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y spice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1초

향신료 및 Curry의 Nitrite 분해와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Nitrite Scavenging and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ies of Herbs, Spices and Curries)

  • 김진현;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706-712
    • /
    • 2000
  • 26종의 향신료와 이들 향신료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instant curry 제품의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SOD 유사활성이 나타났으며 그 중 clove가 $232,143{\pm}19.989\;unit/g$로 가장 높았고, rosemary, cassia, tarragon, allspice, oregano, bay leaves, basil, marjoram, thyme, star anise등에서도 g당 $10^5\;unit$ 이상이었다 시판되는 10종의 instant curry제품을 사용하여 $100^{\circ}C$에서 10분간 가열 후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g당 $400{\sim}700$ units 정도였다. Nitrite 분해능을 확인한 결과 26종 향신료의 상온수 추출물($(25^{\circ}C)$과 열수 추출물$(100^{\circ}C)$ 그리고, instant curry 10종의 열수 추출물에서 모두 nitrite 분해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pH 1.2에서 상온수 추출물의 경우 clove가 $(97.58{\pm}0.88%)$로 가장 높은 분해율을 나타냈으며 cassia, bay leaves, allspice, oregano, staranise, rosemary, tarragan의 경우도 90% 이상의 분해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열수 추출물의 경우에도 상온수 추출물과 거의 유사한 nitrite 분해율을 나타내었다. Instant curry의 원료로 사용되는 pure curry의 경우 숙성기간(0주${\sim}$12주)에 따른 nitrite 분해능을 측정한 결과 pH 1.2에서 $50{\sim}60%$ 정도였으며 숙성기간 중 변화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instant curry 제품을 사용하여 pH 1.2 조건하에서 nitrite 분해능을 측정한 결과 제품별 차이는 있었으나 12${\sim}$28% 정도의 분해능을 가지고 있었다.

  • PDF

용매에 따른 카레 향신료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혼합효과 (Antioxidant and Mixture Effects of Curry Spices Extracts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 안채경;이영철;염초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91-499
    • /
    • 2000
  • 카레분의 단품향신료와 카레분(curry powder)을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으로 추출하여 수율, 항산화 효과, 총페놀함량, 총토코페롤 함량을 측정하였다.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의 추출 수율은 각각 $6.4{\sim}42.9$, $3.9{\sim}26.2$, $1.6{\sim}29.2\;%$로 극성이 높아질수록 수율이 증가하였다. 미강유의 각 용매별 추출물을 1,500ppm 첨가하여 Rancimat로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메탄올 추출물은 rosemary, sage, ginger, turmeric, nutmeg 순으로 우수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rosemary, sage, oregano, thyme, ginger의 순이었으며 헥산 추출물은 rosemary, sage, oregano, ginger, thyme 순이었다. 1,500ppm을 미강유에 첨가하였을 때 BHT보다 유도기간이 길게 나타난 향신료는 3가지 용매 추출물에서 공통적으로 rosemary, sage, ginger, oregano, thyme이었으며 이들 향신료를 200, 500, 1,000, 1,500, 2,000 ppms 농도로 미강유에 첨가한 후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rosemary와 sage는 헥산 추출물 2,000ppm에서, ginger는 메탄올 추출물 2,000ppm에서 우수한 효과를, oregano와 thyme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1,500ppm과 2,000ppm에서 큰 차이 없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Rosemary의 혼합에 따라 ginger와 thyme의 항산화 효과가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나 상승효과라기 보다는 rosemary로 인한 유도기간의 연장 효과였다. 총페놀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은 $17,924{\sim}801\;mg%$,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13,893{\sim}57\;mg%$, 헥산 추출물은 $6,864{\sim}12\;mg%$이었으며 총페놀함량과 항산화 효과가 일치하지는 않았다. 토코페롤의 경우 oregano가 3194.8mg%로 가장 높았으며, sage 1014.8 mg%, rosemary 571.1 mg%, thyme 187 mg%였고 ginger에서는 토코페롤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토코페롤함량과 항산화 효과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카레 향신료 정유성분의 항균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of Curry Spices)

  • 정창기;박완규;유익제;박기문;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16-719
    • /
    • 1990
  • 카레에 사용되는 각종 향신료로부터 수증기증류법에 의하여 정유를 분리하고,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유산균, 효모 및 곰팡이에 대한 향균성을 검토하였다. 모두 14종의 향신료 정유의 항균력을 Agar diffusion법으로 실험하였으며, 항균력이 강한 5종(clove, cumin, nutmeg, oregano, rosemary)을 선별하여, 이들의 최소 생육억제 농도(MIC)를 측정하였다. 이들 5종의 향신료 정유성분들은 매우 낮은 농도($0.2{\sim}9\;mg/ml$)에서도 좋은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생육억제효과는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 좋았으나, 비록 그람양성균이지만 유산균에 대한 효과는 낮게 나타났다.

