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ystalline cellulose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1초

건마늘과 건양배추의 방사선 조사여부 확인을 위한 물리적 마커 분석 (Analyzing a Physical Marker to Identify Irradiated Dried Garlic and Cabbage)

  • 김동길;안재준;;이호천;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6-140
    • /
    • 2009
  • 건마늘과 건양배추에 대하여 감마선 조사(0, 2.5, 5, 10, 20 kGy)에 따른 검지특성을 PSL, ESR 및 TL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PSL 분석결과, 건마늘과 건양배추의 비 조사시료는 287-337 photon counts로 negative값을 나타내었고, 조사시료는 7511-54063 photon counts의 positive값을 나타내어 비 조사시료와 조사시료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ESR 분석 결과, 건마늘의 경우 비 조사시료에서 나타나지 않은 cellulose radical이 고선량(20 kGy)에서 관찰되었고, 건양배추의 경우 조사시료에서 crystalline sugar 유래의 multi- component signal이 관찰되었다. 또한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ESR signal intensity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R^2$= 0.9369-0.9926). TL 분석 결과, 건마늘과 건양배추 모두 비 조사시료와 조사시료의 glow curve가 나타나는 온도 범위(150-250$^{\circ}C$)와 TL intensity의 차이가 명확하였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TL signal intensity가 증가하였다($R^2$= 0.9670-0.9768). 그리고 TL ratio($TL_1/TL_2$)의 측정결과는 비 조사구는 0.1 이하, 조사구는 0.1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TL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높여주었다.

시아노아조벤젠을 함유한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그 광가교 필름들의 열방성 액정 거동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Behavoir of Hydroxypropyl Celluloses Containing Cyanoazobenzene and Their Photocrosslinked Films)

  • 김효갑;정승용;양시열;마영대
    • 폴리머
    • /
    • 제36권1호
    • /
    • pp.76-87
    • /
    • 2012
  • 세 종류의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 유도체들, 즉 에테르화도(DET)가 0.4에서 3의 범위에 있는 [6-{4'-(4-시아노페닐아조)펜옥시}]헥실옥시프로필 셀룰로오스들(CAHPCs), 완전치환 HPC의 아크릴산 에스터 (HPCA)와 CAHPC의 아크릴산 에스터들(CAHPCAs)을 합성하였다. 또한 HPCA와 CAHPCAs가 형성하는 열방성 액정 상에 UV 광을 조사시킴에 의해 가교된 HPCA(HPCAG)와 CAHPCAs(CAHPCAGs)를 제조하였다. HPC 그리고 HPCA와 동일하게 DET ${\leq}$ 1.2인 CAHPCs와 CAHPCAs는 광학피치들(${\lambda}_m$'s)이 온도상승에 의해 증가하는 양방성 콜레스테릭 상을 형성하는 반면 DET ${\geq}$ 1.4인 CAHPCs와 CAHPCAs는 단방성 네마틱 상을 형성하였다. DET ${\leq}$ 1.2인 CAHPCAs와 동일하게 DET ${\leq}$ 1.2인 CAHPCAGs는 넓은 온도범위에서 반사색깔을 나타냈다. 한편, DET ${\geq}$ 1.4인 CAHPCAs와 동일하게 DET ${\geq}$ 1.4인 CAHPCAGs는 네마틱 상의 전형적인 Schlieren 조직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액정 조직이 광가교에 의해 거의 그대로 고정됨을 시사한다. CAHPCAs와 CAHPCAGs의 액정 상에서 액체 상으로의 전이온도들($T_i$'s)은 DET가 증가함에 따라 낮아졌다. 그러나 DET가 동일할 경우, CAHPCAG가 CAHPCA에 비해 $T_i$는 높았다. 또한 CAHPCAGs가 CAHPCAs에 비해 ${\lambda}_m$의 온도의존성은 대단히 약하였다.

