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 drainage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9초

농업용수 수요량 분석을 위한 잠재증발산량 공간 분포 추정

  • 유승환;최진용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39-49
    • /
    • 2006
  • Weather station based PET(Potential Evapotrarspiration) analysis has often been inadequate to meet the needs of regional-scale irrigation planning. A map of continuous PET surface would be better a solution for the spatial interpolation considering spatial variations. Using a normal PET data collected at the 54 meteorological stations in Korea, 10-days spatial distribution PET map was created using universal Kriging(UK). These estimation methods were evaluated by both visual assessments of the output maps and the quantitative comparison of error measures that were obtained from the cross validation. The universal Kriging method showed appropriate results in spatial interpolation from weather station based PET to spatial PET with low statistical errors.

  • PDF

Ultimate outcomes of three modalities for non-surgical gallbladder drainage in acute cholecystitis with or without concomitant common bile duct stones

  • Wiriyaporn Ridtitid;Thanawat Luangsukrerk;Panida Piyachaturawat;Nicha Teeratorn;Phonthep Angsuwatcharakon;Pradermchai Kongkam;Rungsun Rerknimitr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4-112
    • /
    • 2022
  • Backgrounds/Aims: In moderate and high-surgical risk patients with acute cholecystitis, studies comparing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PC) vs. endoscopic transpapillary gallbladder stenting (ETGS) vs. endoscopic ultrasound-guided transmural gallbladder stenting (EUGS) are limited. Th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fficacy and recurrence of cholecystitis after PC, ETGS, or EUGS during follow-up. Methods: We reviewed 143 moderate and high-surgical risk patients with acute cholecystitis with or without concomitant common bile duct stones who underwent PC, ETGS, or EUGS at our hospital. Technical success rate (TSR), clinical success rate (CSR), and recurrence were compared. Results: TSR in PC or EUGS group was higher than that in the ETGS group for those with concomitant common bile duct stones (100% vs. 100% vs. 73.2%; p = 0.07) and for those without concomitant common bile duct stones (100% vs. 100% vs. 77.3%; p < 0.001). CSR in ETGS or EUGS group was higher than that in the PC group for those with concomitant common bile duct stones (96.2% vs. 100% vs. 87.5%; p = 0.41) and for those without concomitant common bile duct stones (94.1% vs. 100% vs. 63.0%; p = 0.006). Using Kaplan-Meier analysis, the overall recurrent risk was the highest in the PC group (p = 0.004). Conclusions: In moderate and high-surgical risk patients with acute cholecystitis, EUGS provides significantly higher CSR with comparable TSR to PC. Thus, ETGS should be the first choice in those with concomitant common bile duct stones. Among the three patient groups, those who received PC had the highest rate of recurrence.

Minimally Invasive Cardiac Surgery versus Conventional Median Sternotomy for Atrial Septal Defect Closure

  • Jung, Joon Chul;Kim, Kyung-Hwa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9권6호
    • /
    • pp.421-426
    • /
    • 2016
  • Background: Median sternotomy is the standard approach for atrial septal defect (ASD) closure. However, minimally invasive cardiac surgery (MICS) has been introduced at many centers in adult/grown-up congenital heart patient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sults of right anterolateral thoracotomy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dian sternotomy (CMS) for ASD closu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60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isolated ASD closure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13 (42 in the CMS group, 18 in the MICS group). Preoperative, operative, and postoper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compared between the 2 groups. Results: The MICS group was younger (44.6 years vs. 32.4 years, p=0.002) and included more females (66.7% vs. 94.4%, p=0.025) than the CMS group. Operation time (188.4 minutes vs. 286.7 minutes, p<0.001), cardiopulmonary bypass time (72.7 minutes vs. 125.8 minutes, p<0.001), and aortic cross-clamp time (25.5 minutes vs. 45.6 minutes, p<0.001)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the MICS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rbidity and mortality between groups. Only chest tube drainage in the first 24 hours (627.1 mL vs. 306.1 mL, p<0.001) exhibit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MICS via right anterolateral thoracotomy is an alternative choice for ASD closure. The results demonstrated similar morbidity and mortality between groups, and favored MICS in chest tube drainage in the first 24 hours.

