoes brand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bags, unisex wear, and menswear. In consumer's design selection elements, changes in color and materials were the most common. For the personalization service elements, monogram service was the most common. The results of MC types analysis were as follows, Customized Standardization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ailored Customization, Pure Customization, and Segmented Standardization. For the types according to changes in products and expression methods, Cosmetic was the most common. And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modulation, Modularizers were the most common. For Creativity, brands in the making stage were the most common. For Flexibility, although brands different methods, high flexibility by modularizing design elements of products and accomplishing various design through participation. The Ease of use for various expression was generally high, parallel to Flexibility. For Durability, because consumers could receive end products only when they participated in the assembly stage in the on-line purchase, their continuous participation was not possible, so they participated only once. The typical types and strategy of MC were analyzed. The Customized Standardization type was the most common in shoes, bag, and womenswear brands. It was the Cosmetic type which could change colors and materials, the Modularizers, and had high Flexibility and Ease of use and low Durability.

고온건조 환경에 따른 한국 여성의 피부 특성인자와 피부 바이오 마커를 활용한 피부 지수 개발 (Development of a Skin Index Using Skin Characteristic Factors and Skin Biomarkers of Korean Women According to H igh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Environments)

  • 맹지혜;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41-34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20 ~ 50 대 한국 여성을 대상으로 일시적 고온건조 환경 조성 전후 피부 수분량, 피부 유분량, 피부 멜라닌, 피부 붉은기, 피부 붉은기 이미지 분석, 경피수분손실량, 피부 각질량을 측정하여 기초 피부 특성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측정시기 별 각질 채취를 진행하여 피부 바이오마커 중 총단백질량, 카르보닐화 단백질, 중성 지질, 지질 과산화를 분석하였다. 해당 결과를 기반으로 고온건조 환경 조성 전후의 차이를 확인하고, 피부 특성과 피부 바이오마커의 상관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신규 피부 지수를 만들었다. 신규 피부 지수는 제품 효능평가에 반영이 가능하며 추가연구를 통한 신규 인체적용시험법 구성 및 피부 바이오마커 발굴 연구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