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ff tear arthropathy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7초

Effect of Preoperative Fatty Degeneration of the Deltoid and the Teres Minor Muscles on the Clinical Outcome after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 Moon, Sung-Hoon;Nam, Woo-Dong;Rheu, Chang-Hyun;Lee, Jae-Wo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8권3호
    • /
    • pp.138-143
    • /
    • 2015
  • Background: To evaluate the effect of preoperative fatty degeneration of deltoid and teres minor muscles on the clinical outcome in patient with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RTSA). Methods: Nineteen patients with RTSA were enrolle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6.1 months. The fatty degeneration of three distinct parts in each deltoid and the teres minor muscle was measured using a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Postoperatively, the muscle strengths for forward elevation (FE), abduction (Abd), and external rotation (ER) were measured using a myometer at the last follow-up. The parameters for clinical outcome were Constant Score (CS) and Korean Shoulder Score (KSS). Results: The number of cases was 10 in group 1 and 9 in group 2. The strength of FE and Ab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1 (p<0.001 and p<0.001, respectively), and the strength of ER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two groups (p=0.065). For the clinical outcome, both CS and KSS were higher in group 1 (p=0.002 and p=0.002, respectively). The number of patients in group A was 11, and group B was 8. Although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FE and Abd between group A and B (p=0.091, p=0.238), 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A (p=0.012). We did not fi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inical scores (CS, p=0.177 and KSS, p=0.238).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a preoperative evaluation of the fatty degeneration of deltoid and teres minor muscles for predicting postoperative strength and clinical outcome.

65세 이상 고령의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 동반된 견관절 탈구의 치료 및 술 전 자기공명영상의 상완골두 탈중심화 (Humeral Head Decentralization of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es and the Treatment of Shoulder Dislocations in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s in Elderly over 65 Years Old)

  • 이봉주;송인수;차기훈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418-426
    • /
    • 2019
  • 목적: 고령의 탈구가 동반된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서 상완골두 탈중심화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견관절 불안 정성 및 치료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17년 2월까지 65세 이상의 견관절 탈구가 동반된 회전근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의 45명, 45견 관절 A군과 탈구를 동반하지 않은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의 45명, 45견관절 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각각 73.2세, 72.1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각각 30.7개월, 31.3개월이었다. A군의 21예(46.7%)에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만을 시행 받았고 8예(17.8%)에서 회전근 개 봉합술과 함께 전방 관절와순 복원술을 시행 받았다. 16예(35.6%)에서 회전근 개 파열 관절병증으로 역행성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았다. B군의 45예(100%)에서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 받았다. 저자들은 두 군의 술 전 자기공명영상에서 상완골두 중심부이탈과 상완골두 상승을 측정하였다. 두 군의 시각통증등급 점수,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점수 및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 점수가 각각 분석되었다. 결과: A군과 B군의 상완골두 중심부이탈은 평균 후방 7.41 mm와 평균 후방 2.02 mm (p=0.03)였고, 상완골두 상승은 평균 상방 6.66 mm와 평균 상방 2.44 mm (p=0.02)였다. A군과 B군의 ASES 점수는 술 전 평균 32.8점과 평균 33.4점에서 술 후 평균 77.1점(p=0.02)과 78.1점(p=0.02)이었고,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8). UCLA 점수는 술 전 평균 13.1점과 12.8점에서 술 후 평균 28.9점(p=0.02)과 29.5점(p=0.01)으로 향상되었으며.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5). 결론: 65세 이상 고령의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서 견관절 탈구가 있는 환자들은 없는 환자들보다 술 전 자기공명영상에서 상완골두 중심부이탈과 상완골두 상승이 더 크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측정 방법은 견관절 불안정성을 예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되도록 조기에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하며, 전방 관절와순 복원술, 역행성 인공관절 전치환술 등의 다른 치료도 동시에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Implant selection for successful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 Joo Han Oh;Hyeon Jang Jeong;Yoo-Sun Wo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6권1호
    • /
    • pp.93-106
    • /
    • 2023
  •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RTSA) emerged as a new concept of arthroplasty that does not restore normal anatomy but does restore function. It enables the function of the torn rotator cuff to be performed by the deltoid and shows encouraging clinical outcomes. Since its introduction, various modifications have been designed to improve the outcome of the RTSA. From the original cemented baseplate with peg or keel, a cementless baseplate was designed that could be fixed with central and peripheral screws. In addition, a modular-type glenoid component enabled easier revision options. For the humeral component, the initial design was an inlay type of long stem with cemented fixation. However, loss of bone stock from the cemented stem hindered revision surgery. Therefore, a cementless design was introduced with a firm metaphyseal fixation. Furthermore, to prevent complications such as scapular notching, the concept of lateralization emerged. Lateralization helped to maintain normal shoulder contour and better rotator cuff function for improved external/internal rotation power, but excessive lateralization yielded problems such as subacromial notching. Therefore, for patients with pseudoparalysis or with risk of subacromial notching, a medial eccentric tray option can be used for distalization and reduced lateralization of the center of rotation. In summary, it is important that surgeons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mplant in the various options for RTSA. Furthermore, through preoperative evaluation of patients, surgeons can choose the implant option that will lead to the best outcomes after RTSA.

