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infection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28초

IgG와 IgM 항체를 유도하는 sparganum의 항원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및 전기영동에 의한 연구 (Immunohistoehemical Observation on the Antigens Inducing IgG and IgM Antibodies against Sparganum)

  • 김창환;최완성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4호
    • /
    • pp.339-354
    • /
    • 1991
  • 스파르가눔을 흰쥐와 흰생쥐에게 인긍 구강감염을 시켜 감염 2주후부터 숙주의 기생부위에서 충체와 함께 둘레의 조직을 적출하여 동결절편을 만들고 이것을 ABC면역효소표지법과 간접형광항체법 (IFA)으로 항원성분의 분포와 그 추이를 추구한 결과, IgG 항체에 의한 면역반응이 충체의 망상유조직에서 인지되었으며 특히 ABC면역효소표지법에 의하면 유조직 중 수질에서 보다 피질층에서 강한 반응성을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석회소체가 있는 곳에 염색 반응성이 강하였다. 감염후기에서는 스파르가눔의 외피 (tegument) 내외면과 충체를 둘러 싸고 있는 피낭의 막면, 피막 밖에 있는 섬유성 결합조직과 근조직의 간극에서도 항원성분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결합조직 사이에 분포된 소혈관의 둘레와 현관 외벽에 강한 반응이 나타났다. IgM 항체에 인지된 항원성분도 충체의 유조직층중 피질충에서 강한 반응이 나타났다. 스파르가눔의 추출 조항원성분과 배설분비 항원성분을 SDS-PAGE한 후 nitrocellulose 막에 영동전이하여 IgG, IgM 항체를 유도하는 항원성분을 ABC효소표지 항체 법으로 조사하였다. 스파르가눔의 추출 조항원 성분 중 흰쥐의 IgG 항체에 인지된 항원 성분은 23개이고 IsM 항체에는 15개의 항원성분이 인지되었다. 흰생쥐에서는 IgG 항체로 I6개 항원성분이, IgM 항체에 9개의 항원성분이 인지되었다. 배설분비 항원성분 중 횐쥐의 IgG 항체에 20개 항원성분이, IgM 항체에는 5개의 항원 성분이 인지되었다. 횐생쥐의 IgG 항체에 18개, IgM 항체에 11개의 항원성분이 인지되었다. 조창원성분 중 15개 항원성분과 배설분비 항원성분중 13개의 항원 성분이 흰쥐, 흰생쥐의 IgG 항체에 모두 교차반응이 일어났으며 IgM 항체에 반응한 항원성분중 IgG 항체와도 교차반응이 있었다.

  • PDF

15년간(1991~2005년) 우리나라 소아에서 분리된 폐구균의 혈청형 분포의 변화 (Changes of Serotype Distribution of Streptococcus pneumoniae Isolated from Children in Korea over a 15 Year-period(1991~2005))

  • 김소희;송은경;이준호;김남희;이진아;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3권2호
    • /
    • pp.89-98
    • /
    • 2006
  • 목 적 : 폐구균 단백 결합 백신이 개발되었지만 이에 포함되는 혈청형은 7가지로 한정되어 있어, 지역별 주요 폐구균 혈청형의 분포에 따라 백신의 유용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아에서 분리된 폐구균의 혈청형의 분포를 분석하고 지난 15년간 시기에 따른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1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 환자의 각종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폐구균 465균주의 혈청형을 quellung reaction으로 결정하였고, penicillin 감수성은 oxacillin 디스크 확산법으로 검사하였다. 연구기간은 1991~1995년(I분기), 1995~2000년(II분기), 2001~2005년(III분기) 등 3개의 분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 과 : 465균주의 주된 혈청형은 19F(22%), 23F(18%), 19A(10%), 6B(8%), 14(7%), 6A(7%), 9V(5%) 등이었고, 전체 균주의 79%이었다. 60개월 미만 연령군의 침습성 감염 검체에서 분리된 101균주에서의 주된 혈청형은 혈청형 23F(21%), 14(17%), 19F(15%), 19A(11%), 6B(10%), 6A(7%), 9V(7%) 등으로 총 70%이었다. 전체 균주에서 I, II, III의 각 분기별 혈청형 분포는 백신 혈청형에 포함된 혈청형 19F, 14가 감소하는 추세이었고, 교차 반응 혈청형에 포함된 혈청형 6A, 19A가 증가하는 추세이었다. 침습성 감염 균주에서 폐니실린 내성률은 백신 혈청형에서 92.6%, 교차 반응 혈청형에서 75.0%로 높았으나, 비백신 혈청형에서는 34.4%로 낮았다. 결 론 : 최근 15년간 소아의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폐구균의 혈청형은 주로 19F, 23F, 19A, 6B, 14, 6A, 9V 등이 가장 흔하였고, 최근에 혈청형 19A, 6A가 증가하는 추세이고, 혈청형 19F와 14가 감소하였다. 향후 백신 사용과 관련하여 국내 폐구균 혈청형의 분포에 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치위생과 실습환경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 출현 양상 (Isol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in a Dental Hygiene Practice Laboratory)

