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eco-tourism resource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4초

도서해양의 생태.문화자원의 활용과 지역 활성화 (Eco-Cultural Resources and Regional Activation of Maritime Area)

  • 홍선기
    • 농촌계획
    • /
    • 제13권3호
    • /
    • pp.61-72
    • /
    • 2007
  • Natural resource of the island and coastal region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ecological network system in Korea. Currently, there is trend that natural and biological resources such as fishing and tidal wetland have been used to local economic activation in island and coastal regions. According to the 5-days work in a week, island and coastal regions become important amenity resource of citizen's recreation area. Korea is peninsula surrounded by maritime. Especially, South and West Sea surrounded by many islands and tidal flat wetlands are emerging marine ecosystem and seascape in the world. Natural resource is limited, so we have to sustain those resource to current tourism.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importance of cultural resource as well as natural resource for 'eco-cultural tourism' in order to keep both biological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as amenity resource for future island economic activation in Korea.

문화관광축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전략 연구(제 2보) -지역문화자원 활용을 중심으로-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Design for the Promotio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II) -Focusing on the Utilization of Local Cultural Resources-)

  • 정경희;이미숙
    • 복식
    • /
    • 제60권2호
    • /
    • pp.51-6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high value-added cultural product design with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to contribute to promoting cultural tourism festivals. To accomplish this study, first, a preliminary survey is carried out the investigation of cultural product stores and visitors' questionnaire survey. Next, based on these survey and prior study, this study establishe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oncep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and to developed fashion cultural products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Adobe Photoshop 6.0, and Adobe Illustrator CS Program were used for the standardization of patterns, textile design and illu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ased on preliminary research results, the problems of the desig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products were derived. As one solution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establishe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oncep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to develop fashion cultural products. The concept of the Andong Maskdance Festival was 'Tribal-Holic'; the Boryeong Mud Festival, 'Get away form it all'; the Gangjin Celadon Festival, 'Timeless Memories'; the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Lighting up the River'; the Chungju World Martial Arts Festival, 'Next Ergonomics Gym'; and the Muju Firefly Festival, 'Eco-Purity'. Second, based on the desired items of festival organizers and the survey of visitor's preference for cultural products, 4 items were selected by festival type. Then a total of 96 designs of 4 kinds each were developed using logos or characters, traditional patterns, special products, symbolizing region, or festival as a motif. Third, the strategy for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design for promotio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were 'Place identity design strategy', 'Market oriented design strategy', 'Buyer-Based pricing strategy', 'Regional brand strategy', and 'Distribution networks expansion strategy'.

대구의 문화생태환경 복원과 활용 (The Restoration and Application of Cultural and Ecological Environments of Daegu City)

  • 전영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89-19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최지로 선정된 대구시의 도시 이미지 제고에 필요한 대구의 문화생태환경 복원과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잘못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자연경관은 신천과 입암으로 이에 대한 수정이 시급히 요구되며, 이 외에도 지명의 오기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 둘째, 고문헌에 전해지는 대구의 두 바위 중 하나인 입암은 이미 사라진 상태이지만, 화암은 최근에 그것의 실체가 밝혀진 만큼 이에 대한 충분한 보존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사라질 위기에 처한 주요 자연경관의 보존을 위해 이들을 대구 문화생태관광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넷째,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지형경관 중에서도 문화 또는 역사와 관련된 지형경관을 특별히 '문화지형(Cultural landform)'으로 부를 것을 제안한다.

  • PDF

Engineering characteristics and eco-cultural potential of spring in Jeju Island

  • Koh, Byoung Ryou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218-218
    • /
    • 2019
  • Jeju island has an area of $1,810km^2$ and is considered the largest island in South Korea. In Jeju Island the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is 1,957mm. About 54% of precipitation is estimated to be lost due to evapo-transpiration and direct runoff, and the remainder is recharged. Historically springs and puddles were the island's primary sources of water. However, after 1970 all sectors, including the urban and industrial sectors depended solely on groundwater as their water resource. As vast amount of water is being recharged the Island has many springs, especially near the coastlines. Historlcally, spring of Jeju Island formed village and make it possible to continue a life. Also it produces many values such as the spring related story, culture, tourism and ecosystems. Especially, the naturally rare phenomenon that about 900 springs appear over the whole area of Jeju Island makes it possible to call it as a natural heritage. As a result of this most springs have either been destroyed or been in the state of neglect. In some cases it has been observed that springs were preserved by nature, however majority of the cases saw springs losing their own nature as a result of abandonment. It was recorded that there were 911 springs in Jeju Island with most of them being distributed along the coast, which consequently increases their susceptibility to seawater intrus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analyze Eco-cultural and Engineering characteristics about springs in the island, highlighting its past utilization and reestablishing its potential as a source of spring.