류마토이드 관절염에서 회전근 개 전층 파열과 동반되어 견관절과 견봉하 및 삼각근하 점액낭에 동시에 발생된 다발성 미립체: 관절경적 치료 및 자기 공명 영상 소견 -1례 보고- (Multiple Rice Body in both Glenohumeral Joint and Subacromial & Subdeltoid Bursa Simultaneously combined with Full Thickness Cuff Tear in Rheumatoid Arthritis: Arthroscopic Treatment & MR Appearance -A Case Report-)

  • 노규철;정영기;나경수;유정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5-69
    • /
    • 2005
  • 류마토이드 관절염이나 혈청학적 음성의 여러 관절병증에서 작은 크기의 섬유소성 미립체의 형성은 흔히 나타나는 소견이다. 그러나 류마토이드 관절염에서 견관절의 견봉하-삼각근하 점액낭염과 연관되어 생기는 다발성의 미립체는 굉장히 드물다. 지금까지, 문헌상 만성적인 류마토이드 관절염 환자에서 견관절의 회전근 개 전층 파열과 동반되어 견관절과 견봉하-삼각근하 점액낭에 동시에 발생된 다발성 미립체를 관혈적이 아닌 관절경적으로 치료한 예는 없는 것으로 사료되어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또한 견봉하-삼각근하 점액낭에 발생한 미립체에 대한 자기 공명 영상 소견도 최근까지 단지 몇몇 보고에만 언급 되어 왔다. 그래서 다발성 미립체와 연관된 여러 가지의 활액막 증식성 질환들의 감별 진단을 위해 견봉하-삼각근하 점액낭에 생긴 다발성 미립체의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을 기술하고자 한다.

  • PDF

Radiologic Comparison of Humeral Position according to the Implant Designs Following Reverse Shoulder Arthroplasty: Analysis between Medial Glenoid/Medial Humerus, Lateral Glenoid/Medial Humerus, and Medial Glenoid/Lateral Humerus Designs

  • Cho, Nam Su;Nam, Ju Hyun;Hong, Se Jung;Kim, Tae Wook;Lee, Myeong Gu;Ahn, Jung Tae;Rhee, Yong Girl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1권4호
    • /
    • pp.192-199
    • /
    • 2018
  • Background: The currently available reverse shoulder arthroplasty (RSA) designs can be classified into medial glenoid/medial humerus (MGMH), lateral glenoid/medial humerus (LGMH), and medial glenoid/lateral humerus (MGLH) prosthesis desig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adiologically analyze the effect of different RSA designs on humeral position following RSA. Methods: A total of 50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RSA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Among 50 patients, 33 patients (group A: MGMH) underwent RSA with Aequalis system (Wright, Inc, Bloomington, MN, USA), 6 (group B: LGMH) with Aequalis system using bony increased offset, and 11 (group C: MGLH) with Aequalis Ascend Flex system. The acromiohumeral distance, acromioepiphyseal distance (AED), lateral humeral offset (LHO), LHO from the center of rotation ($LHO^{COR}$), and deltoid length were radiologically measured to quantify the distalization and lateralization of the humerus. Results: The increment in postoperative AED was $19.92{\pm}3.93mm$ in group A, $24.52{\pm}5.25mm$ in group B, and $25.97{\pm}5.29mm$ in group C, respectively (p=0.001). The increment in postoperative LHO was $0.13{\pm}6.30mm$, $8.00{\pm}12.14mm$, and $7.42{\pm}6.88mm$, respectively (p=0.005). The increment in postoperative $LHO^{COR}$ was $20.76{\pm}6.06mm$, $22.04{\pm}5.15mm$, and $28.11{\pm}4.14mm$, respectively (p=0.002). Conclusions: The radiologic analysis of the effect of different RSA designs on humeral position following RS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crement in postoperative AED, LHO, and $LHO^{COR}$ between the 3 groups. Therefore, MGLH design seems to be more effective for humeral distalization and lateralization compared to original Grammont design.

