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ivation temperatures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2초

배양온도와 시간에 따른 Serratia marcescens 표면의 소수성 성질변화 (Changes of Cell Surface Hydrophobicity of a Serratia marcescens with Cultivation Time and Temperatures)

  • 이상열;신용철;권헌영;조무제;강은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7-232
    • /
    • 1990
  • Serratia marcescens를 $30^{\circ}C$에서 진탕배양했더니, 적색색소인 prodigiosin이 초로기(senescent phase of growth)에서 생성되었다. 그리고 이조건에서 배양한 세포를 polystyrene dish를 사용하여 세포의 hydrophobicity를 측정한 결과 상당한 소수성 성질이 발현되어 대부분의 세포가 비극성 성질의 polystyrene dish에 흡착되었다. 그러나 이 박테리아를 $37^{\circ}C$에서 배양했더니, 적색 색소인 prodigiosin도 생성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소수성 성질도 발현되지 않음으로서 세포가 polysyrene dish에 흡착되지 않고 pre-washing 단계에서 모두 씻겨져 났다. 또한 $30^{\circ}C$$37^{\circ}C$에서 배양한 serratia marecescens의 지질성분을 분석한 결과, $30^{\circ}C$에서 배양한 세포의 지질은 phospholipid, glycolipid 및 확인되지 않은 지질 등이 생성되었으나 $37^{\circ}C$에서 배양한 세포의 경우는 주로 양쪽성 성질의 aminolipid인 serratamolide가 생성되어, 배양한 온도조건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 PDF

벼 등숙기 기온 및 수발아가 종실 품질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vestigation of Changes in Grain Qua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uring the Ripening Stage and Preharvest Sprouting)

  • 이현석;이윤호;황운하;정재혁;양서영;이충근;최명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294-302
    • /
    • 2020
  • 등숙기간 동안의 온도에 따라서 동일한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더라도 출수 후 적산온도가 달라져 종실의 등숙단계가 달라지기 때문에 수발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종실의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수발아 검정을 위한 처리 시점은 출수 후 일수가 아닌 출수 후 특정 적산온도에 조건을 맞춰 시험을 진행해야 한다. 한편 수발아 발생은 등숙기간 동안의 온도에 따라서 크게 달라진다. 이에 따라서 발생하는 전분립의 구조, 전분함량 및 ABA함량의 변이 등은 수발아 발생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고온등숙 시 수발아 발생율의 증가와 종실 전분립의 구조, 유리당 함량 등 종실 이화학적 특성 변이와의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고온등숙시 수발아 발생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등숙기 고온에 노출되지 않도록 이앙시기를 조절하여 수발아 발생위험을 감소시켜야 한다.

계면활성제 처리 농도가 무가온 플라스틱온실의 방적성, 환경 및 상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tant Concentrations on Anti-waterdrop, Environment and Lettuce(Lactuca sativa L.) Growth in Polyethylene Film Greenhouse)

  • 전희;이혜은;염성현;김학주;이시영;남윤일;김경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95-199
    • /
    • 2003
  • 계면활성제(SF316+FB0800)가 처리된 폴리에틸렌 필름 시설에서 직경 9cm 원안의 필름 표면에 부착된 수적량은 무처리구에서 1.21 mL, 1% 처리구에서 0.15mL, 2% 처리구에서 0.07 mL가 측정되었다. 그러나 육안으로는 1%와 2% 처리구 사이에 차이를 관찰하기가 어려웠다. 수적량은 하루 중 오전 10시에 가장 많았고, 기온의 상승된 오후 2시에 적었다. 무처리구에 비하여 계면활성제 1%와 2% 처리구 사이에 차이를 관찰하기가 어려웠다. 수적량은 하루 중 오전 10시에 가장 많았고, 기온이 상승된 오후 2시에 적었다. 무처리구에 비하여 계면활성제 1%와 2% 처리구에서 투광율은 각각 9.3%, 12.9% 높았다. 기온과 습도는 계면활성제가 처리된 비닐하우스와 머처리 비닐하우스 사이에 뚜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오전의 기온은 계면활성제 처리 비닐하우스에서 1~2$^{\circ}C$ 정도 높았으며, 지온의 경우는 계면활성제 처리시설에서 3~4$^{\circ}C$ 정도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겨울철 상추의 생육은 계면활성제가 처리된 필름으로 피복된 비닐하우스에서 빨랐다. 그러나 계면활성제농도 1%와 2% 처리구 사이에는 뚜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구형 큰느타리버섯 재배사의 환경요인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 Factors in Pleurotus eryngii Cultivation House of Permanent Frame Type Structure)

