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검색결과 545건 처리시간 0.021초

물리적 섬유감별방법에 대한 중학교 의복재료 단원 탐구활동지 개발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about Physical Fiber Identification Method in Home Economics Lesson of the Middle School)

  • 이희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5-7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 가정교과 의복재료 단원에서 실물 교육자료집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의복재료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자 물리적 섬유감별방법이 들어간 탐구활동지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수준에 적합한 물리적 섬유감별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양모와 아크릴, 견과 폴리에스터를 비교하는 물리적 섬유감별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탐구활동지를 개발하였다. 탐구활동지를 수업에 활용한 실험 집단과 사용하지 않은 통제 집단의 학습흥미도, 학습수용태도, 학업성취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탐구활동지를 사용한실험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제작된 섬유감별방법과 탐구활동지는 의복재료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촉진시켜줄 뿐 아니라, 의복재료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PBL과 메이커 교육을 적용한 가정과 예비교사를 위한 의류학 실습 수업 개발 (Developing a clothing and textiles studio course for future home economics teachers using principles of PBL and maker education)

  • 이예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1호
    • /
    • pp.134-151
    • /
    • 2021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lothing and textiles studio course for preservice home economics teachers applying principles of Project-Based Learning (PBL) and maker education to equip future teachers with the ability to nurture creativity among adolescents. The studio course was developed in the following stag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We concluded that the resulting course met the following objectives extracted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subjects: to promote creative and environmentally-friendly fashion design and styling abilities, gain the ability to use makerspace tools, understand flat pattern making and sewing processes, and develop creative thinking, aesthetic sense, and communication skills. Furthermore, the educational effects of PBL and maker education were confirmed through student comments on the course. Students mentioned the practicality of the material in their actual lives along with their enhanced integration of the subject material, self-directedness, aesthetic sense, ability to learn through trial and error,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and sharing. Based on results from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tages, a clothing and textiles studio course should include the following modules: introduction of terms and tools, submission and sharing of clothing reformation and upcycling techniques, introduction to hand sewing, pouch making, heat-transfer printing, 3D printing, mask making, hat making, vest making, and the final team project on fashion styling. It is important for instructors to provide detailed guidelines on selecting personas for styling, looking for available materials, and selecting materials online.

가정교육과 교사교육의 TQM(Total Quality Management: 총체적 질 관리) 구성요소에 대한 재학생들의 평가 (Evaluation of TQM(Total Quality Manage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Department in the University by Students)

  • 김성교;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9-200
    • /
    • 2008
  • 본 연구는 사범대 가정교육과 교사교육을 TQM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평가하여 TQM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여 가정교육학의 미래발전에 기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설문조사 대상은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3학년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사범대학 가정교육과를 방문(3개교)하거나 우편발송(10개교)하여 총 342부 가운데 302부(88.3%)를 회수하고 285부(83.3%)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이렇게 하여 나온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사범대 가정교육과 교사교육을 TQM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평가하여 TQM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여 가정교육학의 미래발전에 기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설문조사 대상은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3학년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사범대학 가정교육과를 방문(3개교)하거나 우편발송(10개교)하여 총 342부 가운데 302부(88.3%)를 회수하고 285부(83.3%)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이렇게 하여 나온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과교사교육을 통하여 습득하게 된 가정과교사의 전문적 자질 성취도를 보면, 가정교육에 대한 열정, 가정과교사로서의 긍지와 사명감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정교과에 대한 미래비전 제시, 가정교과 관련 특별활동 지도능력, 컴퓨터 활용 능력에 대한 성취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학 만족도의 경우 평균 3.15로 나타났는데 본인의사로 입학한 경우와 재입학을 희망하는 경우, 성적이나 기타 사유로 입학한 경우와 재입학을 희망하지 않는 경우 보다 높았다. 가정과교사교육자의 리더쉽에 대해서는 거래적 리더쉽보다 변혁적 리더쉽을 취한다고 인식하였다. 재학만족도가 높고 재입학을 희망하는 재학생일수록 가정과교사교육자에 대한 리더쉽 인식 수준이 높았다. 가정교육과 재학생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평균 3.52로 중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재학생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가정교육 전공교수가 재직하고 있는 대학의 재학생이 그렇지 않은 재학생보다 높았다. 가정과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개혁을 위한 일반적인 요구를 사정한 결과, 가정과교사 교육과정은 중등현장의 실무능력 함양을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가장 개혁이 필요한 분야로 교수방법의 혁신을 들고 있었다. 교수법 가운데에서는 실험 실습수업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점이수에 있어서는 교과내용학을 우선 충실 이수를 한 뒤 부족한 교과교육학은 현장에서 연수과정을 개설하여 보완하도록 요구하고 있었다. 대학의 가정과교사 교육과정 개발 주체는 현장의 가정과교사와 재학생이 되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가정과교육에 TQM을 어떻게 도입하여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와 공급자 중심에 서의 평가 연구, 내러티브 연구를 통한 질적연구의 활성화를 제언한다.

