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de phosphoric acid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6초

용매추출법(溶媒抽出法)을 이용(利用)한 조인산(粗燐酸) 정제(精製) (Purification of Crude Phosphoric Acid by Solvent Extraction)

  • 윤유미;신창훈;김주엽;김현상;안재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4권5호
    • /
    • pp.40-44
    • /
    • 2005
  • 초산, 질산 및 인산이 함유된 폐혼산에서 초산과 질산을 1차 분리하고 남은 조인산으로부터 에칭액의 원료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용매추출 기술을 적용하였다. 알루미늄 및 몰리브덴 불순물이 함유된 조인산을 인산염계 추출제를 이용하여 인산을 추출한 후, 세정공정과 탈거공정을 거쳐 알루미늄과 몰리브덴을 분리하기 위한 최적 분리 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공정과 세정공정, 그리고 탈거공정을 통하여 알루미늄 및 몰리브덴의 함량을 1 ppm이하로 분리 제거하여 정제 인산으로 회수할 수 있었다.

수산및 인산이 미강유의 탈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xalic and Phosphoric acid on Degumming of Rice Bran Oil)

  • 김선기;윤석후;김철진;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8-130
    • /
    • 1985
  • 미강유의 탈검에 알맞는 탈검제(Degumming agent)를 찾기 위하여 85% 인산과 4%, 8% 및 12% 수산의 탈검효과를 비교하였다. 85% 인산을 미강조유 1kg당 2ml 첨가할 때와 4%의 수산을 조유 1kg당 20ml를 처리할 때 미강조유내의 검물질을 96.6%까지 제거 할 수 있었다. 탈검후 수율은 인산을 이용할 때 61.0%, 수산을 이용할 때 63.6%로 나타났다.

  • PDF

미강유로부터 Acetone Insolubles 회수 및 성질에 미치는 탈검제의 영향 (Effect of Degumming Reagents on the Recovery and Nature of Acetone Insolubles from Rice Bran Oil)

  • 이태규;노민환;양희천;김충기;송근섭;엄태붕;권용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0-224
    • /
    • 1991
  • 물 및 다섯가지 탈검제(citric acid, phosphoric acid, acetic anhydride 및 maleic anhydride)를 사용하여 미강유를 탈검하고 그 탈검효율을 비교하였다. 미강유 원유로부터 인 함유 물질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모든 탈검제가 보다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acetic anhydride와 phosphoric acid는 각각 92.5% 및 93.3%까지 인 함유율을 저하시켰다. 또한 비수화성 인지질 특히 Lyso PC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모든 탈검제가 효과적이었다. 미강유로부터 추출한 AI의 인지질은 주로 PC, PI, PE 및 Lyso PC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주요 지방산은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palmitic acid의 순이었다. Acetic anhydride를 사용하여 얻은 AI가 가장 안정된 유화를 형성하였으며, 반면에 phosphoric acid 및 oxalic acid를 처리하여 얻은 AI는 매우 빈약한 유화성을 나타냈다.

  • PDF

항산화 효과가 있는 붉나무 추출물의 몇가지 synergist 첨가 효과 (Synergistic Effect of Rhus javanica Linne Ethanol Extract Containing Several Synergist)

  • 장영상;최웅;신동화;신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9-153
    • /
    • 1992
  • 항산화 효과가 화인된 붉나무 에탄올 조추출물 및 용매별 분획물에 ascorbic acid, citric acid, tocopherol, phosphoric acid, lecithin, phytic acid 등을 혼합, 괌유, 돈지, 대두유에 넣어 산화방지 효과를 Rancimat test에 의하여 비교하였다. 팜유에 붉나무 조추출물과 인산을 각각 200ppm 첨가시, 유도기간은 무첨가구에 비해 2.89배 증가했으며. 붉나무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물 200ppm과 인산 200ppm을 첨가했을 때 유도기간은 4.18배, 같은 조건에서 chloroform 분획물은 2.48배의 유도기간 연장 효과가 있었다. 돈지의 경우 chloroform 분획물 600 ppm과 ${\delta}-Tocopherol\;200ppm$을 첨가한 경우 13.41배의 산화지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붉나무 분획물과 synergist를 팜유와 돈지에 각각 200ppm색 첨가하여 $60^{\circ}C$에 저장하연서 POV, AV 및 TBA가를 측정한 결과, 팜유의 경우 저장 27일후 무첨가구의 과산화물가는 98.3meq/kg인데 비해 ethyl acetate, chloroform 분획물에 인산을 첨가한 처리구의 과산화물가는 각각 8.9meq/kg, 9.14meq/kg으로 과산화물의 생성을 현저하게 억제 하였으며, 이에따라 산가와 TBA 가도 무첨가구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돈지에서의 과산화물가는 무첨가구가 161.1 meq/kg인데 비해 ethyl acetate, chloroform 분획물에 tocopherol을 첨가한 처리구는 각각 20.0meq/kg, 10.7meq/kg으로 과산화물의 생성을 크게 억제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산가나 TBA 가도 무첨가구보다 훨씬 낮아 팜유에서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UNS N08810 합금의 입계부식손상과 원인 분석 (Elucidation of Intergranular Corrosion of UNS N08810 alloys)

