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 spaces for senior citizen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노인 공간의 기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of a Space for Senior Citizens Using Digital Contents)

  • 권지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257-267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들의 문화에 주목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노인공간을 기획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이론적으로는 노인의 신체적·사회적·심리적 노화, 노인 전용공간 및 노인문화로서 디지털 콘텐츠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심층인터뷰를 활용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들은 기존 노인공간에서 운영하는 문화 프로그램 이외의 새로운 놀이 문화를 원하고 있었으며, 1인 미디어, 게임 등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분석되었다. 특히, 노인들은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가 가족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해 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 노인문화공간을 제시했다.

학교시설개선을 위한 평가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Standardized Index of Evaluation for Upgrading the School Facilities)

  • 송병준;김영석;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260-270
    • /
    • 2012
  • The 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he decrease of the population growth rate and the increase of the population of the senior citizens, which become issues of the modern society, are bringing numerous changes of many aspects like national economy, community, and culture. These social phenomena give impacts on the school facilities as well. Thus owing to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the students, the number of the newly constructed schools has been decreased drastically, and moreover the merger of the schools cause many schools to be default. Meanwhile, the school facilities have been expanded into the functions of the local community centers, and the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demand the diversity and flexibility of the spaces. These factors add more burdens to the current schools. Therefore the school facilities are needed to adopt a flexible and relevant change necessary for using the spac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needs of the times, and are needed to reinvented continuously not to limit the educational and social activities because of the degradation of the school facilities. Yet because there are no proper criteria for doing the task, problems related to the relevance of the task and the unnecessary investment are raised. So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demonstrate the standardized index in terms of the sequential priority of upgrading the facilities among the schools.

  • PDF

가로공간 보행증진을 위한 보행만족도 평가 - 행정중심복합도시 1지구 상업·주거지역을 대상으로 - (Satisfaction Evaluation for the Pedestrian Improvement of Street Spaces - Focused on the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s in the First District of Administrative-Centered City -)

  • 련등;최재혁;이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5-126
    • /
    • 2018
  • 여성, 아이, 노인, 장애인 등 보행약자를 위한 보행친화가로를 조성하기 위하여, 차량 중심에서 보행자 중심으로 바뀌고 있는 도시환경변화의 패러다임을 반영시켜야 하며, 이를 통해 도시 가로의 보행환경의 질을 높이고, 보편적 이동권을 확보하여 사회통합을 유도해야 한다. 본 연구는 세종특별자치시 행정중심복합도시 1지구에 위치한 상업 주거지역 주변의 가로공간을 대상으로 보행도로 현황을 분석하고 파악하여, 보행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행증진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지의 물리적 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위성지도와 수치지도를 사용하였으며, 조사 지역의 기본자료에 대해서 정리하고, 가로 현황과 보행 환경에 대하여 현장 조사를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대하여 의식과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315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으며, 조사 대상지 4곳의 보행서비스 수준은 모두 최상급인 A급이었으며, 녹지 시설의 배치도 비교적 충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 분석 결과, 요인분석을 통해 영향력 있는 요인들은 높은 순서에 따라 디자인>편리성>가로수 및 휴게시설>안전성>안전 보호시설>교통 및 안내시설>연속성>노면 기본상태>쾌적성 이다. 주거지역: 교통 및 안내 시설>노면 기본 상태>쾌적성>편리성>연속성>디자인>조명 및 범죄 방지시설>안전성>가로수 및 휴게시설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