  • PDF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교육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Dietary Education in Technology.Home Economies Classes - Focusing on the 7th Curriculum -)

  • 김윤선;강세진;이귀주;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1-174
    • /
    • 2011
  • 본 연구는 현재 기술 가정교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식생활교육에 대하여 중학생틀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기지역 중학교 3학년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유효응답자 444명 중 78.1%가 주로 기술 가정교과로부터 식생활 관련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있었으며, 62.6%가'실생활에 도움이 된다', 67.3%가 '학교식생활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현재 시행중인 식생활교육지원법에 대해서 88.7%의 응답자가 모르고 있었다. 식생활교육영역을 총28개의 항목으로 세분화하여 질문한 결과, 전반적으로 관심도가 높은 항목일수록 실천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항목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관심도 및 실천도를 나타냈다. '식사예절' 및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영역과 관련된 교육항목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식품 조리' 영역에 대한 관섬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교식생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는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성별, '식사예절' 단원의 실천도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 PDF

Romey 기법에 의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의 탐구 성향 분석 - '관리' 핵심 개념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inquiring tendencie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based on the Romey method - Focusing on the core construct of 'Management' -)

  • 이현정;이지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9-114
    • /
    • 2018
  • 교과서는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이며, 가장 영향력 있는 교육 자료이다. 교과서는 탐구적인 경향으로 구성되어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탐구적인 교과서는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높일뿐만 아니라 수업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기술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 12종의 '관리' 핵심 개념의 탐구적 경향을 Romey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문은 1종의 교과서가 탐구적인 경향인 것으로 나타나서 본문이 학생들의 탐구 학습을 지향하기보다 지식 전달 성격이 강하였다. 그림과 도표 분석 지수는 10종의 교과서가 바람직한 탐구적 경향의 범위에 있어서 가정교과서에서 제시된 그림과 도표가 어떠한 학습 활동을 이끌기 위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 활동 지수는 9종의 교과서가 탐구적 경향이어서 가정교과서가 대체로 학습 활동의 양을 적당하게 제시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끌고 탐구력을 자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평가 지수는 2종의 교과서만이 탐구적인 경향으로 나타났다. 교과서별로 보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집필된 가정교과서들은 본문, 그림 및 도표, 활동, 평가 모든 요소가 탐구적인 교과서도 있었지만 개선이 요구되는 교과서도 있었다. 가정교과서의 시사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가정교과서는 수업시간 상호작용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탐구적으로 구성하며, 교과서를 집필할 때 본문, 그림 및 도표, 활동, 평가의 비중을 알맞게 구성하고 질문을 탐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특수의복에 관한 실태조사 연구 -한국과 미국의 교과과정과 연구경향분석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Curriculum and Research Trends Related to Clothing for Persons with Special Needs between Korea and America)

  • 김찬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3-28
    • /
    • 1989
  • With the purpose of identifying clothing for persons with special needs one of new directions in Clothing and Textiles, this pater comparatively analyzed current curriculum and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is field between Korea and America. Questionaire was distributed to 25 Korean colleges with Clothing and Textiles department and 4 American colleges known for special clothing study. Questions regarded the name of course, level (grade), number of credit houre, prerequisits and supporting courses, subjects of lecture and projects, way of managing lecture and projects, evaluation system, other special characteristics. Resources for analyzing research trends are Thesis and Dissertations i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of Clothing & Textiles/Home Economics Association, College Professors' research reports collection, of both Korea and America. Years of publications are 1972∼1986 (America), 1978∼1988 (Korea). Findings are as follows; 1. Clothing for special need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groups; Clothing for physically handicapped, mentally retarded, elderly, unusual-sized, pregnant/nursing mothers, institutionalized, protective clothing, uniform/career apparel. 2. Management of coursework related to special clothing has several common characteristics specially in America; Building-up coursework, problem-solving orientation, cooperative team-preject, interdisciplinary approach, client-versus-designer preference, community involvement. In Korea, a few school only has special clothing coursework and its scope of study was very limited. 3. Majority of research reports done with the subjects of special clothing had made for physically handicapped people and the elderly. Protective clothing and uniform have recently been paid much interests. 4. Researchers had mainly concerned on Design and Construction Aspects and nextly on social-psychological aspects. However, in America, selection and care aspects and marketing aspects of special clothing have been very procuctive issues recently. 5. Study on clothing for special needs has several opportunities to be stressed and improvements to be strengthened. Opportunities included active participation to the welfare of community society, strong publicity of accurate professional image, share with business and industry,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new job market. Improvemen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trengthening supporting courses/prerequistes, intensifying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provoking strong community involvement and securing financial support and research funds.