  • PDF

도서지역의 생태문화적 재생 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 (The Importance Analysis of Experts on Eco-Cultural Regeneration Index in Island Regions)

  • 변병설;신선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87-696
    • /
    • 2011
  • 본 연구는 도서지역에 도입 가능한 생태 문화적 재생 요소를 도출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중요도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도서지역의 현황과 개발 동향, 농어촌 마을 및 생태 해양도시를 기초로 하여 도서지역에 적합한 생태문화적 재생 요소를 도출하였다. 생태적 재생 요소에는 토지이용, 교통체계, 건축물, 자원순환으로 분류하고, 문화적 재생 요소에는 보존 및 보전, 관광자원화, 기반시설로 분류하였다. 직업분야(학계, 공공기관, 민간회사), 전공분야(도서 해양, 문화 관광, 생태 환경, 도시계획)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차이분석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도서지역의 생태문화적 재생 요소에 대한 전문가 집단간 중요도 인식을 비교하였다. 토지이용부문은 학계와 공공기관 간 충분한 협의가 있어야 하고, 전문가들은 생태문화자원의 보존을 통해 도서지역이 활성화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삼백 농업·농촌 테마공원 기본계획 (A Study on the Landscape Plan for the Sambaek Agricultural Theme Park)

  • 권진욱;박찬용
    • 농촌계획
    • /
    • 제20권1호
    • /
    • pp.147-159
    • /
    • 2014
  • This study aims to draw up a basic plan to construct an agricultural theme park in a farming city as a way of establishing its regional identity represented by "Three Whites". Sangju, Kyongsangbuk-do which is the subject area of the study has been well-known for "Three Whites (rice, silkworm cocoon and dried persimm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folk life and culture of Sangju and develop tourism resources to promote regional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of the cit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several phas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lan and design,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review of agricultural tourism. In the first phase, planning conditions were analyzed as per development objectives. In the second phase, strategies and concepts were established for the theme park, based on which development methods were decided by phase and facility. Then, a preliminary review was conducted on functions and facilities to introduce to the theme park. In the third phase, a comprehensive plan was drawn up, which includes basic plans for respective part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construction was not looked at in detail. The total size of land subject to the study is approx. $97,960m^2$, which was divided into four separate zones--Sambaek Cultural Experience Zone, Natural Observation & Experience Zone, Agricultural Life Experience Zone and other facilities zone--in order to connect facilities, functions and experience wit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ity, and separate space planning was conducted for each zone. The outcome of the study carries significance as an example of alternative tourism which considers regional characteristics, develops local resources and makes use of obsolete rural facilities, in what is called the eco-friendly development where nature and eco-system, landscape and culture, and recreation and leisure come together as one.

생태 관광 정보 제공을 위한 플랫폼 설계 (The Design of Platform for Ecotourism Information Supply)

  • 권성현;김영근;손철수;김원중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19-426
    • /
    • 2018
  • 생태 관광이란 우수한 자연자원과 주변의 역사, 문화 자원 체험을 통해 느끼고 관찰하는 관광을 말하며, 현재 국민들의 여가생활 패턴이 변경됨에 따라 자연을 찾는 힐링(healing) 여행이 활성화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계절에 따라 변화하고 특정한 시기에만 관람이 가능한 생태 관광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생태 관광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관광 콘텐츠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관광 콘텐츠 시스템은 이미지 촬영 단말기에서 매일 촬영한 생태 관광 이미지 파일을 수거하여 동영상으로 변환 후 서버에 업로드 하면 관광객이 생태 관광 객체에 도착했을 때,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알려주고 식물의 성장 과정 등을 동영상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광역도보관광의 공정관광적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ong Distance Trail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Fair Tourism)

  • 이수창;정욱주
    • 농촌계획
    • /
    • 제19권2호
    • /
    • pp.93-105
    • /
    • 2013
  • In recent years, over 100 trails were created in Korea, and Jeju Olle and Jiri Mt. Doolle trail are the most familiar and successful trails in Korea. The research aimed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fair tourism and long distance trails. In the first step, we investigated the concept of fair tourism, and deducted 8 key-words; 1)local participation 2)resource sharing 3)provision of unique social, cultural resources 4)sovereignty of local culture 5)small_scale, low impact, eco-friendly 6)sustainable infrastructure 7)revitalize local community 8)comprehensive accommodation of a diverse tourists. Through the analysis of 3 representative sites of long distance trails, we tried to find out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fair tourism of the selected sites with evaluating criteria that was provided by UNEP and related organizations. The finding of the study could contribute to defining concept of fair tourism, and by doing so, attribute in setting up a framework of designing and planning of long distance trail under the concept of fair tourism that diverse parties could co-benefit, including local community, local government and tourists.

