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ross-bite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6초

20년전 악교정수술을 받았던 환자의 심한 전치부 반대교합의 해결을 위한 임플란트 치료 증례 (Implant treatment on anterior cross-bite of a patient who had orthognathic surgery 20 years ago)

  • 박광만;이성복;이석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45-253
    • /
    • 2019
  •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의 악교정 수술로 구강기능과 안모를 개선할 수 있다. 악골부조화가 클수록 술전 교정치료에 의한 치아 이동량이 더욱 커지기 때문에 치주조직에도 큰 변화를 줄 수 있는데, 특히 하악 전치부 치주조직의 파괴가 주로 발생된다. 이 보고는 20년전 골격성 3급 부정교합과 하악전돌로 악교정수술을 받은 후 하악 전치부의 심한 동요 및 반대교합의 해결을 위해 내원한 49세 여성환자의 증례로, Face Hunter, Plane System 및 ARCUS digma II를 이용하여 Top-Down concept의 개인 맞춤형 분석으로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하악 전치부 발치를 동반한 순측 치조골 성형술과 임플란트 식립 후 즉시임시치관에 의한 즉시부하를 시행하였다. 최종 보철물은 CAD/CAM에 의한 Zirconia 수복물로 제작 후 구강 내에서 나사유지형으로 장착하였다. 6개월이 경과한 현재까지 보철물의 파절과 동요 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선천성 양측성 구순구개열 환자의 구비강 연결 폐쇄를 위한 상악 이중관과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이용한 수복 증례 (Prosthetic treatment for patient with congenital b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to close oro-nasal communication using maxillary double crown and clasp retained removable denture)

  • 도석주;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18-23
    • /
    • 2019
  • 구순구개열의 존재로 인한 음식물 비강이동, 상악 열성장에 의한 교차교합, 발음, 심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악 구개열 근처 잔존치를 이중관으로 수복하고 구치부위는 구강형성(mouth preparation)을 이용한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연합하여 사용하였다. 구개열로 인한 점막 지지의 소실을 이중관으로 보충해 줄 수 있고, 지대치의 발치시 수리가 쉬운 장점도 있다. 본 증례는 상악에 몇 개의 남은 치아와 구순구개열을 가진 55세 여자 환자에서 이중관과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강비강 결손을 수복한 경우로 이중관과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연합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구순구개열 환자에서의 구강비강연결을 차단할 수 있고, 교차교합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었다. 또한 이중관 지대치의 이용과 구치부의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심미와 발음을 개선할 수 있었다.

A COMPARISON STUDY OF THE EFFECTS OF NASAL BREATHING DYSFUNCTION DUE TO ADENOID OBSTRUCTION ON DENTITION BY FACIAL TYPE

  • Lee, Hee Kyu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47-655
    • /
    • 1996
  • In discussing the effects of adenoids on the development of the face and denti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eir influence on the mode of breathing and to relate this to specific facial types and dentition. This study, therefore, assumed that the ability to adapt to individual's neuromuscular complex is various. And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duced nasal respiratory function on the development of dentition by facial type. This paper is based on children patients with enlarged adenoids and comparing them to data taken from a control group with normal respiratory function. Among the three facial types, the most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from dolichofacial typ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dolichofacial typ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labioversion of upper incisor, decrease in the width of upper arch, increase in overjet, increase in the rate of cross-bite, and increase in the height of palatal vaul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inclination of upper and lower incisors in mesofacial type, but the experimental group was observed to show decrease in the width of upper arch and increase in the height of palatal vault. On the other hand, in brachyfacial typ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dentition variables except showing linguoversion of upper incisor. The results, which were observed in dolichofacial type, consist with Nordlund's theory of Compression.

  • PDF

Onlay technique에 의한 매복중절치의 교정적 치험예 (A CASE OF PALATALLY IMPACTED INCISOR TREATED BY ONLAY TECHNIQUE WITH SURGICAL EXPOSURE)

  • 김광현;최목균;배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7-61
    • /
    • 1974
  • The patient, a girl of 19 years in good health, had a class I malocclusion. The maxillary left centra1 incisors and both lateral incisors had already erupted. But the space for the right central incisor was partially closed by the mesial drifting of the neighboring teeth. The caused a shift in the midline and a cross-bite relation on the incisors. X-ray examination revealed the presence of the right central incisor in the alveolar bone and odontoma just above the crown of the right central incisor. After enough space for the impacted incisor was created in the dental arch with a open-coil spring the rectangular incision was made. Removing the odontoma uncovered the flat surface of the labial aspect of the incisor. During the tooth had erupted of its own accord, any unnecessary force had been imposed on the tooth. When it was decided that the tooth should be brought out by the mechanical device, the gold cast onlay with hook was used and run a light elastic between this hook and the main arch wire. Finally the tooth was brought down to the arch level. The result was excellent. Fortunately the esthetic problem and any detrimental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make-up could be avoided.

