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cumis melo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8초

Hypoglycemic Activity of the Hexane Extract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Seeds and Its Active Compounds

  • Chen, Lei;Kim, Hye Suk;Choi, Bo-Ram;Yang, Shaonan;Xu, Enning;Suh, Jun Kyu;Kang, Young-Hwa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22-628
    • /
    • 2014
  • The aim of this work i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seeds for the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by controlling glucose absorption. The ${\alpha}$-glucosidase and ${\alpha}$-amylase inhibitory effects of the hexane extracts from oriental melon seeds were investigated. A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technique was used to elucidate the principal active compon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hexane extract from oriental melon seeds exhibited high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alpha}$-glucosidase and ${\alpha}$-amylase. The hexane extract was further fractionated into four sub-fractions. Among them, the sub-fraction F-1 exhibited the most potent anti-diabetic effect. The active component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 (GC-MS). Free fatty acids showed significant hypoglycemic activity (p < 0.001)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fluenced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iental melon seeds could be used to prevent type 2 diabetes.

First Report of Melon Soft Rot Disease Caused by Pectobacterium brasiliense in Korea

  • Kyoung-Taek Park;Leonid N. Ten;Chang-Gi Back;Soo-Min Hong;Seung-Yeol Lee;Jeung-Sul Han;Hee-Young Jung
    • 식물병연구
    • /
    • 제29권3호
    • /
    • pp.310-315
    • /
    • 2023
  • In May 2021, characteristic soft rot symptoms, including soft, watery, slimy, black rot, wilting, and leaf collapse, were observed on melon plants (Cucumis melo) in Gokseong, Jeollanam-do, Korea. A bacterial strain, designated KNUB-06-21, was isolated from infected plant samples, taxonomically classified, and phylogenetically analyzed using 16S rRNA and housekeeping gene sequencing. Strain KNUB-06-21 was also examined for compound utilization using the API ID 32 GN system and strain KNUB-06-21 was identified as Pectobacterium brasiliense. Subsequent melon stem inoculation studies using strain KNUB-06-21 showed soft rot symptoms similar to field plants. Re-isolated strains shared phenotypic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with the original P. brasiliense KNUB-06-21 strain. To our knowledge, ours is the first report of P. brasiliense causing melon soft rot disease in Korea.

Draft Genome Sequence of Bacillus thuringiensis serovar aizawai AS23,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of Korean Melon (Cucumis melo L.)

  • Da-Ryung Jung;GyuDae Lee;Kyeongmo Lim;Yeonkyeong Lee;Ga-Yeon Nam;Do-Yeun Won;Na-Yun Park;Young-Jin Seo;Jae-Ho Shi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535-537
    • /
    • 2023
  • We report the draft genome sequence of Bacillus thuringiensis serovar aizawai AS23, an insecticidal strain targeting lepidopteran pests, which was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of Korean melon (Cucumis melo L.). The genome of strain AS23 comprising 6,846,584 bp with a G + C content of 34.83% was assembled to 11 contigs obtained using hybrid assembly. Additionally, we mined the genome for pesticidal genes, identifying several insecticidal genes, including Cry1Aa3, Cry1Ca9, Cry1Da2, Cry1Ia44, Cry2Ab41, Cry9Ea9, Spp1Aa1, and Vip3Aa86.

온실재배 박과 채소작물에서의 균핵병 발생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on Cucurbitaceous Vegetable Crops in Greenhouses)

  • 김완규;조원대;지형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3호통권90호
    • /
    • pp.198-205
    • /
    • 1999
  • 1995년부터 1997년까지 국내 온실에서 재배중인 6종의 박과 채소작물에서의 균핵병 발생을 조사한 결과, 메론, 오이, 동양호박 및 쥬키니호박에서 최고 $30{\sim}70%$로서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수박과 참의에서는 비교적 낮게 발생하였다. 균핵병의 병징은 전 박과 채소작물의 줄기에서 발생하였으며, 수박을 제의한 5종의 박과 채소작물의 과실, 동양호박과 쥬키니호박의 잎자루 및 동양호박의 잎에서도 발생하였다. 병반에서는 총 126균주가 분리되었으며, 분리균주들은 모두 그 형태적 및 배양적 특성에 따라 Sclerotinia sclerotiorum으로 동정되었다. 이 균은 박과 채소작물의 줄기와 과실에서 가장 빈번하게 분리되었으며, 잎자루와 잎에서는 드물게 분리되었다. 6균주를 공시하여 병원성검정을 실시한 결과, 공시균주들은 일부 기주에 대한 병원력에 있어서 균주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6종의 전 박과 채소작물에 대해 모두 병원성을 나타냈다. 수박은 공시균주 들에 대해 가장 감수성인 반면에 참의는 가장 저항성이었다. 또한 메론과 오이는 공시균주들에 대해 비교적 감수성이었으며, 동양호박과 쥬키니호박은 비교적 저항성이었다.