  • PDF

시판 instant curry 및 curry 사용원료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mmercial Instant Curry Powders and Individual Spices)

  • 정명수;정승현;이진선;빅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5-131
    • /
    • 2003
  • Instant curry 제품 및 원료로 사용되는 향신료의 열수추출물을 사용하여 생리활성을 실험하였다. Linoleic acid에 향신료 추출물을 첨가하여 자동산화를 측정한 결과 ginger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이 자동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특히, clove 및 fennel의 경우 ${\alpha}-tocopherol$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신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mild pure curry(MPC, p<0.001)와 spicy pure curry(SPC, p<0.01)도 항산화 활성이 있었으며, instant curry 제품에서도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Instant curry의 열수추출물이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의 활성억제작용은 없었으나, 원료로 사용되는 red pepper$(52.8{\pm}2.13%)$와 clove$(13.48{\pm}1.00%)$, coriander$(10.32{\pm}1.45%)$의 경우 ACE활성을 저해하였다(p<0.001). 향신료 열수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에서 유방암세포 MCF-7의 증식억제에 black pepper$(29.31{\pm}2.12%)$와 cardamon$(19.41{\pm}3.92%)$이 유의차(p<0.01)있게 세포증식을 억제하였으며, celery seed$(28.20{\pm}5.98%)$도 억제효과를 나타냈다(p<0.05). 그러나 SPC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자궁암세포 HeLa의 경우 clover$(42.92{\pm}5.57%)$는 p<0.01 수준에서, cassia$(26.14{\pm}7.41%)$는 p<0.05 수준에서 유의성있게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냈다. 그러나 MPC 및 coriander, turmeric, SPC, nutmeg, cardamon, red pepper, celery seed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종양세포 A172의 경우 ginger$(34.21{\pm}1.11%)$ 및 cardamon$(31.89{\pm}3.13%)$, black pepper$(31.35{\pm}3.93%)$가 p<0.001 수준에서, 그리고 cumin 및 MPC, SPC, turmeric, celery seed에 의해서도 세포증식이 억제되었다(p<0.05). 그러나 clove 및 fenugreek, cassia에서는 A172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신장암 세포 SN12C에 대해서는 garlic$(82.88{\pm}0.53%)$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p<0.001)를 나타냈으며, ginger 및 cumin, cardamon이 p<0.01 수준에서 증식억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clove의 경우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위암 세포주 SNU-638의 경우 garlic$(71.63{\pm}0.38%)$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red pepper 및 ginger, fenugreek, SPC, cumin, MPC 등에서도 증식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p<0.001). 그러나 clove 및 nutmeg, turmeric, coriander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폐암 세포 A549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 대부분의 원료에서 세포독성이 없었으나 cassia(82.84 16.92%)가 가장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나(p<0.001), clove 및 nutmeg, fennel, celery seed, fenugreek, black pepper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또한, 신장암 세포 SN12C의 경우 MPC 열수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높아질수록 cytotoxicity가 증가하였으며, 폐암 세포주 A549의 경우 농도 증가에 따른 cytotoxicity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레분 및 향신료 추출물의 항 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Extracts of Curry Powder and Its Individual Spice)