잣나무 Fibril 경사각(傾斜角)의 변이(變異)에 관한 연구(硏究) (Trends of Fibril Angle Variation in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 이원용;권진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44-52
    • /
    • 1980
  • 이 연구(硏究)의 목적(目的)은 우리나라의 주요(主要)한 수종(樹種)인 잣나무에 대(對)하여 fibril 경사각(傾斜角)의 변이(變異)을 알아 보기 위한 것이다. 1937년(年)에 I. W. Bailey 씨(氏)는 옥도(沃度)의 침상결정(針狀結晶)을 통하여 가도관이차막중층(假導管二次膜中層)이 fibril 경각측정(傾角測定)의 가능성(可能性)을 발표(發表)하였다. 그래서 필자(筆者)는 일본(日本)의 소림미일씨(小林彌一氏)의 간편법(簡便法)을 이용(利用)하여 이 연구(硏究)를 시도(試圖)하였는데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Fibril 각도(角度)는 추재(秋材)보다는 춘재(春材)에서 더 크게 나타나 있다. 2. Fibril 경각(傾角)은 수피(樹皮)쪽 보다는 수(髓)쪽이 더 크게 나타나 있다. 3. 수(髓)에서 수피(樹皮)쪽으로 이행(移行)함에 따라 춘(春) 추재(秋材)의 차이(差異)는 수(髓)에 가까운 쪽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 있다.

  • PDF

Psyllium Husk의 식이섬유 소재로서의 기능성 탐색 (Screening Study for the Functionality of Psyllium Husk as a Dietary Fiber Material)

  • 이신영;백진홍
    • 산업기술연구
    • /
    • 제25권B호
    • /
    • pp.229-239
    • /
    • 2005
  • Dietary powder from Plantaginis ovatae testa was prepared by mechnical milling/grinding of the outer layer of the seed. The crystalline/surface structures of its powder (100 mesh) were examined, and several physical functionalities including, water capacity, oil holding capacity, emulsion/foam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such as in-vitro glucose and bile acid retarding effects were also investigated. Water holding capacity(WHC) of psyllium powder was $33.71{\pm}0.10g$ water retained/g solid at room temperature, whileas oil holding capacity(OHC) for soybean or rice bran oil were about 1.80g oil retained/g solid. These values of WHC and OHC were about 5.6 times higher and 2.8 times lower than those of commercial ${\alpha}$-cellulose, respectively. Changes of pH showed a small effect on WHC, but WHC increased with temperature. Emulsion capacity of 2%(w/v) psyllium was about 60% level of 0.5%(w/v) xanthan gum but emulsion stability after incubation of 24 hours showed about 1.4 times improvement of xanthan gum(0.5%,w/v). Also, psylliume(above 2%, w/v) alone had higher foam capacity than that of xanthan(1.1 times) and especially, 1 or 2% addition of psyllium improved the foam stability of protein solution(1% albumin+0.5% $CaCl_2$) by factor of 3.3 and 6.0 times, respectively. The glucose and bile acid retarding effects of psyllium powder were relatively very excellent suggesting the prevention from diabetes and arteriosclerosis. Especially, psyllium showed the 3.7 and 3.3 times higher effect on in-vitro glucose and bile acid retardation than those of commercial ${\alpha}$-cellulose, respectively.

  • PDF

녹두의 Peroxidase Isozyme C의 생화학적 성장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roxidase Isozyme C from Mung Bean)

  • 이상갑;박우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3호
    • /
    • pp.219-226
    • /
    • 1987
  • 녹두의 자엽에서 peroxidase isozyme을 $(NH_4)_2SO_4$ 침전, Sephadex G-75, DEAE-cellulose 및 DEAE-Sephadex A-50 column chromatography 등으로 63배 정제하여 그 특성 및 결정구조를 조사하였다. Isozyme C는 Rm 값이 0.24로서 분자량이 50,000 dalton인 단량체였다. 이 효소의 반응 최적 PH는 o-dianisidine에 대하여 5.0, guaiacol에 대해서는 6.0, 반응 최적온도는 $70^{\circ}C$였으며 열에 대해서도 비교적 안정하였다. o-dianisidine과 guaiacol에 대한 Km 값은 각각 0.11mM, 60.98mM이었으며, isozyme C에 대한 기질과 cyanide는 경쟁적 저해형식을 나타내었다. Isozyme C는 평면상 직사각형의 결정구조를 하고 있었다.