  • 이혜진;김민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83-187
    • /
    • 2008
  • 본 연구는 치과 진료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S. aureus균의 분포를 일부 치위생과 임상실습실을 통해 알아보고 교차감염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은 사람과 환경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사람은 실습학생과 실습환자, 환경은 임상실습실과 실습강의실, 소독실에서 시행되었으며 시간은 진료 전과 진료 중, 진료 후를 조사 평가 하였다. 1. 전체 균주 중 S. aureus는 환자의 구강에서 55%, 비강에서 35%, 구순에서 10%가 체취 되었으며 술자인 학생에게서는 구강이 50%, 비강이 40%, 구순이 15%가 체취 되어 사람에게서는 구강에서 가장 많은 S. aureus가 나타났으며 환자와 술자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임상 실습실의 시간과 장소에 따른 S. aureus의 분포는 전체적으로 진료 도중에 가장 많이 발견 되었으며 특히 라이트 손잡이와 머리 받침대, 타구에서 큰 차이를 보였으며(p < 0.001), 유니트 체어의 버튼과 손잡이 부분과 3-way syringe, 트레이 테이블, 문 손잡이 부분에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p < 0.05). 3. 실습 강의실은 수업 중 책상에서만 S. aureus의 분포가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전반적으로 마네킨과 의자, 창틀에서도 사람이 활동하는 시간에 S. aureus의 분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소독실의 경우 소독실로 들어가는 손잡이에서만 진료 도중 S. aureus의 분포가 유의하게 나타났고(p < 0.001) 소독기와 기구 트레이, 약제 트레이에서는 진료 도중에 S. aureus가 출현하지 않았다.

  • PDF

Knowledge and Awareness of Colorectal Cancer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t King Abdulaziz University, Jeddah, Saudi Arabia: a Survey-Based Study

  • Imran, Muhammad;Sayedalamin, Zaid;Alsulami, Salhah S;Atta, Magdi;Baig, Mukhti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5호
    • /
    • pp.2479-2483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explored the knowledge and awareness about colorectal cancer (CRC)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of one of the leading universities in Saudi Arabia, along with the mode of information access. Materials and Methods: The present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t the King Abdulaziz University, Jeddah, Saudi Arabia, among students of different faculties. The study questionnaire, containing 28 items, was adapted from surveys identified in the relevant literature. The CRC awareness questionnaire consisted of an awareness section (early CRC signs and symptoms, and risk factors) and a knowledge se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sion 21.0. Results: A total of 525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jority were females (63.0%) and approximately half (56.8%) were medical students.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82.3%) were aware of CRC, and 68% thought that CRC is a preventable disease. Regarding colorectal cancer screening tests, only one-third of students (33%) had actual knowledge, while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77.0%) thought that there are tests which help in early detection. Only 4% of the participants had a family history of CRC.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84%) thought that CRC is a disease that can be cured. Almost 50-60% participants had good awareness level regarding risk factors, and signs and symptoms. Regarding knowledge, participant responses varied for family history (52%), age (59%), chronic infection of the colon (72%), obesity and lack of exercise (66%). More than one-third of the students had received information material regarding CRC from their curriculum followed by social media (20.4%), and nearly 40% from other sources such as TV, hospital and mass media. Female participants had significantly better awareness in a few questions regarding CRC awareness as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between medical and non-medical students (p<0.001) in overall score of awareness and knowledge about CRC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gender-wise comparison. Conclusions: Knowledge and awareness of students about CRC were not up to the mark. Medical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had better knowledge in a few areas, but the overall situation is dismal.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Opisthorchis viverrini Metacercariae in Cyprinid Fish in Northeastern Thailand