  • 윤용철;서원명;이인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5-13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큰느타리버섯 재배사의 환경조절을 최적화하고 시스템 설계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진주인근에 위치한 샌드위치패널을 이용한 영구형 재배사 2동을 대상으로 2003년 11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재배사 내부에서 측정한 환경인자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실험지역의 외기온은 평년의 것과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시스템 변경전의 경우, 동절기에는 전체적으로 설정온도보다 낮게 유지되었고, 또 최상부와 최하부의 최대온도 편차도 $5.1^{\circ}C$ 정도로 상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시스템의 변경 후의 경우, 난방시 대체로 설정온도 범위에서 조절되는 경향을 보였고, 공기정체나 온도층의 역전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상대습도는 시스템 변경 후, $80{\sim}100%$ 정도의 범위로서 권장상대습도 범위에 있었다. 전체 재배기간동안 탄산가스 농도는 $400{\sim}3,300mg{\cdot}L^{-1}$ 정도의 범위에 있었다. 조도는 권장조도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산도는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수확량은 전체적으로 일정하지 않았고, 포기재배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등외품이 적었으며, 증수 효과도 있었다. 전력소비량은 계절별로 일정한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하절기보다 동절기에 전력소비량이 현저히 많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재배지역 차이에 따른 쌀귀리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 비교 (Comparison of the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mpounds in Naked Oats (Avena sativa L.) Cultivated in Different Regions)

  • 송지혜;김대욱;오학영;윤종탁;국용인;양광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4호
    • /
    • pp.402-412
    • /
    • 2023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재배지역 차이에 따른 쌀귀리(Avena sativa L.)의 품질을 비교하고자 재배지역이 다른 G1과 G2 그룹의 국내 농가에서 쌀귀리 조양 품종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 동안 수집하여 외관 품질, 영양성분, 기능성 성분 등을 분석하였다. 외관 품질의 경우는 2020년에 G2지역에서 명도와 황색도에서 G1지역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차이가 있었지만 다른 연도에서는 재배지역간에 차이가 없었다. 쌀귀리 종자의 활력을 검정한 결과는 2022년에서만 G1지역에서 G2지역보다 전기전도도 값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영양성분 중에서 수분 함량은 3개년 모두에서 G1지역보다 G2지역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조단백질 함량 역시 모든 연도에서 G1지역보다 G2지역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탄수화물 함량은 조단백질 함량과 반비례하게 3년간 모든 연도에서 G2지역보다 G1지역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조지방 함량은 2022년을 제외하고 G2지역보다 G1지역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쌀귀리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성분인 베타글루칸을 분석한 결과 3.4-4.2% 범위로 나타났으며 2020년을 제외하고 재배지역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귀리에만 존재하는 대표적인 기능성 성분인 아베난쓰라마이드는 2021년과 2022년 2년에 걸쳐 함량을 분석한 결과,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은 2.4-20.7 ㎍/g 범위로 나타났으며 2년 모두 G2지역에서 G1지역보다 유의적으로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가 진행되는 재배지역간의 기온을 파악하기 위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쌀귀리 생육기의 평균기온과 최저기온 평균값을 조사한 결과, 재배 한계지로 설정된 G2지역과 주산지로 설정된 G1지역 해남의 1월 평균기온과 1월 최저기온 평균값이 유사하였다. 결론적으로 재배지역 차이에 따라 재배되고 있는 쌀귀리 품질에서 일부 영양성분과 기능성 성분에 차이를 확인하였기에 기후변화로 인해 쌀귀리의 재배면적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들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Yield Response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to High Temperature Condition in a Temperature Gradient Chamber

  • Baek, Jae-Kyeong;Sang, Wan-Gyu;Kim, Jun-Hwan;Shin, Pyong;Cho, Jung-Il;Seo, Myung-Chu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339-345
    • /
    • 2020
  • Recently, abnormal weather conditions, such as extreme high temperatures and droughts, have increased in frequency due to climate change, there has accordingly been growing concern regarding the detrimental effects on field crop, including soybea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creased temperatures on soybean growth and yield using a temperature gradient chamber (TGC). Two major types of soybean cultivar, a medium- seed cultivar such as Daepung-2 and a large-seed cultivar such as Daechan, were used and four temperature treatments, aT+1℃ (ambient temperature+1℃), aT+2℃ (ambient temperature+2℃), aT+3℃ (ambient temperature+3℃) and aT+4℃ (ambient temperature+4℃) were established to examine the growth response and seed yield of each cultivar. Seed yield showed a higher correlation with seed weight (r=0.713***) and an increase in temperature affected seed yield by reducing the single seed weight. In particular, the seed growth rate of the large-seed cultivar (Daechan) increased at high temperature, resulting in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days for full maturity. Our results accordingly indicate that large-seed cultivar, such as Daechan, is potentially vulnerable to high temperatur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development of cultivation technology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elevated temperatures. Also,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evaluate the response of each process contributing to seed yield production under high temperatures.