저층수 배출식 가동보 설치에 따른 흐름특성 (The Flow Characteristic Variation by Installing a Movable Weir having Water Drainage Equipment on the Bottom)

  • 최계운;변성준;김영규;조상욱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17-122
    • /
    • 2008
  • 사람들은 수로 또는 하천에서 취수를 목적으로 하천을 횡단하는 보와 같은 수중 구조물을 설치하여 물을 임시 저류시켜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구조물에 의하여 하천의 흐름이 정체되어 수질사고 및 홍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가동보 중 저층수 배출식 공압식 가동보를 실험수로에 설치하여 가동보 설치각도 변화에 따른 흐름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저층수 배출을 위해 설치해 놓은 저층수 유입구에 따라 변화하는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보 설치 각도에 따라 저층수 배출장치로만 물을 배제시킬 경우 설치각도의 증가에 따라 유량은 점차 증가하며, 저층수 유입구의 유무 따른 흐름특성 변화는 유속의 경우 최대 21.9배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수위변화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 상류 부분에서 국부적으로 평균 이상의 수위 감소를 나타내고 있다.

Use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evaluation of therapeutic response in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A systematic review

  • Forte, Antonio Jorge;Boczar, Daniel;Kassis, Salam;Huayllani, Maria T.;McLaughlin, Sarah A.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7권4호
    • /
    • pp.305-309
    • /
    • 2020
  • Breast cancer treatment-related lymphedema (BCRL) is a common comorbidity in breast cancer survivors. Although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s widely used to evaluate therapeutic response of patients with various medical conditions, it is not routinely used to evaluate lymphedema patients.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to identify studies on the use of MRI to evaluate therapy for BCRL. We hypothesized that MRI could provide information otherwise not possible through other examinations. On October 21, 2019,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n the PubMed/MEDLINE and Scopus databases, without time frame or language limitations, to identify studies on the use of MRI to evaluate therapy for BCRL. We excluded studies that investigated other applications of MRI, such as lymphedema diagnosis and surgical planning. Of 63 potential articles identified with the search, three case series fulfilled the eligibility criteria. In total, 53 patients with BCRL were included and quantitatively evaluated with MRI before and after manual lymphatic drainage. Authors used MRI or MR lymphagiography to investigate factors such as lymphatic vessel cross-sectional area, tissue water relaxation time (T2), and chemical exchange saturation transfer. The only study that compared MRI measurement with standard examinations reported that MRI added information to the therapy evaluation. MRI seems to be a promising tool for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rapeutic response in patients with BCRL. However, the identified studies focused on only manual lymphatic drainage and were limited by the small numbers of patients. More studies are necessary to shed light on the topic.

한국 산맥론(I) : DEM을 이용한 산맥의 확인과 현행 산맥도의 문제점 및 대안의 모색 (Discussions on the Distribution and Genesis of Mountain Ranges in the Korean Peninsular (I) : The Identification Mountain Ranges using a DEM and Reconsideration of Current Issues on Mountain Range Maps)