  • PDF

뱀교상 후 발생한 연부조직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Soft Tissue Defects after Snake Bites)

  • 이장현;장수원;김철한;안희창;최승석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605-610
    • /
    • 2009
  • Purpose: Substantial tissue necrosis after snake bites requiring coverage with flap surgery is extremely rare. In this article, we report 7 cases of soft tissue defects in the upper and the lower extremities caused by snake bites, which needed to be covered with flaps. Among the vast mass of publications on snake bites there has been no report that focuses on flap coverage of soft tissue defects due to snake bite sequelae. Methods: Seven cases of soft tissue defects with tendon, ligament, or bone exposure after snake bites were included. All patients were males without comorbidities, the average age was 35 years. All of them required coverage with a flap. In 6 cases, the defect was localized on the upper extremity, in one case the lesion was on the lower extremity. Local flaps were used in 6 cases, one case was covered with a free flap. The surgical procedures included one kite flap, one cross finger flap and digital nerve reconstruction with a sural nerve graft, one reverse proximal phalanx island flap, one groin flap, one adipofascial flap, one neurovascular island flap, and one anterolateral thigh free flap. The average interval from injury to flap surgery was 23.7 days. Results: All flaps survived without complication. All patients regained a good range of motion in the affected extremity. Donor site morbidities were not observed. The case with digital nerve reconstruction recovered a static two point discrimination of 7 mm. The patient with foot reconstruction can wear normal shoes without a debulking procedure. Conclusion: The majority of soft tissue affection after snake bites can be treated conservatively. Some severe cases, however, may require the coverage with flap surgery after radical debridement, especially, if there is exposure of tendon, bone or neurovascular structures. There is no doubt that definite coverage should be performed as soon as possible. But we also want to point out that this principle must not lead to a premature coverage. If the surgeon is not certain that the wound is free of necrotic tissue or remnants of venom, it is better to take enough time to get a proper wound before flap surgery in order to obtain a good functional and cosmetic result.

최근 10년간 조선대학교 부속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에 관한 역학적 연구(1990${\sim}$1999) (An Epidemiologic study on the Orthodontic Patients Who Visited Department of Orthodontics,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Last 10 Years(1990${\sim}$1999))

  • 윤영주;김광원;황미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283-300
    • /
    • 2001
  • 본 연구는 부정교합 유형이나 지역 분포 및 시대적 변화 등을 파악하고 이해함으로써 환자의 적절한 의사소통을 위한 자료나 정보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진단과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다가오는 21세기에 변모될 치의학을 준비하고 발전의 도약을 마련하기 위해, 향후 부정교합 치료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1999년까지 10년간 조선대학교 부속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진단받은 부정교합 환자 중 진단용 모형과 진료기록부가 잘 보존된 3,070명을 대상으로 하여 부정교합의 양상과 내원환자의 분포 및 변화추세를 조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내원환자의 수는 매년 증가 추세에 있었으며, 남자가 43.5%, 여자가 56.5%로 여자가 남자보다 약 1.3배 더 많았다. 2. 연령별 분포에서 7세에서 12세 군의 내원율이 37.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13세에서 18세 군이 32.0%, 19세에서 24세 군이 19.6%, 25세 이상 군이 7.1%, 0세에서 6세 군이 3.4%으로 가장 낮았다. 3. Hellman 치령별 분포에서 남녀 모두 영구치열의 완성기인 IVa가 5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내원환자의 거주지 분포에서 광주시내 거주자가 내원환자의 71.0%로 10km이내가 56.3%, 20km이내가 14.7%였다. 5. 내원환자의 주소(chief complaint)별 분포에서 전치부 반대교합이 22.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악전돌은 12.6%, 상악전치전돌은 12.2%를 보였다. 6. Angle씨 부정교합 분류별 분포에서 제I급 부정교합이 38.9%, 제 II급 1류 부정교합은 20.7%, 제 II급 2류 부정교합은2.0%, 제III급 부정교합은 38.4%였으며, 남자에서는 제III급 부정교합이, 여자에서는 제I급 부정교합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7. 치아의 수직관계이상에 있어서 제II급 1류와 2류 부정교합에서는 과개교합이 24.3%와 56.7%로, 제III급 부정교합에서는 개교합이 2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8. 골격의 전후방적 부조화에 있어서 제II급 부정교합은 하악골 발육부전으로 인한 경우가 39.3%, 제III급 부정교합은 하악골 과다성장으로 인한 경우가 46.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9. 교정치료시 발치유무에 따른 분포에 있어서 발치 치료는 33.1%, 비발치 치료는 66.9%를 차지하였고, 발치치료 중 38.6%가 상하악 좌우측 제1소구치를 발거하였다. 10. 악교정 수술환자는 매년 계속 증가 추세에 있었으며, 전체 환자의 7.9%가 악교정 수술을 받았다.

