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cumber downy mildew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9초

유기농업자재와 순지르기를 이용한 오이 노균병 방제 (Effect of Organic Materials and the Removal of Apical Shoot on Controlling Cucumber Downy Mildew)

  • 박종원;김용기;박소향;홍성준;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소현규;김석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19-929
    • /
    • 2016
  • 본 연구는 비닐하우스에서 오이재배 시 유기농업자재(석회보르도액, 황토유황합제)와 순지르기가 노균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자재는 석회보르도액과 황토유황합제를 사용하였으며 석회보르도액은 최적농도를 규명하기 위해 석회와 황산구리의 배합비율을 조절하여 5가지를 만들어서 노균병 발생 후 치료위주로 처리하였다.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 자재 중에서는 4-6식 석회보르도액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황토유황합제는 석회보르도액보다 효과가 떨어졌으나 병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었다. 순지르기가 병 발생억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순지르기를 한 것이 제거하지 않은 것 보다 병 발생이 56.3% 억제되었다. 순지르기시기에 따른 오이 노균병 발생정도는 감수성 품종인 미소백다다기의 경우 순지르기를 할수록 병 발생이 감소되었고 저항성 품종인 흑룡삼척의 경우에는 병 발생이 적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유기농업자재와 순지르기를 병행처리 한 결과, 자재와 순지르기 처리를 병행 처리한 처리구가 모두 병반면적률이 낮았으며 그 중에서도 석회보르도액 4-6식이 가장 낮은 병반면적률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순지르기가 오이 노균병 억제에 효과가 있고 자재와 함께 병행하여 처리하였을 때 더 효과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오이 노균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CC110균주 선발 (Selectio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CC110 for Biological Control of Cucumber Downy Mildew Caused by Pseudoperonospora cubensis)

  • 이상엽;원항연;김정준;한지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61-267
    • /
    • 2013
  • Pseudoperonospora cubensis에 의한 오이 노균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하여 오이 재배단지의 오이 식물체 126균주를 분리하였다. 그 중에서 잎 절편 생물검정 통하여 5균주를 선발하였다. CC110균주는 오이노균병 예방과 치료효과 검정에서 전혀 병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무처리는 15.0~18% 노균병이 발생하였다. CC110균주는 gyrB gene sequence 분석에 의하여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plantarum로 동정하였다. CC110균주를 TSB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은 LB, NB와 KB 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보다 오이 노균병 발생이 적어 효과적이었다. CC110균주를 TSB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의 원액, 2배와 5배 희석한 처리구에서 0%, 3.0%와 8.0% 그리고 배양여액을 원액, 2배와 5배 희석한 처리구에서 0%, 4.0%와 7.0% 노균병이 발생하였고, 무처리는 21.0% 발생하였다. 오이 유묘검정에서 CC110균주를 TSB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은 오이 노균병이 35.0% 발생하였고 무처리는 82.0% 발생하였다. 비닐하우스 포장에서 오이 노균병에 대하여 B. amyloliquefaciens CC110균주를 5일 간격 4회 처리가 7일 간격 3회 처리보다 방제효과가 높았다.

계면활성제가 살균제 Dimethomorph의 오이 엽면 침투성과 오이 노균병 방제 효과에 미치는 영향 (lnfluence of Surfactants on Foliar Uptake of Dimethomorph into Cucumber Plant and Fungicidal Activity to Cucumber Downy Mildew)

  • 최경자;임희경;김정한;조광연;유주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109-115
    • /
    • 2001
  • 살균제 dimethomorph의 오이 엽면 침투율이 오이 노균병에 대한 방제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dimethomorph의 약효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Congo red를 추적물질로 사용한 엽면 침투율 측정법으로 6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해 유도되는 dimethomorph의 오이 엽면 침투율을 측정하고, 증진된 dimethomorph의 엽면 침투율에 따른 오이 노균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검증하였다. 아세톤 수용액(20%)에 녹인 dimethomorph 수화제는 250 ${\mu}g/ml$의 농도에서 오이 잎에 거의 침투되지 않았으며, 오이 노균병에 대한 치료 효과도 거의 없거나 미약하였다. 반면에 dimethomorph 수화제 현탁액에 아세톤 20%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1,000 ${\mu}g/ml$첨가하였을 때 최고 59.7%의 엽면 침투율을 나타내었으며, 오이 노균병에 대한 치료 효과도 침투율에 비례하여 증진되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중 polyoxyethylene cetyl ether를 함유하는 시험용 dimethomorph 분산성 액제는 계면활성제 함량이 증가할수록 dimethomorph의 오이 엽면 침투율과 오이 노균병 치료 효과가 증진되었으나, 예방 효과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dimethomorph와 polyoxyethylene cetyl ether가 1 : 2(w/w)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어도 희석 배율이 증가할수록 엽면 침투율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dimethomorph 분산성 액제 중에 침투성 증진 효과가 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그 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할 경우 오이 노균병에 대한 예방 효과를 유지하면서 치료 효과를 크게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Improvement in Fungicidal Activity of Ethaboxam by a Non-ionic Surfactant, Polyoxyethylene Cetyl Ether