  • PDF

적외선(赤外線)(IR) 분광법(分光法)에 의한 고목재(古木材) 성상(性狀)의 심지(深知) (Application of Infrared Spectroscopical Techniques for Investigation of Archaeological Woods)

  • 김윤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3-9
    • /
    • 1988
  • Infrared (IR) spectroscopic techniques for the analysis of wood samples and the absorbance spectra of solid woods were presented. KBr pellets were prepared by throughly mixing approximately 300 mg of dried KBr and 1 mg of finely milled wood powder extracted with ethanol-cyclohexane previously. This mixture was made into a transparent disc by means of a pellet-making die (10 ton/$cm^2$ for 10 min). This IR techniques were applied for the analysis of archaeological wood samples. The most notable difference in the IR spectra between the recent and the archaeological waterlogged woods is that the absorption band centered at $1,730cm^{-1}$ was significantly diminished in the waterlogged ones. Total loss of absorption in $1,730cm^{-1}$ might be mainly due to the result of hemicellulose degradation. Another feature indicated by IR spectral comparision are that the degraded waterlogged wood samples showed 1) the increased intensity of the 1,600, 1,500 and $1,270cm^{-1}$ due to the residual lignin and the increased intensity at 1,470 and $1,425cm^{-1}$ due to the degradation of hemicellulose and 2) to the emergence of single band around $1,050cm^{-1}$ instead of three bands at 1,110, 1,060 and $1,040cm^{-1}$ in recent wood due to the degradation of cellulose crystalline. It was revealed from the IR examinations that the first change of wood in the waterlogged situation was the lysis of hemicellulose and the second the lysis of cellulose. It was also suggested that IR spectroscopy could serve a fast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rchaeological wood samples.

  • PDF

부유부상 공정에 있어서 표면 에너지의 역할 - 부유부상 효율에 있어 고형 입자의 표면 에너지 및 극성성분의 중요성 - (Influence of the Surface Energetics on flotation Process - Importance of the Surface Energy and Polarity of Solid Particles in Flotation Efficiency -)

  • 이학래;박일;이용민;이진희;조중연;한신호
    • 펄프종이기술
    • /
    • 제34권3호
    • /
    • pp.1-8
    • /
    • 2002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urface energy of hydrophobically modified 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 with AKD and evaluate the effect of surface energy of the solid particles dispersed in aqueous medium on flotation efficiency. Especially to eliminate the complication derives from the diverse parameters of solid particles including particle size, type, etc. MCC's modified with AKD have been used. The surface energy Parameters were calculated from advancing contact angles of apolar and polar liquids on MCC pellets using the Lifshitz-van der Waals acid-base (LW:AB) approach. Total surface energy of hydrophobic MCC ranged from 46.19 mN/m to 48.60 mN/m. The contribution of the acid-base components to the total surface energy ranged form 13% to 17% for hydrophobic MCC's. The effect of surface characteristics on the flotation efficiency was evaluated. It was shown that there exist critical values of surface energies to increase flotation efficiency. Total surface energy and polar component of solid particles should be lower than 47 mN/m and 7 mN/m, respectively, for effective removal in the flotation process.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n Endoglucanase Gene from Actinomyces sp. Korean Native Goat 40

  • Kim, Sung Chan;Kang, Seung Ha;Choi, Eun Young;Hong, Yeon Hee;Bok, Jin Duck;Kim, Jae Yeong;Lee, Sang Suk;Choi, Yun Jaie;Choi, In Soon;Cho, Kwang Ke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호
    • /
    • pp.126-133
    • /
    • 2016
  • A gene from Actinomyces sp. Korean native goat (KNG) 40 that encodes an endo-${\beta}$-1,4-glucanase, EG1, was cloned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E. coli) $DH5{\alpha}$. Recombinant plasmid DNA from a positive clone with a 3.2 kb insert hydrolyzing carboxyl methyl-cellulose (CMC) was designated as pDS3. The entire nucleotide sequence was determined, and an open-reading frame (ORF) was deduced. The ORF encodes a polypeptide of 684 amino acids. The recombinant EG1 produced in E. coli $DH5{\alpha}$ harboring pDS3 was purified in one step using affinity chromatography on crystalline cellulose and characterized.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zymogram analysis of the purified enzyme revealed two protein bands of 57.1 and 54.1 kDa. The amino terminal sequences of these two bands matched those of the deduced ones, starting from residue 166 and 208, respectively. Putative signal sequences, a Shine.Dalgarno-type ribosomal binding site, and promoter sequences related to the consensus sequences were deduced. EG1 has a typical tripartite structure of cellulase, a catalytic domain, a serine-rich linker region, and a cellulose-binding domain. The optimal temperature for the activity of the purified enzyme was $55^{\circ}C$, but it retained over 90% of maximum activity in a broad temperature range ($40^{\circ}C$ to $60^{\circ}C$). The optimal pH for the enzyme activity was 6.0. Kinetic parameters, $K_m$ and $V_{max}$ of rEG1 were 0.39% CMC and 143 U/mg, respectively.

