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n fire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초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l (III), Ni (II), Sm (III) Ions on Resin with Styrene Hazardous Material in Reinforcement Water Fire Extinguishing Agent

  • Kim, Joon-Tae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51-157
    • /
    • 2013
  • The ion exchange resins were synthesized from 1-aza-18-crown-6 macrocyclic ligand attached to styrene (2th petroleum in 4th class hazardous material) divinylbenzene (DVB) copolymer with crosslinks of 1%, 6%, and 15% by substitution reaction. These synthetic resins were confirmed by chlorine content, elementary analysis, surface area, and IR-spectrum.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seperate the metal ion absorbed in reinforcement water fire extinguishing agent. As the results of the effects of pH, equilibrium arrival time, and crosslink of synthetic resin on metal ion adsorption for resin adsorbent, the metal ions were showed high adsorption at pH 3 or over and adsorption equilibrium of metal ions was about 2 hours. In addition, adsorption selectivity for the resin in water was the order of Al (III) > Ni (II) > Sm (III) ions, adsorbability of the metal ions was in the crosslinks order of 1%, 6%, and 15%.

고성산불로 인한 시설물피해특성 연구 (A Study on Facilities Damage Characteristics Caused by Forest Fire in Goseong-Gun)

  • 염찬호;이시영;박흥석;권춘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469-478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산불에 의한 시설물피해 특성연구를 위하여 2018년 3월 28일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탑동리 산16(야산)에서 발생한 산불(피해면적 40ha)을 대상으로 시설물피해 현황을 조사 하였다. 고성산불은 산림 및 농작물 피해는 물론이고,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 공공시설, 창고, 군사시설 등 17건의 시설물에 피해를 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피해 시설물들의 세부적인 피해원인을 분석하여, 산림인접 시설물들에 대한 산불피해 방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고성산불발생시 기상을 분석하기 위해 산불발생과 진화완료시(2018.3.28 06:19 ~ 22:00)의 기상상황(기온, 풍속, 풍향, 습도)을 1분단위로 분석하였고, 시설물 피해 사례조사를 위해 고성산불로 인해 발생한 17건의 시설물 중 군사시설 등을 제외한 10건의 피해 시설물 주변의 경사도, 사면향, 지세특성, 산림과의 이격거리, 주요수종, 수관화발생 유무, 주택방위, 주택재질 등 9개 항목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산불피해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고성산불 발생과 진화완료시(2018.3.28 06:19 ~ 22:00)의 기상상황(간성 517AWS)은 기온 및 습도가 고온 건조한 상태였으며, 풍속은 평균 4.1m/s, 최대 11.6m/s의 강한 바람이 불었다. 주풍향은 W(225~315°)방향이었으며, 산불의 확산 방향과 일치하였다. 또한 산불피해 시설물들은 급경사지와 능선의 산정부에 위치하였고, 시설물주변 산림은 수관화 발생지역의 소나무 밀임분 지역이었다. 산림과 시설물과의 이격거리는 평균 13.5m이었으며, 시설물의 재질이 불에 강한 콘크리트였을 경우 경미한 피해를 입었지만, 샌드위치판넬 등 산불에 약한 재질은 모두 전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인 주택주변의 숲 가꾸기 실시와 이격거리 확보, 시설물들의 불연재 재질로의 개선 등을 통해 산림인접 시설물들에 대한 산불방지 대책수립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불방지 급수시설 설치 기준 마련에 관한 연구 (Study on Guideline of Water Supply System for Forest Fire)

  • 김동현;남송희;금시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38-46
    • /
    • 2013
  • 산불로부터 주요 산림과 시설물들을 보호하고 주변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상설 급수 및 살수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양양산불로 인해 낙산사 소실을 경험하면서 주요문화재 건축물 주변에 숲 관리와 함께 산불방지 급수시설 설치사업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였다. 하지만 기존 설치된 산불방지급수시설의 경우, 별도의 설치와 관리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지 않고 각 시공업체의 시방서를 기준으로 설치하였다. 시공업체의 시방서는 NFSC 109를 토대로 산림지역에 변형하여 설치한 것으로 광범위한 산불확산으로부터 주요시설물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에는 방호면적이 적고 호스의 이동과 동시살수에 있어 제한적인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설치되어 이용하고 있는 산불방지 급수전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들을 도출하였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성능위주의 산불방지 급수시설 기준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산불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산불방지 급수시설의 구성을 수관화 확산방지를 위한 'Water Sprinkler Tower System', 지표화 진화를 위한 'Forest Fire Hydrant System', 'Portable Water Spray System' 3가지를 제시하였고 설치를 위한 펌프의 성능 및 부속품들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Vulnerability of Pinus densiflora to forest fire based on ignition characteristics