  • Shin Kwang-Hoon;Kim Dal-Soo;Chun Sam-Jae;Park Eun-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3호
    • /
    • pp.303-308
    • /
    • 2006
  • Ethaboxam is a fungicide controlling plant diseases caused by Oomycetes. Efforts were made to improve its fungicidal activity applying formulation technology. Fungicidal activity of ethaboxam against cucumber downy mildew caused by Pseudoperonospora cubensis was improved by incorporating polyoxyethylene cetyl ether (PCE) in a wettable powder formulation. It was found that the optimum combination ratio of PCE and ethaboxam was 3:1, and a tank-mix of $150{\mu}g/ml$ of ethaboxam and $450{\mu}g/ml$ of PCE would be as good as the standard 25 % WP formulation diluted to $250{\mu}g/ml$ ethaboxam without PCE in controlling cucumber downy mildew. Based on this results, a wettable powder (WP) co-formulation containing 15% of ethaboxam and 45% of PCE was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ested for its performance in the fields. This co-formulatio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ersistence of fungicidal activity and curative efficacy of ethaboxam against cucumber downy mildew. The improved control efficacy was also confirmed for control of grape downy mildew caused by Plasmopara viticola and potato late blight caused by Phytophthora infestans in the field tests.

Fungichromin Production by Streptomyces padanus PMS-702 for Controlling Cucumber Downy Mildew

  • Fan, Ya-Ting;Chung, Kuang-Ren;Huang, Jenn-We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341-350
    • /
    • 2019
  • Streptomyces padanus PMS-702 strain produces a polyene macrolide antibiotic fungichromin and displays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many phytopathogenic fungi. In the present study, experimental formulations were assessed to improve the production of fungichromin, the efficacy of PMS-702 on the suppression of sporangial germination, and the reduction of cucumber downy mildew caused by Pseudoperonospora cubensis. PMS-702 strain cultured in a soybean meal-glucose (SMG) medium led to low levels of fungichromin accumulation and sporangial germination suppression. Increasing medium compositions and adding plant oils (noticeably coconut oil) in SMG significantly increased fungichromin production from 68 to $1,999.6{\mu}g/ml$. Microscopic examination reveals that the resultant suspensions significantly reduced sporangial germination and caused cytoplasmic aggregation. Greenhouse trials reveal that the application of PMS-702 cultural suspensions reduced downy mildew severity considerably. The addition of Tween 80 into the synthetic medium while culturing PMS-702 further increased the suppressive efficacy of downy mildew severity, particularly when applied at 24 h before inoculation or co-applied with inoculum. Fungichromin at $50{\mu}g/ml$ induced phytotoxicity showing minor necrosis surrounded with light yellowish halos on cucumber leaves. The concentration that leads to 90% inhibition (IC90) of sporangial germination was estimated to be around $10{\mu}g/ml$. The results provide a strong possibility of using the S. padanus PMS-702 strain as a biocontrol agent to control other plant pathogens.

이산화염소수를 활용한 오이 노균병 친환경방제 (Environment-Friendly Control of Cucumber Downy Mildew Using Chlorine Dioxide)

  • 김병련;함수상;권미경;김윤정;김운섭;송정영;오상근;주정일
    • 식물병연구
    • /
    • 제27권4호
    • /
    • pp.149-154
    • /
    • 2021
  • Pseudoperonospora cubensis는 오이를 포함한 박과작물에 강한 병원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노균병의 친환경 방제를 위하여 이산화염소수를 적용하였는데, 희석 분무살포하는 경우에 41.2%의 방제효과가 있었지만, 가열연막살포한 경우에는 80.9%의 높은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노균병과 같이 습도에 큰 영향을 받는 병해의 친환경 방제 시 연막 방제는 기존의 희석살포 방제법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eld Performance of a New Fungicide Ethaboxam Against Cucumber Downy Mildew, Potato Late Blight and Pepper Phytophthora Blight in Korea