  • Pinlaor, Somchai;Onsurathum, Sudarat;Boonmars, Thidarut;Pinlaor, Porntip;Hongsrichan, Nuttanan;Chaidee, Apisit;Haonon, Ornuma;Limviroj, Wutipong;Tesana, Smarn;Kaekews, Sasithorn;Sithithaworn, Paibo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6호
    • /
    • pp.703-710
    • /
    • 2013
  • To increase public health awareness for prevention of opisthorchiasis caused by eating raw freshwater fish,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Opisthorchis viverrini metacercariae (OV MC) was investigated in freshwater fish obtained from 20 provinces in northeastern Thailand between April 2011 and February 2012.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on 12,890 fish consisting of 13 species randomly caught from 26 rivers, 10 dams, and 38 ponds/lakes. Fish, were collected in each of the rainy and winter seasons from each province. Fish were identified, counted, weighed, and digested using pepsin-HCl. Samples were examined for OV MC by a sedimentation method, and metacercariae were identified under a stereomicroscope. OV MC were found in 6 species of fish; i.e., Cyclocheilichthys armatus, Puntius orphoides, Hampala dispar, Henicorhynchus siamensis, Osteochilus hasselti, and Puntioplites proctozysron from localities in 13 provinces. Among the sites where OV MC-infected fish were found, 70.0% were dams, 23.7% were ponds/lakes, and 7.7% were rivers. The mean intensity of OV MC ranged from 0.01 to 6.5 cysts per fish (or 1.3-287.5 cysts per kg of fish). A high mean intensity of OV MC per fish (>3 cysts) was found in 5 provinces: Amnat Charoen (6.5 cysts), Nakhon Phanom (4.3), Mukdahan (4.1), Khon Kaen, (3.5) and Si Sa Ket (3.4). In conclusion, OV MC are prevalent in natural cyprinid fish, with the infection rate varying according to fish species and habitats.

형산강 유역 포항공업지역 근로자에 있어서 간흡충 감염상 및 관련 요인에 관한 조사 연구 (A survery on the epidemiological factors of clonorchiasis in the pohang industrial belt along the Hyungsan River, Kyongsangbuk-do)

  • 김성숙;한미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4호
    • /
    • pp.213-220
    • /
    • 1990
  • 형산강 일대는 과거에 간흠충의 농후유행지로 알려진 지역으로, 이 강을 끼고 있는 포항 및 영일 일대 공업지역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여 최근에 간흠충 감염 여부를 검사하고 간흡충 감염과 관련된 사항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3,180 명을 대상으로 간흡충 항원을 이용하여 피내반응검사를 실시하였는데 26.2%인 834명이 양성이었다. 이들 양성자 중에서 598명을 검변하여 129명 (21.6%)의 간흡충란 양성자를 검출하였다. 그 이외에 편충 1.7%, 회충 0.3% 및 요꼬가와흡충 0.2%의 충란양성를을 얻었다. 2) 간흠충 감염자는 모두 20∼40대의 남자이었으며 띠감염 대조군에 띠해 유의하게 중학교 이하 지 학력자의 비율이 높았고, 형산강을 낀 포항시 및 영일군의 챙전 동(동)에 거주하는 사람의 띠율이 높았으며, 20년 이상 장기 거주자의 비율이 감염자 군에서 높았다. 약 20% 내외의 감띰자가 구충제를 점기 복음하였고, 간흡충 감염 여부에 관한 검사를 반은 적이 있고 기생충 감엄애 관한 교육을 받은 걱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조사 대상자가 기생충 관리에 대한 교육을 인하였다 3) 감염자 군에서 민물고기를 날로 먹는 습관을 가진 사람의 비율이 유의하게 많았으며 주로 등어, 입어 등을 소비하였다. 4) 감염자를 프라지관텐로 치료하고 1년 후에 검변한 결곽 치료자의 85.3%가 충란을 배출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면 형산강 일대에서 간흡충의 유행이 과거에 띠해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나 아직도 많은 사람이 감염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흡충의 빠른 근절을 위해서는 올바른 진단과 치로 및 기생충에 관한 교육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 PDF

소아 결핵 진단에서의 인터페론감마 분비 검사의 유용성 (Accuracy of an Interferon-gamma Release Assay to Detect Active Tuberculosis in Children: A Pilot Study)

  • 이영진;천베드로;위주희;박수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1호
    • /
    • pp.48-53
    • /
    • 2011
  • 목 적 : 활동성 결핵의 진단으로 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TST)가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민감도가 낮고 BCG 예방접종을 한 경우 교차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한계가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터페론감마검사(IGRA)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아 활동성 결핵을 진단하는 초기검사로서 IGRA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 법: 2007년 4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활동성결핵이 의심되어 입원한 18세 이하의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성별, 나이, BCG 접종력, 임상양상과 IGRA 검사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총 33명의 환아 중 9명이 활동성 결핵으로 진단되었고 ELISpot에 양성은 10명, 음성은 23명이었다. 활동성 결핵이었던 환아는 모두 양성이었다. 검사의 민감도는 활동성 결핵 환자에서 100%이었다. 23명의 환아가 ELISpot에 음성 반응을 보였는데 이들은 모두 임상적으로 결핵이 아닌 것으로 확진되었고 검사의 특이도는 95.8%였다. 결 론:소아의 활동성 결핵 진단에 있어 ELISpot은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Dynamics and Liver Disease Specific Aspects of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in Yunnan, China