  • Seo, Hyung-Soo;Choung, Yeon-So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4호
    • /
    • pp.343-349
    • /
    • 2010
  • In Korea, man-caused forest fires are known originate primarily in coniferous forests. We have hypothesized that the vulnerability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s principally a consequence of the ignition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To assess this hypothesis, we conducted two combustion experiments using fallen leaves with a reference species, Quercus variabilis. In the first experiments, in which a cigarette was employed as a primary heat source for the initiation of a forest fire, the Pinus leaves caught fire significantly faster (1'1" at Pinus, 1'31" at Quercus, P < 0.001), and ignition proceeded normally. Quercus leaves, on the other hand, caught fire but did not ignite successfully. In the second set of experiments utilizing different moisture contents and fuel loads, the maximum flame temperature of the Pinus leaves was significantly higher ($421^{\circ}C$ at Pinus, $361^{\circ}C$ at Quercus, P < 0.001) and the combustion persisted for longer than in the Quercus leaves (8'8" at Pinus, 3'38" at Quercus, P < 0.001).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leaves appeared to be a more important factor in the maximum temperature achieved, where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burning time was the amount of fuel. Overall, these results support the assumption that Pinus leaves can be ignited even by low-heat sources such as cigarettes. Additionally, once ignited, Pinus leaves burn at a relatively high flame temperature and burn for a prolonged period, thus raising the possibility of frequent fire occurrences and spread into crown fires in forests of P. densiflora.

산불화재 감식을 위한 연소생성물의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Combustion Products for Forest Fire Investigation)

  • 박영주;이해평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1-119
    • /
    • 201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basic data applicable to fire investigation through consideration of combustion products and propose vulnerability of combustibles through analysis of $CO_2$ emission.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characteristics of combustion products such as smoke release rate of each part(raw leaves, branches and barks), $CO_2$ emission and ash production were considered targeting on 6 oak species(Quercus variabilis Blume, Quercus aliena Blume, Quercus serrata, Quercus mongolica Fisch, Quercus dentata Sapling and Quercus acutissima) using cone calorimeter and smoke density teste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raw leaves release smoke more relatively than branches and barks, when they burn, and that Quercus variabilis Blume has the highest smoke density. Also, Quercus acutissima released CO and $CO_2$ which are respectively, 6.67 times and 1.43 times more than Quercus variabilis Blume with low $CO_2$ emission. In addition, branches released CO and $CO_2$ more relatively.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ash production among raw leaves(3.1 g), branches(10.5 g) and barks(16.43 g). It was identified that Quercus serrata produces ashes which are nearly 9.95 times more than Quercus variabilis Blume. It demonstrates that Quercus serrata contains relatively higher minerals and that Quercus variabilis Blume can leave lots of traces like stain and carbonization, as it releases smoke a lot and it's difficult to predict visibility, when a forest fire breaks out in its community area. It is also considered that smoke particles containing oil in the air leave strain on the surface of a tree, and that CO and $CO_2$ emission increases, when crown fire to burn branches breaks out.

산림 바람장 해석을 위한 전산유체역학 코드들의 벤치마크 검증 (BENCHMARK TESTS FOR CFD CODES FOR THE ANALYSIS OF WIND FIELD IN THE FOREST)

  • 박태완;장세명;이병두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20
    • /
    • 2012
  • In this paper, the authors test various open codes and commercial codes based on CFD technology on the wind field around the complex terrain, which is a very important transport physics in the event of forrest fire. To study the physical mechanism inside the transition from surface fire to crown fire, the wake flow behind a parallel array of trees is studied numerically to show the flow separation in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Two sites near to Kunsan National University are chosen for the measurement of real wind field, and obtained data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various computational codes such as Wind-Ninja, NIST-FDS, ANSYS-CFX, and ANSYS-FlUENT, etc. Through this research, feasibility and accuracy of the present CFD codes are investigated quantitatively, compared with the measured data with AWS.