  • 박수진;손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26-152
    • /
    • 2005
  • 현재 한국 사회에서는 산맥의 개념 규정에 대한 혼동과 함께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산맥의 존재 여부에 대해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리학적 산맥과 유역분수계 개념의 차이점 그리고 산맥 개념의 사회적 논란에 대한 원인 분석을 바탕으로, 산맥의 정의 및 기존 산맥도와 관련된 한반도 지체구조와 산맥의 형성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반도의 DEM에서 추출한 지표곡면도와 음영기복도, 그리고 지체구조선과 지질분포도를 이용하여 현재 및 과거에 표기되어 왔던 산맥들의 공간적인 분포를 비교$\cdot$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현재 일반에게 알려져 있는 산맥들의 실체를 대부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 산맥은 한반도의 지형적인 특성을 결정해 온 지체구조의 발달사와 지형발달과정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틀을 제시해 주고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하지만 한반도의 산맥들은 형태와 성인적 특성에서 매우 다양하다. 현재 표기되고 있는 산맥들을 성인에 따라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형성 시기와 성인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1) 제3기 동해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한반도 전체의 융기 현상에 의해 형성된 융기산맥(함경산맥, 낭림산맥, 태백산맥), 2) 제3기 융기운동에 의해 2차적으로 나타난 단층운동과 융기 현상으로 형성된 산맥(마천령산맥, 소백산맥, 북서백산맥), 3) 중생대 광범위한 화강암의 관입에 의해 그 근간이 만들어진 습곡산맥(적유령산맥, 광주산맥, 차령산맥, 노령산맥), 4) 제3기 이후 하천의 침식으로 형성된 산지 중에서 유역의 분수계를 이루는 분수계형 침식산맥(마식령산맥, 묘향산맥), 5) 제3기 이후 하천의 침식에 의해 남겨진 분수계들을 하천과 수직으로 연결한 침식면형 침식산맥(강남산맥, 언진산맥, 멸악산맥)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산맥의 유무에 관한 논란은 부분적으로는 산맥의 설정 목적과 성인에 대한 지리학계의 명확한 설명이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성인별로 분류된 산맥을 표현 목적과 사용되는 지도의 축척, 그리고 교육의 목적에 따라 계층적으로 제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일반인들의 산맥에 대한 이때를 높이기 위한 산맥의 성인과 형태에 관한 효과적이고 광범위한 교육과 홍보가 요구된다.

한강유역 한강유출량 산정 (Estimation or Threshold Runoff on Han River Watershed)

  • 김진훈;배덕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2호
    • /
    • pp.151-16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의 수문학적 구성요소인 한계유출량을 Manning의 제방월류 유량, 지형기후 학적 순간판위도 기법을 활용하여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산정하였다. 한강유역의 3" DEM자료를 이용하여 미세소유 역 구분($1.02\~56.41km^2$), 하도 및 하도경사를 GIS로부터 추출함으로써 한계유출량 산정을 위한 유역 매개변수를 구축하였다. 또한 유역 및 하도간의 지역적 회귀분석을 위해 실측 소하천 하도단면자료를 수집하여 통계학적으로 최적의 회귀식을 추정하고, 이를 통해 한계유출량 계산의 하도 입력자료를 생성하였다. 이러한 유역 및 하도 매개변수를 통해 한강 headwater 유역에서 산정된 한계유출량은 $2mm/h\~14mm/6hr$의 범위를 보이며, 지속시간 1시간인 경우 $97\%$가 8m보다 작은 값이고 6시간인 경우 $98\%$가 14mm보다 작은 값으로 산정되었다. 계산된 한계유출량과 유역 및 하도 매개변수사이의 민감도는 유역면적과 같은 유역의 지형인자보다는 하도경사, 하폭, 마찰경사와 같은 하도 지형인자에 비교적 큰 변동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강유역 한계유출량을 국외의 타 연구사례와 비교 한 결과 그 계산결과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달성폐광산 산성광산배수의 발달특징과 슈베르트마나이트의 역할 (Characteristics of the Dalseong Acid Mine Drainage and the Role of Schwertmannite)