  • PDF

의생활 교육내용의 계열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 박일록;이은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9-54
    • /
    • 2002
  •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and to systemize its curriculum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Every time the official curriculum is updated. the suggestion that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zed never fails to come forth. Unfortunately. it's a fact that there are still insufficient grounds to base this opinion on. and that adequate research has not yet been done in this particular field. Therefore. basic research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systematize the substance of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Keeping this in mind. the following study strives to find appropriate methods of conducting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while attempting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future organization and selection of content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e materials have been sorted into three categories : First of all. what sort of concepts is being taught in the subject of clothing and textile. and are the chapters constructed so that different schools can maintain consistency among them\ulcorner Second, how has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been done so far and is the contents correctly synchronized with the students'development\ulcorner Third. haw is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utilized in real life. and has it actually been systematized in a way that encourages practical utilization\ulcorner This study has mostly been done through the research of various documental resources. Also. the analysis has been performed using the systematic contents analysis method. The main results of obtained this study are as follows : As the concepts of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school, has not completely been systematizied. Also. as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has not correctly synchronized with the students'development. am it has not actually been systematized in a way that encourages practical utilization. Since this study has touched only limited research on the topic of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it is essential that further research covering a wider array of themes be done in the future.

  • PDF

청소년의 성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Basic Research on Sexuality Education for Adolescents)

  • 문인자;조옥희;김효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45-159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middle school students’s awareness of sexuality and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sex. The students need to have at their disposal basic resources on sexuality education and an established and systematic curriculum. To achieve this result, questionaires were distributed to 640 students who were chosen randomly in three middle schools in Seung-ju Goon and Goo-rye Goon in Chonnam area, 573 questionar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area of awareness of sexuality, male students regarded sex more positively than female students. It also showed that 19.9% or male students and 17.6% of female students were not aware of their virginity. Male students said they felt sexual impulses most when they saw naked women, and secondly, by sex magazines. This indicates students are motivated mostly by outside influences. There is a considerable gap in the degree of sexual knowledge between male and female according to their school year and father’s family education level. However, little difference is seen according to student’s family circumstance, father’s education level. However, little difference is seen according to student’s family circumstance, father’s job, and student’s religion and vise versa. School restrictions were so severs that 48.2% of boys and 47.1% of girls said that schools paid little attention to their needs. The school restricted rather than permitted relationships with opposite sex. Most of the students revealed a dissatisfaction with the school sexuality education program. Because of confucianism, Korean society has a negative attitude towards sexual activity including sexual education in the schools. 56.8% of male students and 81.4% of females students wanted female teachers to be their sexuality education teachers or advisors rather than male teachers, and 44.8% of male students and 51.2% of females students wanted to receive sexuality education in their Home Economics classes. Materials for sexuality education were considered most effective through videos and audio-visuals. As a result, this survey showed that there appeared to be a great need for a sound, effective, and sensitive sexuality education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s for teenagers. It should be conducted in such a way that the teenagers will learn about their sexual needs, their gender differences, and understand and know how to conduct themselves in today’s society sexually.

  • PDF

실천적 추론 수업을 적용한 고등학교 기술.가정 '부모됨'영역의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과 효과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a Practical Reasoning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for the 'Parenthood' Unit in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 박수경;조병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7-202
    • /
    • 2009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기술 가정 교과의 '결혼과 육아' 단원에서 '부모됨'에 대한 수업 내용을 중심으로 11종 교과서와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추출한 수업 목표를 가지고 실천적 추론 수업 과정으로 재구성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실제교실 수업에 적용하여 실천적 추론 수업 방식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개발된 6차시 교수 학습 과정안은 실천적 문제 '부모가 된다는 것이 나에게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가?'로 1, 2차시를,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나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로 3, 4, 5차시를, '바람직한 부모역할을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6차시 교수 학습 과정안을 학교 수업에 적용하였다. 적용 대상은 경기도 이천시 소재의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합반의 5개 학급, 총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됨 단원의 하위 요소인 부모됨의 의미와 동기, 부모됨의 준비, 부모됨의 역할로 나누어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학습자의 부모됨에 대한 인식의 향상을 가져오는지 그 효과에 대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부모됨 단원을 실천적 추론 수업 방식으로 적용하였을 경우 학습자들의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또한 실천적 추론 수업 방식은 학습자들의 흥미와 참여, 이해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 적합한 교수 학습 방법인 실천적 추론 수업을 다양한 학습내용과 학습활동으로 학생들의 흥미와 수업 참여도를 증대시켜 효과적인 수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PDF

중학생의 자의식이 기술·가정 교과 '옷차림과 자기표현' 단원의 중요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Juvenile Self-consciousness on the Importance of Unit 'Clothing and self-expres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박은희;이상주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1-64
    • /
    • 2016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juvenile self-consciousness on the importance of unit 'clothing and self-express' in technology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44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Deagu metropolitan City.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hi}^2-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Our findings are as follows. Self-consciousness had factors as privately and socially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The factors of the importance of unit 'Clothing and self-express' were clothing, self-express and excellence in traditional clothing.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had factors as appearance management, plastic surgery interest, diet importance, health focus and eating habit. Self-consciousnes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factors of the importance of unit 'Clothing and self-express', and self-consciousness on 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differences by gender of middle students was examined in clothing and textile interest, clothing and textile unit interest and knowledge acquisition rou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