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eping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9초

무등산 암설지형의 유형과 특징 (Type and Characteristics of Debris Landform in Mt. Mudeung)

  • 오종주;박승필;성영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3-267
    • /
    • 2012
  • 본 연구는 무등산에 분포하는 암괴류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무등산의 암설지형은 암괴노출형, 노출혼합형, 거력잠재형, 기후단구 노출혼합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암괴노출형의 대부분은 암괴류의 형태를 보인다. 암설지대 암괴의 공급은 암질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안산암질이 우세한 암설은 암설지대 상부의 주상절리 또는 단애에서 암괴의 이동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되고. 화강암질은 심층풍화된 암괴가 사면이동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암괴의 이동방식은 암괴의 낙하보다는 미끄러짐이 우세했던 것으로 추론된다. 그 이유는 단애와 암설지대 사이에 $10^{\circ}$ 내외의 완만한 사면에서 암괴의 장거리 이동이 불가능하고, 거력을 이동시킬만한 수류가 없고, 암설의 장축 방향성은 사면 최대경사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화강암과 안산암질 암설이 만나는 지역에서는 화강암이 하부에 안산암질이 상부에 있으며, 솔리플럭션과 동결포행이 활발한 시기에 화강암질 매트릭스가 평탄성이 현저한 사면을 형성한 후 안산암질 거력이 그 위를 덮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기후환경을 고려할 때 무등산 암설지대의 암괴는 이동이 거의 없다. 우주기원 동위원소 36Cl 연대측정 결과로 추론할 때, 최소 50,000년 전 암괴가 단애로부터 떨어져 나와 하부에 이동되었음을 의미하고 있다. 상부는 각력이 우세하고, 하부는 원마도가 좀 더 높은 아원력이 우세한 점을 고려할 때, 암설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어졌을 것으로 추론되며, 노출연대를 고려했을 때, 안정화된 화석지형이라고 추정된다.

  • PDF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품질 변화 (Growth and Quality Changes of Creeping Bentgrass by Application of Keratin Amino Acid Fertilizer)

  • 조기웅;김영선;함선규;이재필;김두환;김우성;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60-267
    • /
    • 2016
  • 아미노산은 식물에서 질소 동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대사물질이며, 단백질을 발효하여 얻어진 부산물은 아미노산비료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의 시비에 따른 잔디의 생육과 품질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잔디 줄기 밀도, 잔디 예지물, 잔디 중 양분 함량 및 양분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구(NF), 대조구(CF),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추천량처리구(CKF)와 배량처리구(2CKF) 및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단독 처리구(KF)로 구분되었다.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처리에 후 처리구별 토양화학성, 잔디의 엽색지수 및 엽록소지수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잔디 줄기 밀도와 잔디 예지물은 케라틴 아미노산비료를 시비한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 단독처리구나 복합비료와 함께 처리한 처리구에서 각각 25~35%와 11% 정도씩 증가하였다. 잔디중 양분 함량은 처리구별로 비슷하였으나 잔디의 양분 흡수량은 질소와 칼륨이 CKF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크리핑 벤트그래스에서 케라틴 아미노산 비료의 시비는 잔디의 질소와 칼륨의 흡수를 촉진함으로써 잔디 줄기 밀도와 생육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암비탈면녹화에 음식물퇴비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effect of food waste compost for rock cut-slope revegetation)

  • 조해용;장필규;김형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96-301
    • /
    • 2005
  • 본 연구는 암비탈면 녹화시 음식물퇴비가 식생기반재료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실시되었다. 녹화용 식생으로 외래초종 Creeping red fescue(Festuca rubra), Perennial ryegrass(Lolium perenne) 2종을, 재래 초목본 쪽제비싸리(Amorpha fruticosa), 낭아초(Indigofera pseudo-tinctoria) 2종을 선정하여, 염분농도와 퇴비 사용량에 따른 종자별 발아특성 및 인공비탈면에서의 혼파실험을 통한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염분농도에 따른 발아특성은 쪽제비싸리, 낭아초, Perennial ryegrass의 경우 $0.4\%$ 이상 NaCl 농도에서 발아율과 유아 및 유근길이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Creeping red fescue는 $0.2\%$ 이상 NaCl 농도에서 매우 급격한 생육저해가 일어났다. 퇴비 시용량에 따른 발아특성은 쪽제비싸리와 낭아초의 경우 모든 실험구에서 $45\%$ 내외의 발아를 보였으며, Perennial ryegrass는 퇴비시용량이 많을수록 초장의 성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피복률은 Mixture III가 $89.3\%$로 가장 높았으며, Mixture III > Mixture IV > Mixture II > Mixture I순이었다. Mixture I은 30일 후 $47.0\%$를 보였으나 45일 후에는 $64.1\%$로 높아졌다. 외래초종의 생육이 활발한 실험구 일수록 피복률이 높은 관계를 보였다.