  • PDF

수박과 멜론의 부위별 유리당 함량 분포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Free Sugars in the Various Portions of Watermelon (Citrullus vuigaris L.) and Muskmelon (Cucumis meio var. reticulatus Naud.))

  • 손주용;반성철;홍성회;신정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3호
    • /
    • pp.200-205
    • /
    • 1996
  • 본 실험에서는 수박 (Citrullus vulgaris L.)과 멜론 (Cucumis melo val. reticulatus Naud.)에 있어서 서로 다른 부위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유리당 (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을 분리, 정량하기 위해서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였다. 수박과 멜론에 있어서 주로 존재하는 유리당들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등이며, 이 유리당들의 함량은 부위별로 다양한 변이를 보였다. 부위별 유리당의 총함량은 stem end 부위에서의 함량보다 stylar end와 side 부위에서의 함량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박과 멜론에서 같은 양상이었다. 수박의 경우 전체 유리당 함량은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갈수록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멜론의 경우 종자를 포함하는 중심 부위를 제외한 가식 부위에서는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진행될수록 증가하였다. 환원당과 비환원당의 비율[(fructose+glucose)/sucrose]은 수박의 경우 과피 부위에서 중간 부위로 갈수록 약간식 감소하였으나 중심 부위에서는 오히려 높았다. 멜론의 경우 가식 부위중 과피 부위에서 중간 부위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며 중심 부위와 중간 부위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수박에서는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갈수록 환원당과 비환원당 모두가 증가하였지만, 반면에 멜론에서는 환원당의 감소를 보였다.

  • PDF

발달단계가 다른 참외 태좌부의 알콜발효에 미치는 무산소처리효과 (Effect of Anoxia Treatment on the Placental Alcohol Fermentation of Oriental Melon (Cucumis meio)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

  • 서동환;최홍집;최성국;정진;황영수;김동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72-576
    • /
    • 1997
  • 발달단계가 다른 참외 태좌부의 알콜발효에 미치는 무산소처리효과를 검정하였다. 참외의 발달단계별 a-cetaldehyde 및 ethanol 수준을 검정한 결과, 비대 후기 (stage 3)의 과실에서 가장 낮았다. 무산소 처리기간동안 태좌부 중의 ethanol은 꾸준히 증가 하였으며, acetaldehyde 함량의 증가는 상대적으로 미미하였다. 그러나 alcohol dehydrogenase 활성은 무산소 처리 1일 까지 급격히 증가한 다음 서서히 감소하였고, pyruvate decarboxylase 활성은 저온 처리기간 중 증가하였다. 완숙기과실의 경우 두 효소의 활성은 증가하지 않았으나, 발효산물의 축적은 관찰되어, 완숙기 과실의 알콜발효는 효소활성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 PDF

박과작물의 유연관계 분석을 통한 수박 EST-SSR 마커의 종간 적용성 검정 (Interspecific Transferability of Watermelon EST-SSRs Assessed by Genetic Relationship Analysis of Cucurbitaceous Crops)

  • 김혁준;여상석;한동엽;박영훈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1호
    • /
    • pp.93-105
    • /
    • 2015
  • 본 연구는 수박의 EST-SSR 마커를 이용하여, 네 개의 주요 박과(Cucurbitaceae) 작물인 수박, 호박, 오이, 멜론의 유연 관계를 분석하고 마커의 타 박과 작물에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Cucurbit Genomics Initiative(ICuGI) database로부터 선발된 120 EST-SSR 프라이머 중 51(49.17%)가 PCR이 성공하였고, 49(40.8%)가 8개 박과 유전자원에서 다형성을 보였다. 총 24개 박과 유전자원을 24개 EST-SSR 프라이머로 분석한 결과 총 382개 대립유전자 특이적 PCR 밴드를 얻었으며, 이를 토대로 짝유사행렬과 계통도를 작성하였다. 짝유사행렬의 범위는 0.01-0.85였으며, 작성된 계통도에서 24개 유전자원이 두 개의 주요그룹(Clade I, II)으로 분류되었다. Clade I은 다시 수박으로 구성된 하위집단 I-1[I-1a, I-1b-2: 각 1개와 2수박 야생종(Citrullus lanatus var. citroides Mats. & Nakai)으로 구성, I-1b-1: 6개수박 재배종(Citrullus lanatus var. vulgaris Schrad.)로 구성]과 멜론과 오이로 구성된 하위집단I-2[I-2a-1: 4개 멜론 재배종(Cucumis melo var. cantalupensis Naudin.), I-2a-2: 2개 참외 재배종(Cucumis melo var. conomon Makino.), I-2b: 5개 오이 재배종(Cucumis sativus L.)]로 분류되었다. 호박으로 구성된 Clade II는 다시 Cucurbita moschata(Duch. ex Lam.) Duch. & Poir와 Cucurbita maxima Duch.로 구성된 하위집단 II-1과 Cucurbita pepo L.과 Cucurbita ficifolia Bouche로 구성된 하위집단 II-2로 나누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종명법에 따른 분류와 일치하며, 따라서 수박 EST-SSR 마커를 이용한 타 박과 작물의 비교 유전체 등 연구분야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멜론 흰가루병의 race 분화 및 저항성 계통 선발을 위한 분자마커 개발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 to select resistant lines and to differentiate the races related to powdery mildew in melon (Cucumis melo L.))