  • Kim, Dal-Soo;Prak, Hyun-Cheol;Chun, Sam-Jae;Yu, Seung-Hun;Park, Kyong-Ju;Oh, Jeung-Haing;Shin, Kwang-Hoon;Koh, Young-Jin;Kim, Byung-Sup;Hahm, Young-Il;Chung, Bong-K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48-52
    • /
    • 1999
  • Ethaboxam is the first proprietary fungicide developed in Korea, registered in 1998 and commercialized in 1999 by LG Chemical Ltd., Korea. It is a derivative of aminothiazole carboxamide and formulated into 25% wettable powder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fields. Ethaboxam effectively controlled cucumber downy mildew caused by Pseudoperonospora cubensis, potato late blight caused by Phytophthora infestans, and pepper Phytophthora blight caused by P. capsici, and was superior or comparable to the commercial standards, when foliarly sprayed 3∼5 times until dripping off at approximately 7-day intervals during the growing season. Ethaboxam was required at least 125 mg/liter and 250 mg/liter for effective control of cucumber downy mildew, and potato late blight and pepper Phytophthora blight, respectively. There was not phytotoxicity observed o leaves, stems or fruits of cucumber, potato and pepper from any trial.

  • PDF

오이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농약의 혼용에 의한 오이 주요 곰팡이병의 방제 효과 (Control Effect of Major Fungal Diseases of Cucumber by Mixing of Biofungicides Registered for Control of Powdery Mildew with Other Control Agents)

  • 김경희;박재영;차주훈;전치성;홍성준;김영호;허재선;고영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23-328
    • /
    • 2011
  • 국내 유통중인 오이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농약의 혼용 및 기타 약제와의 혼용에 의한 오이 주요 곰팡이병 방제효과를 검정함으로써 오이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농약의 활용증진 방안을 검토하였다.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미생물농약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는데 바실루스서브틸리스케이비401유상현탁제와 바실루스서브틸리스디비비1501수화제의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20% 이상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두 가지 미생물농약의 훈용에 의해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세효과가 증진되었고, 오이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농약 바실루스서브틸리스케이비401유상현탁제와 노균병 방제용 화학약제 디메토모르프수화제의 혼용살포에 의해 오이 흰가루병과 노균병을 80% 이상씩 동시에 방제할 수 있었다. 이와 유사하게 오이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농약 바실루스서브틸리스케이비401유상현탁제와 친환경자재 난황유의 혼용살포에 의해서도 오이 흰가루병은 95% 정도, 노균병은 70% 정도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plantarum CC110균주의 오이 노균병 발생 억제기작 및 배양적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 of Bacillus amyloliquefacien subsp. plantarum CC110 for Biological Control of Cucumber Downy Mildew)

  • 이상엽;원항연;김정준;한지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28-434
    • /
    • 2013
  • 오이 노균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하여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plantarum CC110균주를 선발하였다. CC110 균주는 $7.5{\sim}55.0^{\circ}C$에서 생육 가능하며 최적 온도가 $36.6^{\circ}C$이고, pH 4.5~9.5범위에서 생육 가능하고 최적 pH는 7.0이었다. CC110 균주가 가장 잘 이용한 탄소원과 질소원은 fructose와 yeast extract이었다. I 플레이트를 이용한 생물검정에서 CC110 균주가 생성한 휘발성 물질에 의하여 오이 노균병이 발생하지 않았고, 무처리에서 13.2% 발생하였다. CC110 균주를 TSB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과 배양세포(cell)를 처리하여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전혀 오이 노균병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오이 노균병균의 포자낭 형태가 변형되었다.

Rediscovery of Seven Long-Forgotten Species of Peronospora and Plasmopara (Oomycota)

  • Lee, Jae Sung;Shin, Hyeon-Dong;Choi, Young-Joon
    • Mycobiology
    • /
    • 제48권5호
    • /
    • pp.331-340
    • /
    • 2020
  • The family Peronosporaceae, an obligate biotrophic group of Oomycota, causes downy mildew disease on many cultivated and ornamental plants such as beet, cucumber, grape, onion, rose, spinach, and sunflower. To investigate the diversity of Peronosporaceae species in Korea, we performed morphological analysis for dried plant herbariums with downy mildew infections by two largest genera, Peronospora and Plasmopara.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five species of Peronospora and two species of Plasmopara, which have been so far unrecorded in Korea, as well as rarely known in the world; Pl. angustiterminalis (ex Xanthium strumarium), Pl. siegesbeckiae (ex Siegesbeckia glabrescens), P. chenopodii-ambrosioidis (ex Chenopodium ambrosioides), P. chenopodii-ficifolii (ex Chenopodium ficifolium), P. clinopodii (ex Clinopodium cf. vulgare), P. elsholtziae (ex Elsholtzia ciliata), and P. lathyrina (ex Lathyrus japonicus). In addition,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 was inferred by molecular sequence analysis of ITS, LSU rDNA, and cox2 mtDNA. By rediscovering the seven missing species and barcoding their DNA sequence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diversity and evolutionary studies of downy mildew pathog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