  • PDF

급속 구개확장 후 하악골 폭경변화에 대한 콘빔씨티를 이용한 평가 (Changes in mandibular transversal arch dimensions after rapid maxillary expansion procedure assessed through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Baysal, Asli;Veli, Ilknur;Ucar, Faruk Izzet;Eruz, Murat;Ozer, Torun;Uysal, Tanca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0-210
    • /
    • 2011
  • Objective: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the changes in mandibular arch widths and buccolingual inclinations of mandibular posterior teeth after rapid maxillary expansion (RME). Methods: Baseline and post-expansion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CBCT) images of patients who initially had bilateral posterior cross-bite and underwent RME with a banded-type expander were assess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included 9 boys (mean age: $13.97{\pm}1.17$ years) and 11 girls (mean age: $13.53{\pm}2.12$ years). Images obtained 6 months after retention were available for 10 of these patients. Eighteen angular and 43 linear measurements were performed for the maxilla and mandible. Th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frontally clipped images at the following time points; before expansion (T1), after expansion (T2), and after retention (T3).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ssessed with paired sample $t$-test at $p$ < 0.05. Results: T1-T2 comparis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t-RME increases for all measurements; similarly, T2-T1 and T3-T1 comparis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The maxillary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showed decreases after expansion, and mandibular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increased after retention. Conclusion: All mandibular arch widths increased and mandibular posterior teeth were uprighted after RME procedure.

심한 골격성 class III 환자에서 교합양식을 고려한 총의치 수복증례 (Complete denture of a skeletal class III patient with occlusal scheme in consideration: A case report)

  • 임소은;권긍록;노관태;백장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0-55
    • /
    • 2018
  • 무치악 환자에서 악간관계의 부조화는 자주 관찰되며, 의치에서 인공치의 교합접촉 시 안정의 결여는 환자의 불편감과 점막 외상, 나아가서는 근육과 신경의 변화나 감정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기능 시 의치에 가해지는 교합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교합을 설정하는 것이 성공적인 의치 치료에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하악 전돌로 인한 상하악 악궁간의 심한 부조화를 가진 완전무치악 환자를 양악총의치로 수복하였다. 비정상적인 악간 관계를 보상하기 위해 구치부 교차교합으로 인공치를 배열함으로써 의치의 안정과 유지를 확보하였고, 환자 또한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하였다.

상악골 급속 확장 후 상악골 변화에 대한 정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분석에 관한 연구 (A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study on the change of maxilla by rapid palatal expansion)

  • 김영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75-381
    • /
    • 1999
  • 본 연구는 상악궁이 양측성으로 협소하여 구치부 교차 교합을 보이는 환자 30 명에서 정중구개봉합 급속 확장술을 시행한 후, 정모두부방사선 규격 사진을 이용하여 상악골 기저부의 횡적 확장 여부를 확인하고, 그 양을 정량적으로 계측하여 상하악골 횡적 부조화의 개선 정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중구개봉합 급속 확장술을 시행한 경우 남녀 모두 각각 상악골 기저부의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P<0.001) 2. 정중구개봉합 급속 확장술을 시행한 후 확장량에 있어서 남녀간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정중구개봉합 급속 확장술을 시행한 경우 사춘기 이전과 사춘기 이후 모두 각각 상악골 기저부의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P<0.001) 4. 정중구개봉합 급속 확장술을 시행한 후 확장량에 있어서 사춘기 이전과 이후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전치부 반대교합 아동의 비강통기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ASAL RESPIRATORY PATENCY IN THE GROWING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 안순찬;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9-203
    • /
    • 199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nasal respiratory patency and its correlation with skeletal components in growing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The subjects consisted of 40 control patients, 24 nose breathers with anterior crossbite and 18 mouth breathers with anterior crossbite. The mean age was 11.4 years in the control group, 10.1 years in nose breathing group and 9.5 years in mouth breathing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nterior cross bite group, and nasal respiratory airflow rates (N.R.A.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regardless of nasal decongestants application. 2. The N.R.A.R. of mouth breathers with anterior crossbite in mal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mouth breathers, but increased to the level of control group after nasal decongestants application. But in female group, the N.R.A.R. was significantly lower in mouth breathing group at both conditions. 3. Mouth breathing group showed smaller anterior vertical nasal cavity height (ANS-ANS'), lower upper anterior facial height ratios (N-sp'/N-Me) and higher maxillary occlusal plane ratios (OL-ML/ML-NL) than those of nose breathing group with anterior crossibte. 4. Items showing nasal height (ANS-ANS', PNS-PNS'), anterior upper facial height (N-sp') was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N.R.A.R. at 150 pascal in inspiration. But item showing maxillary occlusal plane ratios (OL-ML/ML-N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N.R.A.R. at 150 pascal in inspiration. 5. There were forward tongue position in mouth breathing group,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R.A.R. at 150 pascal in inspi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