  • PDF

Bispyribac-sodium 처리에 의한 새포아풀(Poa annua L.) 방제 (Control of Annual Bluegrass(Poa annua L.) by Bispyribac-sodium)

  • 박남일;이인용;박재읍;김호준;전재철;소립원 승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7-165
    • /
    • 2006
  • 새포아풀을 선택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약제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bispyribac-sodium의 살초스펙트럼을 통한 새포아풀과 벤트그래스의 살초선택성을 생육기별로 조사하였다. bispyribac-sodium 토양처리에 의한 공시 초종의 방제가는 전체적으로 낮았으나 특이적으로 냉이에 대해서는 90% 이상의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bispyribac-sodium 경엽처리는 큰참새피, 그령, 소리쟁이 등 다년생잡초와 벤트그래스를 제외한 공시초종에서 높은 생육억제 효과를 보여 화본과 및 광엽잡초 등 넓은 살초스펙트럼을 가지고 있고 벤트그래스와 새포아풀 간에 선택적인 방제제로써의 적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트그래스와 새포아풀의 생육기별 약제반응 차이를 조사한 결과, 벤트그래스는 새포아풀에 비해 모든 생육기별 처리에서 높은 $GR_{50}$ 값을 보여 동일한 약량에서 새포아풀이 벤트그래스보다 bispyribac-sodium에 대하여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새포아풀과 벤트그래스 간 출수후 처리 28일후 조사에서는 14일 후 조사결과보다 약 2배 높아진 6.8배의 높은 선택성 차이를 보였다.

답압조건의 크리핑 벤트그라스 훼어웨이에서 여러 가지 잔디관리방법이 엽조직 및 토양 질소함유량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 (Traffic and Cultural Practice Interactions on the Leaf and Soil Nitrogen Contents of 'Pennccross'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Fairway Turf)