Mineral Uptake and Soluble Carbohydrates of Tomato Plants as Affected by Air Temperatures and Mineral Treatment Levels

  • Sung, Jwakyung;Yun, Hejin;Cho, Minji;Lee, Yejin;Chun, Hyenchung;Ha, Sangkeun;Sonn, Yeonkyu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05-311
    • /
    • 2015
  • Both low and high temperatures affect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at whole plant level, tissue and even cell level through a variety of metabolic changes. Temperature stress is one of frequently occurring problems in greenhouse crops in summer and winter seasons due to the wide-spread year-round cultiv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xtent of the inhibition of growth, macro-element uptake and soluble carbohydrate production, and the effect of extra-supply of minerals as a means of the recovery from temperature damage. Tomato plants were grown five different growth temperatures (15/8, 20/13, 28/21, 33/23 and $36/26^{\circ}C$), and extra-supply of minerals was composed of 1.5- and 2.0-fold stronger than the standard nutrition (1/2 strength of Hoagland's solution). Temperature stress significantly adversely affected tomato growth and mineral uptake, whereas soluble carbohydrate accumulation represented temperature-dependent response, more accumulation at low temperature and more consumption at high temperature. The soluble sugars in leaves and stems were mostly declined with the supply of extra-minerals at low and optimal temperatures, whereas remained unchanged at high temperature. The starch levels also remained unchanged or slightly decreased.

다층 재배선반을 갖는 하이브리드 식물공장의 열유동 특성 (Thermal Flow Characteristics of a Hybrid Plant Factory with Multi-layer Cultivation Shelves)

  • 윤지환;유봉조;김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990-8000
    • /
    • 2015
  • 식물공장은 환경적 조건을 조절하여 계절이나 장소에 관계없이 농산물을 일정하게 생산하는 식물재배 시스템이다. 식물공장에 있어서 내부의 열 유동은 식물공장의 중요한 변수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층 재배선반을 갖는 하이브리드 식물공장 내의 열유동 특성을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구하였다. 열 유동 특성의 수치해를 얻기 위해 유한체적법(Finite Volume Method)을 이용하였다. 수치해석 모델에 있어서는 저 레이놀드수(low Reynolds number) ${\kappa}-{\epsilon}$ 난류모델을 이용하였으며, 해석방법으로는 비압축성 점성유동 영역과 압력경계 조건을 사용하였다. 수치해석에 있어, 3종류의 유입 공기속도와 재배선반의 위치변화에 따른 식물공장 내의 열유동 특성을 상용 프로그램인 Solid Works Flow simulation을 사용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송풍기를 통한 식물공장 내의 유입 공기속도를 1.6 m/s로 하였을 때, Case 3의 재배선반 배치가 비교적 균일한 온도 분포를 나타내었고, LED광만을 사용한 Case 1의 배치는 시험베드(test bed) TB2와 TB3 영역의 낮은 온도분포로 인하여 서큘레이터 등을 통한 추가적인 온도 제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식물재배 LED 인공광(DYLED47)의 청색광과 적색광의 비율을 1:1로 100% 구동 시, 재배선반의 평균 온도가 약 $3^{\circ}C$ 증가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심사용 투고요령입니다.

Escherichia coli O157:H7의 제어를 위한 Benzoate, Sorbate 및 pH의 병용처리 효과 (Combination Effects of Benzoate, Sorbate and pH for Control of Escherichia coli O157:H7)

  • 권오진;김덕진;변명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0-204
    • /
    • 1997
  • Effects of benzoate (0~0.6 g/$\ell$ ) and sorbate (0~2.0 g/$\ell$) on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 tryptic soy broth at various pH levels (4~8) and temperatures (4$^{\circ}C$, 37$^{\circ}C$) were investigated. Benzoate and sorbate were inhibited the growth of E. coli O157:H7 up to 12 hours cultivation at 4$^{\circ}C$, and 2.0 g/$\ell$ sorbate was only inhibited during 48 hours cultivation at 37$^{\circ}C$. Among the pH levels tested, pH 4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against the E. coli O157:H7 on 4$^{\circ}C$ and at 37$^{\circ}C$, respectively. When used in combination 0.2 g/$\ell$ benzoate and sorbate were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E. coli O157:H7 on pH 4 and at 37$^{\circ}C$. While on pH 5 at 4$^{\circ}C$, all of the concentration tested did not exert any inhibitory effect. The combined effects were retarded more than single treatment of E. coli O157:H7.

  • PDF

표고 톱밥 재배에서 저온 및 변온 처리가 표고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 and Alternated Temperature Treatments on Quality of Oak Mushroom in Sawdust Culture)

  • Park, Kyoung-Sub;Son, Jung-Eek;Yoon, Gap-Hee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 /
    • pp.43-44
    • /
    • 2001
  • Recently the sawdust culture of Lentinus edodes(Berk.) has been gradually extended replacing the log cultivation in Korea. It is indeed able to reduce the use of log and cultivation period in controlled facilities, but is not yet able to produce the high-quality mushroom.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low and alternated temperature treatments during the fruiting period on the quality of oak mushroom. At low temperature treatments of 1$^{\circ}C$ and 10$^{\circ}C$, the crack, lightness, hardness, and other characteristics for the high-quality oak mushroom were not improved. However, the crack, brightness, and hardness of cap were increased at alternated temperatures of 5-10$^{\circ}C$ than the other temperature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alternated temperature treatment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low temperature treatment for improving the indices of high-quality oak mushroom such as the crack, brightness and hardness of ca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