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es

검색결과 735건 처리시간 0.023초

다중 단계 신호의 적응적 전파를 통한 동일 장면 영상의 이원 영역화 (Bilayer Segmentation of Consistent Scene Images by Propagation of Multi-level Cues with Adaptive Confidence)

  • 이수찬;윤일동;이상욱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50-462
    • /
    • 2009
  • 최근까지 단일 영상이나 동영상을 영역화하는 기법들은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으나, 유사한 장면에 대한 여러 장의 영상을 동시에 영역화하는 기법은 많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한 장소에서 연속적으로 촬영하였거나 전경 물체가 유사한 여러 영상들을 동일 장면 영상으로 정의하고, 이런 동일 장면 영상들을 적은 양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효과적으로 영역화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최초의 영상 한 장을 직접 영역화한 후, 그 영상의 영역화 결과와 영상의 특성을 토대로 다중 단계 신호를 적응적 가중치를 주어서 인접 영상으로 전파하고, 이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은 인접 영상을 반복적으로 영역화한다. 영역화는 마르코프 랜덤 장에서의 에너지 최소화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전파되는 신호는 각 픽셀에 대한 에너지를 정의하는 바탕이 되며, 픽셀, 픽셀 패치, 그리고 영상 전체로부터 비롯되었는가에 따라 낮은 단계, 중간 단계, 그리고 높은 단계의 신호로 지칭된다. 또한 에너지 최소화 틀 안에서 전파된 신호를 통해 정의되는 에너지 역시 낮은 단계, 중간 단계, 그리고 높은 단계의 세 단계로 정의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전파된 신호를 최대한 다양하게 활용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영상에 영역화 결과가 일관되게 유지된다. 다양한 동일 장면 영상들에 제안하는 기법을 적용하여 성능을 평가하고, 픽셀 패치를 바탕으로 하는 중간 단계 신호만을 이용한 결과와 제안하는 다중 신호를 적용하는 기법의 결과를 비교한다.

부정자극 지각에 관련된 불안인과 정상인의 공간주의 비교연구 (Different mechanism of visual attention in anxious and non-anxious population)

  • 최문기;구민모;박건우;남기춘
    • 인지과학
    • /
    • 제20권1호
    • /
    • pp.51-77
    • /
    • 2009
  • 많은 연구들은 부정과년 자극의 처리가 그 처리자의 정서 상태에 따라 다른 처리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정서 정보 지각의 특성은 크게 두 가지 가정에 의해 논의되었다: 주의 결속(attentional engagement)에서의 차이와 주의해제(attentional disengagement)에서의 차이. 본 연구는 Posner의 cue-target 실험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정서 정보 지각이 일반 자극의 지각과 어떠한 위치에서 차이가 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단어 자극을 사용한 실험1과 얼굴 자극을 사용한 실험 2 모두에서 기존의 Fox(2001)에서 나온 결과와는 다르게 정서 자극의 지각이 일반자극의 지각에 비해 주의 결속에서 빠른 반응을 나타냈으며, 이런 경향성은 불안 수준이 높은 피험자에게서만 관찰되었다. 또한, 불안 수준이 높은 피험자들은 일반 피험자들 보다 단서와 목표자극이 일치되는 조건에서 느린 반응을 보였다. 실험 1과 2의 결과가 이 효과와 정서의 혼입되어 나온 결과인가에 대한 통제 실험을 시행한 실험 3에서는 정서 자극 제시 없이 일치 불일치에 대한 결과만을 보았다. 실험 3의 결과는 실험 1과 2가 정서와 피험자의 정서 상태에 의한 결과임을 지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불안이라는 정서 상태가 부정적인 자극에 대한 지각을 빠르게 하는 이유가 정서 자극에 대한 빠른 주의결속이 있기 때문임을 지지하고 있다.