  • 정승현;정명수;이진선;박기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52-357
    • /
    • 2002
  • 카레분 및 카레 원료로 사용되는 주요 향신료들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보기 위하여 카레분 및 원료 향신료 14종의 추출물에 대한 돌연변이원성 및 항 돌연변이원성 실험을 하였다. 카레분 및 향신료 14종의 추출물에 대해 돌연변이원성 유무를 확인한 결과 돌연변이 원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 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 직접 변이원 2-NF 처리 시Saimonella typhimurium TA 98에 대하여 향신료 추출물 중cinnamon(42%) 및 fenugreek(38%), fennel(32%), ginger(28%), clove(24%)는 p<0.00I 유의수준에서, 그리고 turmeric (23%) 및 celery seed(20%), coriander(16%)는 p<0.01 수준에서 항 돌연변이율을 나타냈다. 그리고 garlic(17%)이 항 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냈으며 그 밖의 향신료 및 카레분 추출물은 항 돌연변이 효과가 없었다. 간접변이원 2-AT처리 시 돌연변이 수는 115.0$\pm$46.4에서 clove추출물 첨가에 의해 13.2$\pm$8.1로 감소하여 향신료 추출물 중 clove가 116%로 가장 높은 항 돌연변이율을 보였으며, celery seed(103%) 및 cardamon(100%) 역시 강한 항 돌연변이율을 나타냈다(p<0.01). 그밖에 red pepper, cinnamon, cumin, ginger, fennel, coriander, nutmeg, turmeric에서도 항 돌연변이 활성이 존재하였다(p<0.05). 간접변이원 2-AF에서는 clove추출물이 120%의 가장 높은 항 돌연변이율을 보였으며, cinnamon(113%) 역시 강한 항 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냈다(p<0.001). 그리고 cardamon(93%) 및 celery seed (80%), ginger(58%), fennel(44%) 역시 항 돌연변이 활성을 보였다(p<0.05). 그밖에 coriander, black pepper는 항 돌연변이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카레분 추출물의 경우, 간접변이원인 2-AT와 2-AF에서 6~23%의 항 돌연변이 율을 나타냈으나 유의성이 없었으며 직접변이원인 2-NF 에서는 항 돌연변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즉, 동일한 추출물이라도 변이원에 따라 항 돌연변이율이 다르게 확인되었으며, 카레분 및 원료 향신료의 추출물에서 항 돌연변이율은 직접변이원보다는 간접변이원에서 높게 나타났다.

제주특산물을 이용한 향토국수의 개발 (Development of Regional Noodles Using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of Cheju Island)

  • 황인주;오영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61-366
    • /
    • 1996
  • Acceptable fish noodles of better nutritional and sensory values than conventional noodle made only wheat flour were prepared by mixing wheat flour and ground tile fish (Branchioste gus japonicus). In oder to mask a distinctive fish odor, various herbs and spices, such as ginger (Zingiber officinale), curry (Chalcas koenigii), nutmeg (Myristica Pagrans), garlic (Ailium sativum), black pepper (Piper nigrum), lemon (Cirtus limon) or sodachi (Citrus sudachi) were added to the basic tile fish noodle. Also,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eating qual ify and nutritional value of basic noodle were combined some agricultural or fishery products of Cheju island, citrus fruits; danyooja (Citrus danyooga), hagul (C. natfudaidai), medical plants; angelica utilis (Angelica keiskei), ginseng (Panax ginseng), cactus (Opuntia dillenii), vegetable; carrot (Daucus carota), dropwort (Oenanthe jnvanica), seaweeds; fusiforme (Hizkia fusiforme), gulfweed (Sargaceae hlvelium). The optimal mixing ratio for preparing the basic tile fish noodle amounted to ground tile fish 135 g: tile fish stock 139 $m\ell$: wheat flour 450 g: salts 10 g. The mixture of curry powder (2.5 g) and nutmeg powder (2.5 g) was proved to be the most effective combinations for masking unfavorable fish odor. The optimal amounts of materials to be added to the prepared basic noodle were 25 g citrus zest and 80m1 citrus juice for citrus fruits noodles, and ca. 140 g puree for noodles from medical plants, vegetables and seaweeds, respectively. The preference score obtained from consumer preference test, on a 9-point scales, were in oder of i) danyooja > carrot, angelica, ginseng > fusiforme, ii) hagul > dropwort, cactus > gulfweed. The shelf-life of tile fish noodle based on bacterial counting was estimated to be 7-days at 5$^{\circ}C$.