  • 김영식;황보덕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1권5호
    • /
    • pp.196-204
    • /
    • 2012
  • Corrosion failure of petrochemical facilities is one of the difficulties in maintenance, since operating conditions of crude oil production, storage, and refinement are very aggressive. UNS N08810, which has been used for crude oil transportation pipes and storage tanks in petrochemical industries, shows good resistance to general corrosion and localized corrosion in several environments. Among its environments, UNS N08810 showed better corrosion resistance in fuel gas containing sulfuric acid and phosphoric acid and sulfur. However, ductility and toughness at high temperature over about $500^{\circ}C$ were greatly reduced due to microstructural change. In general, welding process is the representative method to join the parts in industrial components. Because the alloy by welding can be sensitized and corroded, the manufacturing process should be controlled. In this work, UNS N08810 was used and heat treatment conditions including solution and stabilization treatments were controlled. Oxalic acid etch test by ASTM A262 Practice A was done to evaluate the qualitative sensitization in room temperature. Huey test by ASTM A262 Practice C was done to evaluate the intergranular corrosion rate in boiling 65% $HNO_3$ solution. Also, the microstructure by thermal history was analyzed. Experimental alloy showed high intergranular corrosion rate and its corrosion mechanism was elucidated.

시호(柴胡)함유 한방제(漢方劑)중 황금(黃芩) 지표성분(指標成分)의 확인(確認) 및 Baicalin 정량(定量) (Identification of Index Components of Scutellariae Radix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Baicalin from Curde Drug Preparation Containing Bupleuri Radix)

  • 최강주;고성룡;양재원
    • 생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8-162
    • /
    • 1990
  • As a part of studies on the quality control of crude drug preparation, So-Shi-Ho-Tang, index components of Scutellariae Radix were identified by TLC and quantified by HPLC. Wogonin and baicalein were identified in ethyl ether fraction on silica gel plate with benzene/ethyl acetate (1 : 1, v/v). The content of baicalin was determined by HPLC on ${\mu}-Bondapak\;C_18$ column with 0.5%-phosphoric acid/acetonitrile (73 : 27, v/v). Its recovery rate in the extract granules, compared to the content in the Scutellariae Radix, was $52.1\;{\pm}\;0.7%$.

  • PDF

한국산 밀립의 휘발성 성분과 Carotene류의 분석 (Volatile Compounds and Carotenes Analysis of Korean Beeswax)

  • 권혜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3-69
    • /
    • 1998
  • The beeswax sample was collected from the beehives, isolated and then refined. The first step of producing beeswax was to separate honey from beehives. The beehives which were cut put in hot water. The upper layer was crude beeswax, which was treated with phosphoric acid. The crude beeswax was purified through the bleaching.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and to know the contents of ${\alpha}$-carotenes and ${\beta}$-carotenes of korean beeswax.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of Korean beeswax were measured by using the combination of dynamic headspace sampler (DS 5000, Donam System Inc.),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elective detector (HP5890 & 5971, Hewlett Packard). Seventy five compounds identified from about 100 peaks by analyzing the purified beeswax were 60 hydrocarbons, 8 carbonyls, 4 essential oils, 3 esters. Carotenes of Korean beeswax were analyzed by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aters Inc.). As A result, the content of ${\alpha}$-carotenes and ${\beta}$-carotenes were 0.07ppm, 0.011ppm individually.