오세아니아지역 생태관광자원의 글로벌 교육자료 활용방안 (The Global Educational Applications of the Ecotour Resources in Oceania)

  • 최재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55-375
    • /
    • 2007
  • 본 연구는 생태관광, 글로벌 교육의 개념을 토대로 다소 연구 성과가 미흡한 오세아니아지역에 대하여 생태관광자원의 지리적 특징을 파악하고 호주 Cairns 지역을 사례로 현지답사를 한 후, 생태자원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답사지역은 Great Barrier Reef의 Green 섬, Queensland주 열대우림의 Barron Gorge 국립공원 삼림탐방프로그램, Eairns 근교 호주나비보호구역, Tjabutkai 원주민 문화공원을 선정하여 현지답사를 수행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의미있는 글로벌 교육적 활용방안을 살펴보면 Green섬에서는 특수 제작된 수중관측소와 바닥이 유리로 된 배 등을 도입하여 해양생태를 효과적으로 보존하면서 탐사하도록 했고, 잘 디자인된 탐방로와 탐방시간 안내판 그리고 친절하게 생태교육을 담당하는 공원관리원이 주재하는 삼림탐방프로그램이 마련되었으며, 옛 산업열차를 보완하여 관광용열차로 재활용한 것은 환경보호를 위한 좋은 본보기였다. 나비보호구역에서는 여러 언어를 지원하는 안내체계를 갖추고 전문가와 함께하는 해설프로그램을 마련하였으며, 전 세계의 방문객들에게 원주민의 생활을 체험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자신의 문화를 널리 알리고, 방문객에게도 교육적인 효과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제주 올레길 생태문화자원 경관생태학적 해석기법 연구 (Interpretation Method of Eco-Cultural Resources from the Perspective of Landscape Ecology in Jeju Olle Trail)

  • 허명진;한봉호;박석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8-140
    • /
    • 2021
  • 본 연구는 도보관광의 대표적 대상인 제주 올레길의 유형별 대표자원을 대상으로 Landscape Ecology 이론을 적용하여 생태문화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올레길 자원의 경관생태학적 해석 기법을 정립하였다. 제주 올레길 유형분류는 올레길 주변 대표경관, 주요 토지이용, 식생현황을 중심으로 비오톱유형을 조사하여 12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제주 올레길 도보 관광자원 유형분류는 생태관광 자원분류 유형을 토대로 자연자원 7개 중분류 유형, 인문자원 7개 중분류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각 자원을 경관생태학 구성 체계와 동일하게 Geotope, Biotope, Anthropotope으로 특성화하여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Geotope 자원은 해안 및 해변, 바위, 암반, 폭포, 지질 및 주상절리, 오름 및 분화구, 수자원, 지형경관 조망점 등이 해당되어 시각적 경관특성, Biotope 자원은 대경목 및 보호수, 곶자왈, 숲길 및 식생군락지, 생물서식지, 식생경관 조망점 등이 해당되어 생태특성, Anthropotope 자원은 해녀 및 전통문화, 포구 및 등대, 체험시설, 사찰 및 교회, 군사 및 봉수시설, 기타 역사·문화시설, 문화경관 조망점이 해당되어 지역문화 특성이 강하였다. 제주 올레길 유형별 대표자원은 제주에서만 볼 수 있는 해안, 오름, 곶자왈, 밭과 밭담, 제주가옥과 돌담이고, 제주 올레길의 생태문화를 알아보기 위해 올레길 유형을 대표하는 자원들의 구성요소와 다양한 기능들을 경관생태학적으로 해석하였다. 제주 해안의 생태문화적 특성을 살펴보면 해안은 검은 현무암 암반, 해안가 식생, 해안초지, 해안암반 식생, 겨울철새, 제주해녀 등이 있다. 오름은 독특한 화산지형으로 원형과 타원형의 산체, 오름 식생, 분화구 습지, 오름 지명 유래 및 전설, 설문대할망 설화, 말 방목 문화, 군사 목적의 사용, 민간신앙의 대상, 정상에서 조망경관 등이 있다. 곶자왈은 바위 요철 지형, 독특한 미기후 형성, 곶자왈 식생, 지명 유래, 과거 숯을 구웠던 문화, 기이한 형상의 나무와 덩굴식생이 특징이다. 밭담은 밭담구조 및 형태, 밭 재배 농작물, 밭담 서식생물, 제주 농업문화, 밭담경관 등이 있다. 마을은 현무암으로 쌓은 돌담과 지붕구조, 마을 어귀 정자목, 가옥내부 마당과 텃밭, 지역민들의 삶의 모습, 골목길 경관 등이 있다. 이런 자원들은 인간의 오랜 삶과 함께 서서히 변해왔고, 지금은 제주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독특한 경관이 되었다. 자원을 통합적으로 해석하여 특화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올레를 걷는 도보 관광객들은 자원들의 스토리를 알아가면서 깊이 있게 체험할 수 있고, 올레길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이용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