  • PDF

조미료(調味料) 및 향신료(香辛料)가 Ascorbic acid에 미치는 조리화학적(調理化學的)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ffect of Spices and Flavoring on Ascorbic Acid content)

  • 황희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7권1호
    • /
    • pp.37-43
    • /
    • 1974
  • Ascorbic acid수용액에 조미료 및 향신료를 단독독 또는 배합 첨가(添加)하였을 때의 ascorbic acid의 함량(含量)을 2,4 Dnitrophenylhydrazine method에 의하여 정량(定量)하였다. 조미료 및 향신료를 단독으로 ascorbic acid 수용액에 첨가(添加)하였을 때의 total ascorbic acid의 잔재율(殘存率)은 식초, 설탕, 소금, 미원, 파, 마늘, 깨, 엿, 간장, 고추, 고추장, 후추, 생강, 계피등이 ascorbic acid단독만의 수용액보다 높은치(値)를 나타냈으며 실백, 참기름, 된장의 첨가(添加)는 적은치(値)를 나타냈다. 또한 ascorbic acid의 자동산화율(自動酸化率)은 회향, 계피, 생강, 후추, 된장, 실백, 카레등이 가장 높은치(値)를 나타냈으며 마늘, 참기름, 미원, 설탕, 꿀, 소금, 새우젓, 고추장, 간장등이 대체적으로 얕은치(値)를 나타냈다. 또한 배합(配合)조미료에 있어서는 모두 ascorbic acid의 함량(含量)은 높은치(値)를 나타냈으며 콩나물, 무나물, 무침등 가장 빈용되는 조미료 배합(配合)인 No. 8,9,10이 높은 치(値)를 나타냈으며 겨자채의 조미료배합이 제일 적은치(値)를 나타냈다.

  • PDF

향신료의 휘발성 향미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pices in Curry)

  • 김현위;허경택;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7-135
    • /
    • 1989
  • 카레가루 원료로 쓰이면서 독특한 풍미를 내는 육두구(nutmeg), 쿠민(cumin), 카다몬(cardamon), 심황뿌리가루(turmeric), 고수(coriander), 정향(clove), 올스파이스(allspice), 카시아(cassia), 회향(fennel), 셀러리시드(celery seed), 검정후추(black pepper)등 향신료 11종을 상압 수증기 증류하여 얻은 유출액으로부터 Diethyl ether: n-Pentane(2 : 1, v/v)으로 향미성분을 추출한 후, capillary GC와 GC/MS를 이용하여 그 주요 성분들을 동정하였다. 육두구는 ${\alpha}-pinene(11.06%)$, ${\beta}-pinene(11.17%)$, myristicin(19.98%), 쿠민은 cuminaldehyde(37.68%), 카다몬은 ${\alpha)-terpineol(47.33%)$, 1, 8-cineol(20.56%), 고수는 linalool(61.72%), 정향은 eugenol(63.63%), eugenol acetate(20.59%), 올스파이스는 eugenol(80.12%), methyl eugenol(10.85%), 카시아는 cinnamaldehyde(82.29%), 회향은 anethole(79.92%) 등이 주성분이었다.

  • PDF

육가공용 향신료의 위생화를 위한 감마선 및 전자선 조사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Gamma Ray and Electron Beam Irradiation to Improve Safety of Spices for Meat Processing)

  • 김병희;김현주;윤요한;신명곤;이주운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4-132
    • /
    • 2010
  • 육가공 산업에서 원료로 이용되고 있는 향신료의 위생화를 위하여 대표적인 살균 기술인 감마선과 전자선의 조사효과를 비교하였다. 미생물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대부분의 시료에서 1.5 to 3.8 Log CFU/g의 일반호기성 미생물이 나타났으나, 강황 및 로즈마리에서는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된 시료에서는 조사에 의해 효과적인 것으로 미생물이 감소하였으며, 감마선이 전자선보다 효과적으로 미생물을 사멸하였다. 검출된 미생물을 동정한 결과 Bacillus spp. 및 Staphylococcus spp.으로 확인하였다. B. cereus 및 S. aureus에 대한 방사선 감수성 측정 결과 0.19-0.63 kGy로 확인되었으며, 전자선 보다 감마선에 대한 내성이 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mes test를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에 의한 향신료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조사에 의한 돌연변이원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향신료의 위생화를 위한 살균방법으로 방사선 조사기술이 효과적으로 판단되며, 감마선(>4 kGy, <6 kGy)이 전자선보다 효과적으로 미생물을 제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