  • PDF

이미지 감정색인을 위한 시각적 요인 분석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n Visual Cues for Emotional Indexing of Image)

  • 정선영;정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3-73
    • /
    • 2014
  • 감정기반 컴퓨팅 환경의 발전에 따라서 이미지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정보 자원의 감정 접근과 이용은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본 연구는 이미지의 감정색인을 위한 시각적인 요인의 탐색적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사랑, 행복, 슬픔, 공포, 분노의 5가지 기본감정으로 색인된 15건의 이미지를 대상으로 20명의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총 620건의 감정 시각적 요인을 추출하였다. 감정을 촉발하는 시각적 요인(5가지)과 하위 요인(18가지)의 분포와 5가지 감정별 시각적 요인 분포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미지의 감정을 인지하는 주요한 시각적 요인으로는 얼굴표정, 인물의 동작이나 행위, 선, 형태, 크기 등의 조형적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감정과 시각적인 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사랑 감정은 인물의 동작이나 행위와 밀접하게 나타났으며, 행복 감정은 인물의 얼굴표정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슬픔 감정 역시 인물의 동작이나 행위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공포 감정은 얼굴의 표정과 깊은 관계가 있다. 분노 감정은 조형적인 요소인 선, 형태, 크기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미지가 지니는 내용기반 요소와 개념기반 요소의 복합적인 접근이 효과적인 감정색인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주의 단서 수준에 따른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 반응 연구 (Differential Response to Joint Att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the Level of Attentional Cues)

  • 유가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1권1호
    • /
    • pp.21-37
    • /
    • 2014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은 초기 사회-의사소통 기술 중 하나인 공동주의집중에 있어 심각한 장애를 보인다. 이로 인해 언어 및 인지, 사회성 발달에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공동주의집중을 평가하거나 향상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적 단서를 포함해 주의를 유도하는 단서 수준에 따라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에 반응하기(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RJA) 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고자 하였다. 평균 연령이 65.3개월인 총 9명의 아동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1회로 진행된 평가 세션 동안에는 주의를 유도하는 총 8개의 단서가 사용되었다.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량에 따라 네 가지 수준의 단서가 구성되었고, 각각의 단서는 언어적 및 음악적으로 제시되었다. 자폐 아동들은 음악적 단서가 제시되었을 때, 언어적 단서가 제시된 시도에 비해 이전 표적 자극에서 주의를 철회해 새로운 자극으로 전환시키는 시도가 증가하고, 공동주의집중에 반응하기 행동의 정확도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서 유형에 따른 비교에 있어서는, 아동의 이름을 부른 후 주의를 유도하는 단서가 손가락으로 가리키기와 함께 음악적으로 제시되었을 때 주의 전환 시도 및 공동주의집중 행동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적 요소가 포함된 주의 단서가 주의 전환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전달되는 정보의 정확한 처리를 촉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는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공동주의집중을 목표로 하는 조기 중재 시 음악의 효과적인 사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어 화자의 영어 양순음 /b/와 순치음 /v/ 식별에서 시각 단서의 효과 (The Effect of Visual Cues in the Identification of the English Consonants /b/ and /v/ by Native Korean Speakers)

  • 김윤현;고성룡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4권3호
    • /
    • pp.25-30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native Korean listeners could use visual cues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English consonants /b/ and /v/. Both auditory and audiovisual tokens of word minimal pairs in which the target phonemes were located in word-initial or word-medial position were used.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decide which consonant they heard in $2{\times}2$ conditions: cue (audio-only, audiovisual) and location (word-initial, word-medial). Mean identificat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audiovisual than audio-only condition and for word-initial than word-medial condition. Also, according to signal detection theory, sensitivity, d', and response bias, c were calculated based on both hit rates and false alarm rates. The measures showed that the higher identification rate in the audiovisual condition was related with an increase in sensitiv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se bias measures across conditions. This result suggests that native Korean speakers can use visual cues while identifying confusing non-native phonemic contrasts. Visual cues can enhance non-native speech perception.

한국어 평마찰음과 경마찰음의 음향적 특성과 지각 단서 - 길이를 중심으로 -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Auditory Cues for Korean Lax vs. Tense Fricative Distinction)

  • 이경희;이봉원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5-100
    • /
    • 2000
  •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의 평마찰음(/ㅅ/)과 경마찰음(/ㅆ/)의 음향적 특성과, 경음과 평음의 구별에 기여하는 지각적 단서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마찰음에 대한 음향적 연구는 특정 환경에 국한된 단편적인 실험에 머물러 왔으며, 체계적인 분석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환경에서 측정된 평마찰음과 경마찰음의 음향적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그 지각적 단서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음향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평음과 경음의 구별지각에 중요하게 사용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평·경음 구별 지각에 사용되는 단서에는 위계가 있으며, CV환경과 VCV 환경에서 사용되는 지각 단서의 위계는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 PDF