대형 LPG 단기통엔진에서 압축비가 기관성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mpression Ratio on Engine Performance in Heavy-duty LPG Single-cylinder Engine)

  • 김진호;최경호
    • 에너지공학
    • /
    • 제11권2호
    • /
    • pp.160-165
    • /
    • 2002
  • LPG 연료를 사용하는 대형 단기통엔진은 연소과정과 배기성능을 파악하기 위해서 설계.제작되었다. 실린더헤드와 피스톤 크라운은 LPG 연소를 위해서 변경되었다. 또한 플라이휠은 단기통엔진의 진동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 제작되었다. 실험용 단기통엔진의 실린더내경과 행정은 각각 130mm와 140mm이다. 압축비는 피스톤 크라운 형상을 다르게 하여 8에서 9로 변경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제작된 단기통엔진은 1,000rpm에서 운전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1)제작된 엔진의 출력은 3가지 다른 압축비별로 당량비 1.0에서 최고를 나타낸다. (2) 압축비 증가에 따라서 출력이 약간 증간한다. (3) 최적 점화시기는 크랭크각으로 2에서 10까지 압축비의 증가와 함께 지각되어진다.

The effects of half-section waste tire reinforcement on pipe deformation behavior

  • Erenson, Can;Terzi, Niyazi Ugur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0권6호
    • /
    • pp.517-524
    • /
    • 2022
  • Every year, millions of waste tires are discarded across the world. Storage of waste tires presents many problems such as fire threats, epidemics, and non-economic factors. Furthermore, the disintegration process of waste tires is not economical or practical due to its time-consuming, and disposal requirements. In this study, half-section waste tires (HSWTs) were integrated with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pipes under different relative density conditions. The main aim of the study was to reduce the deformation values of embedded HDPE pipes in sandy soil and to evaluate the soil-pipe interaction. In comprehensive laboratory tests, half-section waste tires were integrated in two different ways: in the middle of the pipeline and along the pipeline. Accordingly, it was concluded that the effectiveness of waste tires reduces the deformation and bending moment values in the critical regions of pipes. As a result of reinforcement in the mid-point of the pipe defined as the most critical region, 52% and 36% less deformation was observed in the crown and springlines of the pip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bending moment values for the same critical section were determined to be 40% less in the crown and 28% less in the springline regions of the pipe.

WFDS를 이용한 풍속에 따른 산림화재 복사열 강도 평가 (Evaluation of the Radiant Heat Effec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Wind Velocity in Forest Fire by using WFDS)

  • 송동우;이수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1-7
    • /
    • 2013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등의 원인으로 산림화재가 대형화되고 있다. 산림이 국토의 약 63.7 %를 차치하며, 산림에 인접해서 산업시설 등의 주요시설들이 많은 국내의 경우에는 산림화재가 대형재난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관화로 발달한 산림화재에서 화염의 복사열이 미치는 피해영향거리를 풍속의 변화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영향거리를 분석하기 위하여 주변시설에 미칠 수 있는 복사열의 안전기준을 조사하였으며, 기준 복사열로 $5kW/m^2$$12.5kW/m^2$, $37.5kW/m^2$를 제시하였다. 산림화재 피해영향평가를 위해 FDS의 산림화재 확장 프로그램인 WFDS를 활용하였고, 해석조건으로 국내에 일반적으로 분포가 높은 산림조건에 대해 조사하여 이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는 풍속에 따른 복사열 최대영향거리로 제시하였다. 풍속 0~10 m/s에 있어서 풍속의 증가에 따라 영향거리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풍속 8 m/s에서 영향거리가 최대가 되었다. 또한, 최대 영향거리는 수목 연료의 함수율 증가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산림화재로 인한 주변시설의 피해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