  • 김경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3-126
    • /
    • 1998
  • Wear simulator로 답압이 가해진 크리핑 벤트그라스 (Agrostis palustris Huds.) 훼어웨이에서 관수방법·예지물 순환 및 질소시비수준의 여러 가지 잔디관리 요인이 엽조직 및 토양질소 함유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포장은 'Penncross'크리핑 벤트그라스 반디밭으로 1988년에 sharpsburg silty-clay loam (Typic Argiudoll) 토양에 조성하였으며, 실험은 1989년부터 1991년까지 3년간 수행하였다. Split-split-plot 실험디자인을 사용하여 주구에 daily or biweekly irrigation, 세구에 clipping return or removal, 세세구에 low-N (5g), moderate-N (15g), high-N (25g N m-2 yr-1)처리를 난괴법 3 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생육기간중 잔디예초는 12mm 예고로 일주일에 4번 실시하였고, 기타 잔디관리는 high maintenance 수준으로 유지되는 한지형 양잔디 훼어웨이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엽조직 및 토양샘플은 1989년 2회, 1990년과 1991년에는 3회씩 채취하여, 네브라스카 주립대 토양식물분석실에서 분석하였다. 답압이 가해진 크리핑 벤트그라스 훼어웨이 잔디에서 엽조직 질소함유량은 여러 가지 잔디관리 방법간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었다. 1989년 나타난 질소시비수준과 관수방법간의 상호작용에서 daily irrigation 지역의 엽질소 함유량은 질소시비량이 low-N 수준에서 high-N 수준으로 증가함에 따라 3.51%에서 3.94%로 quadratic pattern으로 증가하였다. High-N 처리지역에서 엽질소 함유량은 daily irrigation 관수방법이 biweekly irrigation 관수방법보다 약 4% 정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엽질소 함유량은 특히 질소시비 수준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 질소시비량이 low-N 수준에서 high-N 수준으로 증가함에 따라 3.50%에서 4.25%로 quadratic pattern으로 증가하였고, 1991년에는 4.20%에서 4.60%까지 linear pattern으로 증가하였다. High-N 처리구의 엽조직 질소함유량은 low-N 처리구와 비교시 1990년에는 21%, 1991년에는 10%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잔디조성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엽조직의 질소함유량도 증가하였다. Low-N 수준에서 1991년 엽질소 함유량은 1990년에 비해 20% 증가하였으며, high-N 수준에서는 1991년의 엽조직 질소함유량이 1990년 보다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잔디조성후 경과기간에 따라 연간 시비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새로 조성된 잔디밭과 조성된 지 어느 정도 지난 기존 잔디밭간에 차별화된 관리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잔디관리에서 답압이 가중되는 정도에 따라 지역별로 장기간 차별화된 관리 접근을 해야하고, 정기적으로 토양 및 엽분석을 실시해서 시비프로그램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결과 나타난 잔디관리 요인간 상호작용효과는 잔디관리시 여러 가지 관리방법에 따른 효과를 입체적으로 분석해서 해당 골프장 현실에 적합한 통합적인 잔디관리(integrated turfgrass management)의 필요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겠으며, 또한 답압가중 정도에 따른 잔디관리요인간의 반응효과차이는 향후 무답압 지역에서 실시된 연구결과를 답압을 받고 있는 경기장 및 골프장 등의 잔디밭에 적용할 경우에는 주의깊게 데이터 활용을 해야 되리라고 사료되었다.

  • PDF

유전자변형 식물체 연구에서의 안전관리 고찰 (Safety management of living modified plants: A review)

  • 이범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163-170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LMO (Living Modified Organisms)의 이용과 상업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내에서 LM 식물의 상업적 재배는 아직 이뤄지고 있지 않으나 연구개발 및 수입, 연구시설의 신고 등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LM 식물은 개발 및 환경위해성 평가 단계에서 온실과 야외 포장에서의 실험이 요구되나 개발 중인 단계에서는 아직 환경에 대한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아 환경방출에 대한 안전관리가 요구된다. LM 식물의 개발 연구는 일반적으로 실험실, 격리온실, 격리포장에서 수행되며 각 연구 구역마다 LMO법 통합고시 등에서 안전관리 규정이 마련되어 있다. LM 식물 연구 사고사례 중 일본의 LM 페튜니아 유출 사고는 LM 식물 연구 도중 교잡 가능 거리에 있는 일반 식물은 LM 식물로 간주하여 취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미국의 LM creeping bentgrass 유출 사례는 바람 등에 의해 종자의 산포가 용이한 LM 식물의 경우 종자 비산에 대한 강력한 방지 대책 수립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국내 LM 들잔디 유출과 LM 면화 유출 사례는 빗물 등에 의한 식물 영양번식체 유출 및 LM 종자 혼입에 대한 안전 대책 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미승인된 LM 식물의 환경방출에 따른 확산은 제거와 복구에 많은 시간과 비용,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최근 생명공학기술을 적용하는 LM 식물들이 다양화됨에 따라 개발자 및 연구자는 환경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파악하고 환경방출 방지 등 철저한 안전관리가 요구되는 바이다.