Short-term of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for the Treatment of Irreparable Massive Rotator Cuff Tear

  • Park, Jong-Hyuk;Wang, Seong-Il;Lee, Byung-Chang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7권4호
    • /
    • pp.152-158
    • /
    • 2014
  •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RTSA) in treating irreparable massive rotator cuff tears (RCTs). Methods: Twenty-nine patients who underwent RTSA for the treatment of irreparable massive RCTs and completed follow-up for at least 1 year were selected. Their mean age was 69.7 years (range, 59-80 years). The mean follow-up was 17.7 months (range, 12-42 months). The shoulder range of motion was measured preoperatively and at final follow-up. The functional result was evaluated using visual analog scale (VAS) for pain,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 (ASES) score, and Korean Shoulder Society (KSS) score. Additionally, the shoulder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prior history of surgery and the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Mean pain VAS improved, from $6.6{\pm}1.2$ to $2.7{\pm}0.9$ (p=0.001), and the mean functional VAS from $35.7{\pm}4.2$ to $73.3{\pm}5.4$ (p=0.006). The mean ASES score improved from $37.2{\pm}2.8$ to $75.0{\pm}3.8$ (p=0.012). The mean KSS improved from $36.5{\pm}7.2$ to $75.6{\pm}5.4$ (p=0.009), the mean forward elevation from $66.3{\pm}4.7$ to $135.6{\pm}8.4$ (p=0.0001), and the mean abduction from $45.2{\pm}4.2$ to $119.0{\pm}6.5o$ (p=0.0001). Internal rotation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first sacral to the third lumbar vertebrae (p=0.036). External rotation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p=0.076). There was also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no previous operation versus none). Four complications occurred: one superficial infection, one with anterior dislocation, one acromial fracture, and one clavicle fracture. Conclusions: RTSA provides reliable pain relief and recovery of shoulder function in patients with massive irreparable RCTs in short-term follow-up.

견관절 역행성 인공관절 치환술의 원칙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Where we are? "Principles")

  • 노규철;서일우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105-110
    • /
    • 2011
  • 목적: 견관절 역행성 인공관절 치환술의 합병증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최신의 예방 및 치료 방법을 고찰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기존의 구속형 인공관절 기구 (구-소켓 관절 혹은 역행성 구형 관절 디자인)는 견갑골의 외측에 회전 중심이 유지되어 제한된 관절 운동과 관절와 기구에 발생한 과도한 회전력으로 인해 조기 해리를 유발하여 실패해왔다. Grammont 역행성 인공관절 기구는 삼각근이 작용하는 새로운 생역학적 환경을 도입하여 회전근개 결손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해준다. 결과: 임상적 경험이 생역학 개념에 부응하면 역행성 인공관절은 회전근 개 결손 견관절 환자에서 $90^{\circ}$이상의 능동적 거상을 회복하게 한다. 그러나 외회전은 특히 소원근 지방침윤 내지 결손이 있는 환자들에서는 종종 제한이 남는다. 내회전 역시 역행성 인공관절 후에는 거의 회복되지 않는다. 삼각근에 충분한 긴장을 회복하지 못하면 인공관절 불안성이 초래된다. 결론: 인공관절 치환술 후 재수술에서 그 결과는 예측가능성이 떨어지고, 합병증 및 재치환술 비율이 더 높음을 인지해야만 한다. 합병증을 인지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정의와 평가 지침을 포함한 표준화된 감시 장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Using a 25-mm Glenoid Baseplate