  • Che, Yan-Hua;You, Jing;Chongsuvivatwong, Virasakdi;Li, Li;Sriplung, Hucha;Yan, Yuan-Zhi;Ma, Si-Jia;Zhang, Xiaoli;Shen, Ting;Chen, He-Min;Rao, Shao-Feng;Zhang, Ru-Y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2호
    • /
    • pp.4765-4771
    • /
    • 2014
  • Background: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CLD) may have compromise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has long been the leading cause of CLD including liver cancer and cirrhosis. Knowledge on different symptom profiles of CLD should help in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treatment and patient care plans. Objective: To access the facets of HRQoL in chronic liver diseases throughout their spectrum of severity. Materials and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the First Affiliated Hospital of Kunming Medical University in Yunnan Province of China. Both out- and inpatients undergoing treatment protocols for different HBV related liver disease states were consecutively collected from December 2012 to June 2013.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mean scores of EQ-5D and chronic liver disease questionnaire (CLDQ) among 5 disease groups.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predicting global CLDQ scores and the domains of CLDQ was analysed. Results: A total of 1040 patients including 520 without complications, 91 with compensated cirrhosis, 198 with decompensated cirrhosis, 131 with HCC and 100 with liver failure were recruited. All domains of CLDQ, the means of EQ-5D value and EQ VAS exhibited significant decline with worsening of disease severity from uncomplicated HBV to liver failure. The multivariate regression demonstrated the reduction of mean scores of CLDQ domain at advanced stage. Patients with liver failure and HCC had more HRQoL impairment than other disease states. No effect of patient gender was found. Patient age was associated with 'fatigue' and 'worry' domains (p=0.006; p=0.004) but not with other domains and global scores of CLDQ and ED-5D. Conclusions: The HRQoL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is greatly affected by disease states. Care for HBV-related diseases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outcomes of treatment strategies but also improvement in patient wellbeing.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무릎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Knee Balance Taping Therapy on Knee Pain and Range of Motion in the Elderly)

  • 김두미;김보경;권오윤;박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213-2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무릎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로 자료수집은 2014년 12월 5일부터 10일까지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노인여가복지시설을 이용하며 무릎 통증이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n=21)에게는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을 적용하였고, 대조군(n=19)에게는 테이핑 적용을 하지 않았다. 두 군의 무릎 통증 및 관절가동범위를 중재 전, 중재 1시간 후, 중재 24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test,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조군에 비해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 요법을 받은 실험군에서 무릎 통증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F=34.03, p<.001), 무릎 관절가동범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7.83, p=.006). 본 연구를 통해 슬관절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무릎 통증에 적용 가능한 독자적인 간호중재임을 확인하였다.

치아 외과적 발거 전 혈액검사의 필요성과 이의 정책적 제시 (Needs of Preoperative Blood Sample Test in Surgical Extraction: Suggestion of New Policy)

  • 서미현;김성민;오진실;명훈;이종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5호
    • /
    • pp.332-336
    • /
    • 2012
  • Purpose: The third molar extraction is one of the mostly performed procedures in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most of dental clinic or hospital, the third molar extraction used to be frequently performed in an office-based surgery, and most patients did not have specific medical history with young ages. Medical history taking are dependent on the only way by asking to the patients about their individual conditions. Therefore, as the specialists of the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the field of dentistry, we suggest a new policy that the preoperative lab must be performed routinely before extraction of the third molar. Methods: This study is based on 1,096 patients who have been managed with third molar extractions, from March 2008 to September 2011 by a single surgeon. The preoperative lab, including complete blood count, coagulation panel, chemistry and serology, was performed before any surgical procedures. The results were informed to the patients regardless of their abnormalities, and any abnormalities related to the surgical procedures, such as platelet count and coagulation factors, were checked and corrected safely. Results: Through the preoperative blood test, systemic diseases that the patients had not recognized before, such as anemia, leukopenia, fatty liver and chronic renal disease, were identified. Patients with acute or chronic leukemia, Hepatitis B, and HIV positive, were also detected as a small number. Also, the possibilities of the cross-infection between dentists and patients or between patients and patients, and any other emergency situations can be prevented; as well as the public health condition can be improved, too.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low cost preventive blood test and high quality of medical services. Conclusion: Therefore, routine medical lab testing, including history taking are needed before an office-based minor surgery, such as third molar extractions, and these results were suggested as a new policy in the field of denti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