멀티모달 가이던스가 독보 기능 습득에 미치는 영향: 드럼 타격 시퀀스에서의 사례 연구 (Effects of Multi-modal Guidance for the Acquisition of Sight Reading Skills: A Case Study with Simple Drum Sequences)

  • 이인;최승문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17-227
    • /
    • 2013
  • We introduce a learning system for the sight reading of simple drum sequences. Sight reading is a cognitive-motor skill that requires reading of music symbols and actions of multiple limbs for playing the music. The system provides knowledge of results (KR) pertaining to the learner's performance by color-coding music symbols, and guides the learner by indicating the corresponding action for a given music symbol using additional auditory or vibrotactile cues. To evaluate the effects of KR and guidance cues, three learning methods were experimentally compared: KR only, KR with auditory cues, and KR with vibrotactile cues. The task was to play a random 16-note-long drum sequence displayed on a screen. Thirty university students learned the task using one of the learning methods in a between-subjects design. The experimental result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thods in terms of task accuracy and completion time.

의류제품 가격할인 광고시 할인유형의 어의적 단서가 소비자의 지각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조절효과 (The Moderate Effects of Semantic Cues of discount types on Consumer's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in Prices Discount Advertising of Clothing Products)

  • 전영미;정명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342-135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o be helpful in establishing more rational prices discount strategy in prices discount advertising. The experiment design for study was a $3{\times}2{\times}3$ between subject factorial design in which the factors were discount presentation types(discount price presentation/discount rate presentation/discount price and discount rate presentation), existence of normal price presentation(presentation/ non-presentation) and semantic cues(regular sales/markdown on the previous season's product/storehouse opening sales). Thirty subjects were randomized in one of 18 experimental condi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40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wangju,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discount presentation types and the semantic cues were found in perceived transaction value(p<.01), perceived acquisition value(p<.05), and purchase intention(p<.05)- It means that discount presentation types in prices discount advertising need to present differently according to price discount types. 2.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existence of normal price and the semantic cues were not found. It means that normal price need to present in prices discount advertising regardless of price discount types.

의류제품의 품질평가에 있어서 가격단서의 영향 (The Effect of Price Information Cues on The Consumer's Apparel Quality Evaluations)

  • 최미영;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099-1110
    • /
    • 1998
  • The perceived quality is a concept considered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So it is differ from the objective determination of product quality. Thus the consumer perception of quality is a subjective judgement of an individual and an overall feeling on the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s the product's reliability, performance and so on. In terms of product perception, consumers utilize the product cues in evaluating the product's quality before the purchase and the cues reflecting the quality can be classifisied into intrinsic and extrinsic ones. When the quality perception is limited to the purchase situation, purchase decision dependent on surrogate indicators such as price, are inclined to increase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erceived quality of apparel is controled to the purchase situ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onsumer's reaction to the price cues and for the convenience of the exploratory investigation.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study, consumers show differences in quality and value perceptions to the product with the same price depending on the perception whether the price is high or low. The apparel quality evaluation process goes through the steps of "product attributes - perceived quality - perceived value - purchase intention".

  • PDF

Social Cues, E-Social Ambience, and Emotions in Web-Based Fashion Retailing: A Case of U.S. Shoppers

  • Lee, Eun-J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318-1329
    • /
    • 2012
  • In-store atmospherics involve quantified physical and social aspects; however, the social quality of a web-based retailing context has largely been under-examined. This study addressed som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ocial ambience in virtual shopping (or e-social ambience) within a web-based U.S. retailing fashion context. This study explored the role of social cues as a viable antecedent to e-social ambience and emotions as its consequence. A conceptual framework was built postulating the effect of social cue for web content, on e-social ambience, emotions, and e-shopping enjoy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n=488) on a fictitious retail T-shirt website confirmed the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in addition, the level of social cues included within the web cont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customer-perceived e-social ambience of the website and subsequent positive on-site emotions. On-site emotions positively influence purchase intentions. The results expand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e-store management by providing novel insight relevant to fashion companies that wish to provide customers with a quality website shopping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