  • Lee, Ji Min;Kim, In Bo;Jung, Dong Wook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8권4호
    • /
    • pp.242-247
    • /
    • 2015
  • Background: The size of the baseplate used in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RTSA) tends to be larger than the average size of the glenoid in the Korean population. The mismatch between the sizes of the baseplate and the patient's glenoid may result in improper fixation of the glenoid baseplate. This in turn may lead to the premature loosening of the glenoid component. Thus, we evaluated the short-term results of using a 25-mm baseplate in RTSA. Methods: Seventeen patients with cuff tear arthropathy underwent RTSA with a 25-mm baseplate.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70.1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4.0 months. We evaluated clinical outcomes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the range of shoulder motion, th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and the Korean Shoulder Society (KSS) score. Results: We found that the mean ASES score and KSS improved from 35.0 to 74.4 (p<0.001) and from 46.9 to 71.8 (p<0.001) with RTSA. The mean forward elevation and abduction, external rotation also improved from $78.6^{\circ}$ to $134.3^{\circ}$ (p<0.05) and from $66.6^{\circ}$ to $125.0^{\circ}$ (p<0.05), from $20.2^{\circ}$ to $28.4^{\circ}$ (p=0.43).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seen in 12% of patients, but neither the loosening of the glenoid baseplate nor inferior scapular notching were observed. Conclusions: In sum, the results of using a 25-mm baseplate in RTSA were similar to those of previous reports. Even though the outcomes are those of a short-term follow-up, neither the loosening of the glenoid baseplate nor the scapular notching were observed.

견관절 역형 전 치환 성형술: 합병증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Complications)

  • 김영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111-116
    • /
    • 2011
  • 목적: 저자는 견관절 역형 전 치환술 후 중기 추시 결과와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역형 치환술 후 중기 추시를 보고한 문헌의 체계적인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수술후 문제점, 합병증, 재 수술, 재 치환술의 전반적인 발생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보고되고 있는 합병증율은 0~68%로 다양하다. 최소 2년 이상 추시된 역형 치환술의 초기 예비 보고들은 우수한 기능적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중기 추시된 문헌상 보고의 체계적인 분석 결과는 44%의 문제점, 24%의 합병증, 3.5%의 재 수술, 10%의 재 치환술을 나타냈다. 결론: 역형 전 치환술은 상대적으로 높은 합병증과 재 치환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역형 치환술은 회전근 개 광범위 파열을 가진 매우 심한 관절병증의 환자에서 주로 시행되어야 하며 70세 (최소한 65세) 이상에서 시행되어야 한다.

심한 회전근 개 부전을 동반한 환자에 대한 역형 견관절 전치환술 - 최소 3년 추시 결과 -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in Patients with Severe Rotator Cuff-Deficient Shoulder - A Minimum Three-Year Follow-up Study -)

  • 김명선;여제형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73-83
    • /
    • 2013
  • 목적: 심한 회전근 개 부전을 동반한 관절와 상완 관절염 환자나 가성 마비 환자들에 대한 치료로 역형 견관절 전치환술 시행한 후 최소 3년 추시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본원에서 역형 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13명(남자: 3명, 여자: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54.2개월(37~74개월)이었으며, 임상적 결과는 동통에 대한 VAS 점수, 능동적 관절 운동 범위, ASES 평가 방법, Korean 견관절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수술 중 및 수술 후 합병증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과: 총 13예 중 지연성 심부 감염을 제외한 11예의 동통에 대한 VAS 점수는 술 전 평균 7.5(6~10)점에서 술 후 1.5(0~4)점으로, 능동적 전방 거상은 $42.7(10{\sim}100)^{\circ}$ 에서 $129.1(110{\sim}180)^{\circ}$ 로, ASES 점수는 32.9(11.7~46.7)점에서 80.2(58.3~95.0)점으로, KSS 점수는 36.8(24~47)점에서 78.4(61~92)점으로 호전되었다. 합병증으로는 다양한 정도의 관절와 절흔이 총 13예 중 12예, 수술 중 관절와 골절 1예, 일시적인 신경 손상이 2예 발생하였고, 지연성 심부 감염이 2예 발생하여 재수술이 필요하였다. 결론: 역형 견관절 전치환술은 최소 3년의 추시 결과, 심한 회전근 개 부전을 동반한 관절와 상완 관절염 환자나 가성 마비 환자들에 대해 효과적인 치료 방법의 하나로 생각된다. 그러나, 술 후 재수술이 필요한 지연성 심부 감염 등의 심각한 합병증과 수술 술기와 관련한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을 고려해 볼 때 숙련된 의사에 의해 매우 신중하게 시행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