  • 추창오;정교철;이진국
    • 지질공학
    • /
    • 제17권2호
    • /
    • pp.187-196
    • /
    • 2007
  • 달성 광산의 산성광산배수의 특징과 슈베르트마나이트(schwertmannite)의 환경지질학적인 의미와 역할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폐광석의 변질양상, 수질과 하상침전물의 특징을 입도분석, 수질분석, XRD, SEM, 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달성광산의 폐수처리장과 하천의 산성광산배수는 하류로 가면서 pH와 전기전도도(EC)가 감소한다. 폐광석의 황철석이 용해된 부분에서 황은 자형의 등립질, 치밀한 집합체로, 침철석은 길게 신장된 입자가 달라붙어 십자가, 별모양, 불가사리형의 집합체를 이룬다. Eh-pH 다이아그램 상에서 수질은 슈베르트마나이트와 페리하이드라이트의 안정영역에 놓여 있다. 하상침전물은 적갈색인 경우 대체로 슈베르트마나이트, 황갈색내지 노랑갈색인 경우 침철석으로 구성된다. 하강 침전물의 입도는 $d(0.1)0.861{\mu}m{\sim}3.769{\mu}m,\;d(0.5)\;3.984{\mu}m{\sim}15.255{\mu}m,\;d(0.9)$$9.875{\mu}m{\sim}56.726{\mu}m$범위이다. 슈베르트마나이트의 결정형은 등립질의 구상체가 특징적이다. 슈베르트마나이트 구상체 표면에 발달하는 침상돌기체는 폭이 100 nm, 길이 $200{\sim}300nm$이며, 이들은 방사상으로 성장한다. 국내 여러 산성광산배수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적갈색, 황갈색의 침전물에는 슈베르트마나이트가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AMD의 중금속 저감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감정을 통하여 슈베르트마나이트의 존재여부와 상안정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홍수(洪水)터의 통수능(通水能)에 관한 연구(研究) (A Study on Carrying Capacity for Floodplain)

  • 안상진;이재경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121-129
    • /
    • 1987
  • 본(本) 논문(論文)은 홍수(洪水)터 관리면(管理面)에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하는 하천단면(河川斷面)에서 유량(流量)의 분포형태(分布形態)와 홍수(洪水)터에 영향을 주는 여러 인자(因子)들에 대해 분석(分析)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만제수위(滿堤水位)의 재현기간(再現期間)은 금강유역(錦江流域)에서는 1~2.5년(年)에 해당됨을 알았으며, 또한 $Q_{100}$, 유역면적(流域面積), 하천(河川)길이 들이 홍수(洪水)터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인자(因子)들로 밝혀졌으며, 휴식공간(休息空間)을 가진 공주지점(公州地點)의 통수능(通水能)은 금강(錦江)에 있어서의 다른 자기수위표지점(自己水位標地點) 값보다 더 작으며, 이는 복합단면(複合斷面)이 홍수(洪水)터에 있어서의 통수능(通水能) 분포(分布)에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이 됨을 알 수 있다.

  • PDF

Titanium Mesh Cage for Anterior Stabilization in Tuberculous Spondylitis : Is It Safe?

  • Bak, Koang-Hum;Cheong, Jin-Hwan;Kim, Jae-Min;Kim, Choong-Hyun;Kim, Seung-Bum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0권6호
    • /
    • pp.412-418
    • /
    • 2006
  • Objective : The safety of titanium metal cages in tuberculous spondylitis has not been investigated. We evaluated the outcome and complications of titanium mesh cages for reconstruction after thoracolumbar vertebrectomy in the tuberculous spondylitis. Methods : There were 17 patients with 18 operations on the tuberculous spondylitis in this study. Sixteen patients were operated with anterior corpectomy and reconstruction with titanium mesh cage followed by posterior transpedicular screw fixations on same day, two pateints were operated by either anterior or posterior approach only. After the affected vertebral body resection and pus drainage from the psoas muscle, titanium mesh cage, filled with morselized autogenous bone, was inserted. All the patients had antituberculosis medication for 18 months. The degree of kyphosis correction and the subsidence of cage were measured in the 15 patients available at a minimum of 2 years. Outcome was assessed with various cross-sectional outcome measures. Recurrent infection was identified by serial ESR[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P[Cross Reactive Protein]. Results : There was no complication from the use of a titanium mesh cage. Recurrent infection was not detected in any case. Average preoperative of $9.2^{\circ}$ was reduced to $-2^{\circ}$ at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and on final follow up period kyphotic angle was measured to be $4.5^{\circ}$. Postoperatively, subsidence was detected in most patients especially at ambulation period, however further subsidence was prevented by the titanium mesh cage. Osseous union was identified in all cases at the final follow-up. Conclusion : The cylindrical mesh cage is a successful instrument in restoring and maintaining sagittal plane alignment without infection recurrence after vertebrectomy for tuberculous spondyl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