일반 크리프 거동을 고려한 균열 구조물 C*-적분 예측 (Estimation of C*-Integral for Defective Components with General Creep-Deformation Behaviors)

  • 김영진;김진수;김윤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6권5호
    • /
    • pp.795-802
    • /
    • 2002
  • For assessing significance of a defect in a component operating at high (creeping) temperatures, accurate estimation of fracture mechanics parameter, $C^{*}$-integral, is essential. Although the J estimation equation in the GE/EPRl handbook can be used to estimate the $C^{*}$-integral when the creep -deformation behavior can be characterized by the power law creep, such power law creep behavior is a very poor approximation for typical creep behaviors of most materials. Accordingly there can be a significant error in the $C^{*}$-integral. To overcome problems associated with GE/EPRl approach, the reference stress approach has been proposed, but the results can be sometimes unduly conservative. In this paper, a new method to estimate the $C^{*}$-integral for deflective components is proposed. This method improves the accuracy of the reference stress approach significantly. The proposed calculations are then validated against elastic -creep finite element (FE) analyses for four different cracked geometries following various creep -deformation constitutive laws. Comparison of the FE $C^{*}$-integral values with those calculated from the proposed method shows good agreements.greements.

사초과 올챙이골속의 한국 미기록종: 고창고랭이 (Schoenoplectiella ×uzenensis (Ohwi ex T. Koyama) Hayasaka) (First record of Schoenoplectiella ×uzenensis (Ohwi ex T. Koyama) Hayasaka (Cyperaceae) from Korea)

  • 김종환;김민하;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67-271
    • /
    • 2016
  • 한국 미기록종인 고창고랭이(Schoenoplectiella ${\times}$uzenensis (Ohwi ex T. Koyama) Hayasaka)를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의 저수지에서 발견하였다. 고창고랭이는 짧게 기는 지하경이 있고 소수가 1-3개가 달리는데 반하여, 송이고랭이(S. triangulata)는 지하경이 아주 짧고 줄기가 빽빽이 모여나며 소수가 5-20개가 달리고, 제주올챙이골(S. lineolata)은 지하경이 길게 발달하고 소수가 1개가 달려 뚜렷이 구별된다. 이 미기록종의 국명은 고창군에 자라기 때문에 '고창고랭이'로 하였고, 고창고랭이에 대한 기재, 도해, 칼라도판 및 근연종 사이의 차이점을 검색표와 표로 제시하였다.

초음파에 의한 필렛 용접힐부의 표면결함 검출능에 관한 실험적 검증 (Experimental Verification on the Detectability of Surface Flaws at Fillet Weld Hills by Ultrasonic Method)

  • 박익근;이철구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18권1호
    • /
    • pp.46-51
    • /
    • 2000
  • Ultrasonic nondestructive evaluation (UNDE) technique is commonly used for detecting inner defects in the materials. Recently, new methods are trying to apply for detecting surface and subsurface flaws using Rayleigh wave or creeping wave. These techniques, however, have following problems. Echo amplitude is remarkably affected by the surface conditions and discrimination of echo pattern is usually difficult because shear wave propagate in the material at the same time. We can apply surface SH-wave(which is horizontally polarized shear wave traveling along near surface layer) technique to detect surface flaws. In this paper, directivity, distance amplitude characteristics and detectability of surface flaws at fillet weld hills of the 5 MHz and 2 MHz surface flaws at fillet weld hills of the 5 MHz and 2 MHz surface Sh-wave a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out that these techniques are valuable for the detection of fatigue cracks at fillet weld heels which can not be detected by other ultrasonic techniques such as angle beam technique and which are inaccessible for non-destructive testings e.g. MT(magnetic particle testing) or PT(liquid penetrant testing).

  • PDF

표면 SH파의 음압 통과율과 에코 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검증 (Experimental Verification on the Stability and Sound Pressure Transmission Coefficient of Surface SH-Wave)

  • 이명호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23-30
    • /
    • 2003
  • It is very important to detect and evaluate the surface or subsurface flaws because of their influence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s. Rayleigh wave and creeping wave are commonly used for the detection of surface and subsurface flaws. These techniques, however, have following problems. Each amplitudes are remarkably affected by the surface condition and evaluation of echo pattern is usually difficult because shear wave mode propagate in the material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hand, surface SH-wave which is horizontally polarized shear wave traveling along near surface layer is an attractive technique for the surface or subsurface material characterization and this technique is useful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In this paper, The stability and transmission coefficient of SH waves through a viscous fluid layer is theoretically studied and simulated. Its results agreed well with the theoretical expectation for the experimental verificati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viscosity of couplants, thickness of couplant and surface roughness are closely related to transfer efficiency in surface SH angle beam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