볏짚 발효사료 제조시 과산화수소 전처리 효과 (The Effects of Hydrogen Peroxide Pretreatment on Rice Straw Fermentation for Feed)

  • 최윤희;이상복;김명숙;홍재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5호
    • /
    • pp.326-333
    • /
    • 1994
  • 볏짚의 사료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과산화수소에 의한 전처리와 섬유소 및 리그닌분해력이 강한 Pleurotus florida 균주로 발효사료를 제조하고 화학성분, 결정도 및 in vitro 소화율을 조사하여 사료적 가치를 검토하였다. P. florida에 의한 볏짚발효시 hemicellulose, cellulose 및 lignin은 각각 22.5%, 11.4%, 28.1% 감소하였고, $H_2O_2$$H_2O_2(pH\;11.5)$ 전처리 후 발효시에는 4% 이하의 저농도에서 감소가 심하였으며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cellulose, lignin 등이 감소하였고 아미노산함량은 무처리 볏짚에 비하여 배양 30일 후에 약 28.9% 증가하였으며 4% $H_2O_2$ 전처리 후 발효시는 35.1% 증가하였다. 볏짚 섬유소의 결정도는 $H_2O_2$ 처리 및 P. florida에 의한 발효처리로 감소하였고 $H_2O_2(pH\;11.5)$ 처리시 증가하였으며 $H_2O_2(pH\;11.5)$ 처리 후 수세시의 잔류볏짚의 결정도는 더욱 증가하였고 P. florida에 의한 볏짚배양 30일 후 in vitro 소화율은 17.1% 증가하였으며, $H_2O_2$ 전처리 후 발효시킨 볏짚은 6% 이하의 저농도에서 소화율 상승효과가 있었다.

  • PDF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노화 다당류들의 열방성 액정 특성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roperties of (8-Cholesteryloxycarbonyl)heptanoated Polysaccharides)

  • 정승용;마영대
    • 폴리머
    • /
    • 제30권4호
    • /
    • pp.338-349
    • /
    • 2006
  • 셀룰로오스, 아밀로오스, 키토산, 키틴, 알긴산, 풀루란 또는 아밀로펙틴을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헵타 노일 클로라이드 (CH8C)와 반응시켜 전치환 또는 거의 전치환 (8-콜레스테릴옥시카보닐) 헵타노화 다당류 유도체들을 합성함과 동시에 이들의 열방성 액정의 거동들을 검토하였다. CH8C 의 경우와 같이, 아밀로펙틴 유도체를 제외한 모든 다당류 유도체들은 좌측방향의 나선구조를 지니며 온도상승에 의해 광학피치들 $({\lambda_m}'s)$이 감소하는 단방성 콜레스테릴 상들을 형성하였다. 아밀로펙틴 유도체도 좌측방향의 나선구조를 지닌 단방성 콜레스테릴 상을 형성하나 다른 다당류 유도체들과 달리 콜레스테릴 상의 전 범위에서 반사색깔들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콜레스테릴 그룹에 의한 나선의 비틀림력은 아밀로펙틴 중의 분기구조에 민감하게 의존함을 시사한다. 다당류 유도체들에서 관찰되는 액정 상의 열적 안정성과 질서도, 동일한 온도에서의 ${\lambda}_m$ 의 크기 그리고 ${\lambda}_m$의 온도 의존성은 콜레스테릴 그룹들을 유연한 스페이서들을 통하여 유연한 흑은 반강직한 골격들에 도입시켜 얻은 고분자들에 대해 보고된 결과와 전혀 다르다. 이들의 결과를 주사슬과 곁사슬의 화학구조 그리고 주사슬의 유연성의 차이와 관련하에서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