용매 추출법을 이용한 조인산 정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rification of Crude Phosphoric acid using Solvent Extraction Method)

  • 윤유미;김주엽;신창훈;김현상;안재우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5년도 춘계임시총회 및 제25회 학술발표대회
    • /
    • pp.168-172
    • /
    • 2005
  • 초산, 질산 및 인산이 함유된 폐혼산에서 초산과 질산을 1차 분리하고 남은 조인산으로부터 정제인산으로 회수한 후 에칭액의 원료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용매 추출 기술을 검토하였다. 알루미늄(Al) 및 몰리브덴(Mo) 불순물이 함유된 조인산을 인산염 추출제를 이용하여 인산을 추출한 후 세정공정과 탈거공정을 거쳐 알루미늄과 몰필브덴을 분리하기 위한 최적 분리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공정과 세정공정, 그리고 탈거 공정을 통하여 알루미늄 및 몰리브덴의 함량을 1ppm이하로 분리 제거하여 정제 인산으로 회수가 가능하였다.

  • PDF

옥수수기름의 하절기 변색현상 원인규명 및 방지대책 (Reason and Prevention of Color Reversion of Corn Oil in Summer)

  • 구본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85-490
    • /
    • 2004
  • 옥수수배아로부터 압착-추출과정을 거쳐 원유를 채유하여 혼합한 다음 이를 열교환을 통한 부분냉각, 완전냉각 과정을 거쳐 품온을 $50^{\circ}C,\;70^{\circ}C$$90^{\circ}C$로 조절하여 직사광선의 조사를 직접 받는 옥외 저장탱크에 각각 저장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색상변화를 측정하며 이를 정제하여 최종 탈취유를 얻었다. 이 정제과정 중 탈검-탈산-탈색공정에서 인산 용액, 가성소다용액 및 산성백토의 처리량을 적정량 및 $10\%,\;20\%$ 과잉으로 처리하여 각각의 탈취유를 얻고 이를 0.9 L PET병에 포장하여 정상적인 유통과정 및 암소저장을 실시하여 기간경과에 따른 색상변화를 측정하여 하절기 옥수수기름에서 문제가 되는 변색현상(color reversion)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탈취유의 유통 및 암소저장 중 발생하는 색상변화는 정제공정의 차이에 의한 잔류 인함량, 유리지방산 잔류량, 색소물질의 제거 정도 등과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고온의 원유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내부적으로 "color fixation" 현상이 발생하여 이것이 색상변화를 초래하는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원유 자체가 높은 품온을 유지한 채 일정기간 이상 저장되는 과정에서 색소 고정화 현상이 발생되면 이후 정제공정에서 이를 조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온도조건 이하로 원유를 냉각시키는 것이 최선의 방지대책일 수 있으나 무한대로의 냉각은 energy saving 등의 개념에서 볼 때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하절기 옥수수배아 원유의 적정 저장온도를 $50^{\circ}C$ 이하로 관리할 경우 변색현상의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러 가지 안정화 물질이 오미자 색소 추출물의 가열 변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ected Stabilizers on the Color Deterioration of Crude Pigment Extract from Schizandra fruit (Schizandra Fructus))

  • 김현정;조성빈;전향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75-482
    • /
    • 2003
  • 오미자 추출물의 가열 및 저장에 의한 변색을 지연시킴으로써 식품 소재로써 오미자 추출물의 이용도를 증진시키고자 식품에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첨가물인 당과 색소 안정화제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단당류로써 glucose, fructose, 이당류로써 sucrose, maltose를 처리한 결과 단당류는 가열에 의한 변색을 촉진시켰고 이당류는 가열에 의한 변색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어 maltose를 10%처리하였을 때 40%정도 변색이 억제되었다. 색소 안정화제 로 각각 1%와 5%의 maltodextrin, ${\beta},\;{\gamma}-cyclodextrin$, ascorbic acid, phosphoric acid를 첨가하여 조사한 결과 ${\beta}-$${\gamma}-cyclodextrin$과 maltodextrin 5% 처리구의 경우 DI값이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나 가열 변색에 대한 안정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복잡한 구성성분으로 인하여 matrix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에의 적용효과를 조사하고자 오미자 색소 추출물을 첨가한 겔 시스템을 모델 식품으로 사용하여 $25^{\circ}C$$35^{\circ}C$에서 저장하면서 표면 색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 온도 및 기간이 증가할수록 a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maltodextrin을 5.0% 첨가한 경우 a 값이 $15{\sim}20%$증가하여 matrix effect가 고려된 실제 식품에서도 색소안정화 효과가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