  • 김회택;박종인;토모코 이시카와;마키 쿠즈야;마나부 호리이;카즈토시 야시로;노일섭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284-289
    • /
    • 2015
  • Powdery mildew (Podosphaera xanthii) commonly occurs in cultivated fields of melon (Cucumis melo L.). It inflicts a lot of damages. Therefore, breeding resistant lines is essential. Development of a resistant line by integrating resistance gene takes a long time. In addition, break down of developed resistance by generating new virulent fungus strains increases disease susceptibility. This phenomenon was related to races of powdery mildew.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DNA marker to genetically analyze race-specific resistance genes of melon powdery mildew to breed resistant lines. To date, a total of 28 races of Podosphaera xanthii have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In Japan, 10 races have been reported in the Ibaraki region. We developed a system to characterize the races of Podosphaera xanthii and confirmed eight out of those 10 races in the Ibaraki region. In Korea, only one race has been characterized to date. However, some different races were detected. Through genetic analysis of resistant lines and susceptible lines of powdery mildew, resistance genes of race1 (Pm-X, PXB, and Pm-R 1), race N1 (PXA), race 2 (Pm-w and Pm-R 2), race 3 (Pm-X3), and race 5 (Pm-X5 and Pm-R5) were identified in melon. These related genes of race 1, 3, N1, 5, and race 1, 2, 5 were located at linkage group II and V, respectively. In race 1, resistance gene was located in the linkage group XII. In addition, each race-specific marker related to specific resistance gene was developed. Using race information and race selection system obtained in this study, resistant line can be bred to develop resistant cultivar for several areas. Furthermore, this will make it more easily and economically to breed resistant lines by using selected markers.

멜론 유전자원의 원예형질 특성 및 유연관계 분석 (Evaluation of horticultural traits and genetic relationship in melon germplasm)

  • 정재민;최성환;오주열;김나희;김다은;손병구;박영훈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01-408
    • /
    • 2015
  • 멜론(Cucumis melo L.) 유전자원 83 품종에 대한 형질특성 및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형질은 유묘, 잎, 줄기, 화기, 과실, 종자에 대해 총 35개 세부특성을 조사하고, 다변량(MANOVA) 분석을 하였다. 주성분 분석(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결과 과중, 과장, 과경, 자엽길이, 종자직경, 종자길이 등 8개의 주성분이 전체 변량의 76.3% 를 나타내었다. 평균연관법(Average linkage method)을 사용한 83개의 멜론의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결과 coefficient 0.7에서 5개의 cluster로 분류되었다. Cluster I은 과특성에 있어 가장 높은 측정치를, Cluster II는 당도, Cluster V는 과의 성숙기간이 긴 품종들로 주로 구성되었다. 유전자형 분석은 Cucurbit Genomics Initiative (ICuGI) database에 공시된 15개의 Expressed-sequence Tag-Simple Sequence Repeat (EST-SSR) 마커를 이용하였으며 비가중평균결합법(UPGMA)을 통해 품종간 유연관계를 분석하고 6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형태적 군집분석 결과와 유전적 군집분석 결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상관계수(r) 값이 -0.11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엽면 시비가 멜론 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Foliar Application of Amino Acid Mixture on the Growth of Melon Seedlings)

  • 김영식;김혜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4-80
    • /
    • 2002
  • 아미노산 엽면 시비가 멜론 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처리 시기는 본엽 1매 전개시(Ll)와 2매 전개시(L2)로 나누었고, 아미노산 농도는 무처리구, 10, 20, 30 mg . L$^{-1}$로 설정하였다. Ll에서 생체중과 건물중은 아미노산 처리구에서 높았다. 초장은 3차 조사시에 Ll-3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2에서 3차 조사시 생체중은 L2-30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초장은 2차와 3차 조사시 L2-30에서 높게 나타났다. 제1본엽의 염장과 엽폭의 경우, Ll의 3차 조사시 처리 효과가 나타났다. L2에서 염장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엽폭은 3차 조사시에 아미노산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제2본엽의 염장과 엽폭은 Ll의 2차와 3차 조사시에 아미노산 처리구들에서 높게 나타났다. L2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제7본엽의 염장과 엽폭은 시비 및 조사 시기에 관계없이 처리간에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 제1본엽이 전개된 후 아미노산의 농도를 20mg. L$^{-1}$ 이상, 회수를 3회 이상 엽면살포 하거나, 제2본엽이 전개된 후 아미노산을 시비할 경우에는 아미노산 농도를 30 mg . L$^{-1}$으로 설정하고 회수를 2회 이상 시비한다면 생육이 향상된 묘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