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thinking skill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2초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일반화학실험 교수 전략 개발 및 적용 효과(제I보) (The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y for the Enhancement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s through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and the Effects of It's Applications(I))

  • 방담이;박지은;송주연;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290-303
    • /
    • 2011
  • 발산적 사고력과 수렴적 사고력 신장 모형을 만들고 난 후에 현행 과학 탐구 교수 전략에 함께 사용한 새로운 수업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창의적 사고력은 협의의 측면으로 발산적 사고력이다. 그리고 과학과에서의 문제 해결력은 탐구 능력이며 수렴적 사고인 비판적 사고력이다. 이러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지향 탐구 수업 모형에 의한 수업 전략을 사범 대학 학생들에게 1학기 동안 적용하여 그 적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첫 번째, 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인 발산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하위 요소로는 문제를 인식하는 기능, 가설을 설정하는 기능, 자료를 변환하고 해석하는 기능에 있어서 발산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두 번째, 이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인 탐구 능력에서의 비판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하위 요소로는 가설을 설정하는 기능, 자료를 변환하고 해석하는 기능, 결론을 도출하는 기능에 있어서 유의미하게 비판적 사고력이 신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이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도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구체적으로 변인 통제 능력을 제외한 나머지 탐구 능력에서 모두 창의적 문제 해결력이 유의미하게 신장 되었다.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문제 발견력,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성향, 과학 탐구 능력 비교 (Comparison of Problem Find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Tendency, Science Process Skill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 고유미;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624-63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roblem find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tendency, and science process skill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For this study, problem finding ability test, integrating creativity test, and science process skill test were conducted to the elementary gifted students (n=95) in science and the general students (n=149) at the same school distri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ean scores of problem finding, creative thinking, creative tendency, and science process skill of the gifted students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general students. The problem finding ability had partially weak correlation with sub-domains of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tendency, and science process skill. Findings suggest that there are needs of further study about factors affecting problem finding and considering the degree of structure of problem situation.

학교도서관 독서교육의 창의성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pplication of Creative Skill to Reading Instruction in the School Library)

  • 서진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61-286
    • /
    • 2013
  • 본 논문은 독서교육에서 창의성계발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독서전략들과 창의성기법들을 유형화하고 독서교육의 시간적 과정 속에 이를 융합하였다. [독서전] 과정에서는 기존지식 활용하기와 이성적 사고의 독서전략이 사용되며, 이를 확산적사고의 유창성과 독창성 기법에 융합하였다. [독서중] 과정에서는 텍스트내용 이해하기와 텍스트구조 인식하기의 독서전략이 사용되며, 이를 확산적사고의 융통성과 독창성 기법에 융합하였다. [독서후] 과정에서는 이성적 사고의 독서전략이 사용되며, 이를 확산적 사고의 독창성과 수렴적 사고 기법에 융합하였다.

가설 제안 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에 기여하는 모델 개발 및 과학 교수에서 그 활용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the Enhancement of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Hypotheses generating Activities and It's Applications on Teaching Science)

  • 강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82-49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력은 협의의 측면으로 정의하여 제시하였고 그리고 비판적 사고력은 강한 의미의 측면으로 정의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현행 탐구 교수 전략을 수정 보완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교사가 물어보는 인과적 질문에 대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발산적 사고력을 활용하면서 조별 토론에 의하여 잠정적 설명들을 적어도 세 가지로 응답들을 하게 한 후에, 이어서 조 별 토론하면서 보다 더 나은 하나의 설명(가설)을 선택하도록 하는 가설을 제안하는 과정이다. 발산적인 사고로 다양한 가설들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도 조 별 협동학습 활동이 필수적이며, 또한 학생들로 하여금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를 형성하게 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협동 학습에서 조 별 토론에 의하여 얻어진 사고의 결과들을 만들어 내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경험하면서 학생들은 창의적인 사고와 비판적인 수렴적 사고를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 모델을 적용한 수업 전략에는 기존 수업 전략에 비하여 아주 조그마한 차이만을 보여주나, 이와 같은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활용한 탐구 교수 전략을 중학교 2학년 학생들과 대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에 의하면 비교반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미하게 창의력이 신장되었다.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 모델을 활용한 다양한 여덟 개의 실례들을 개발하였다. 이 여덟 개의 결과들은 기존의 탐구 교수 전략에 들어 있는 인과적 질문에 대하여 설명들(가설들)을 하고 있는 형태들을 갖추고 있다.

수학적 사고 과정 관련의 평가 요소 탐색 (Evaluation Factor related to Thinking Skills and Strategies based on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 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253-263
    • /
    • 2001
  • Developing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of school mathematics. In particular, recent performance based on assessment has focu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n school, emphasizing student's self construction of their learning and its process. Because of this reason, people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including math teachers are taught to recognize the fact that the degree of students'acquisition of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and strategies(for example, inductive and deductive thinking, 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should be estimated formally in math class. However, due to the lack of an evaluation tool for estimating the degree of their thinking skills, efforts at evaluating student's degree of mathematics thinking skills and strategy acquisition failed. Therefore, in this paper, mathematical thinking was studied, and using the results of study as the fundamental basis,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model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ree types of mathematical thinking - fundamental thinking skill, developing thinking skill, and advanced thinking strategies. Finally, based on the model, evaluation factors related to essential thinking skills such as analogy, deductive thinking, generalization, creative thinking requested in the situation of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were developed.

  • PDF

학문 통합적 비유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대학교 화학 실험 수업 전략의 개발 및 효과 (제II보)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y Using Inter-Disciplinary Analogy to Enhance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Examination of Its Effectiveness (II))

  • 방담이;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857-874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학문 통합적 비유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지향 수업 전략을 개발하고 이 전략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학업적 자기 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탐구 수업 모형에 비유 활동의 PDCA 네 단계 모형을 활용한 '학문 통합적 비유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탐구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이 모형에 따라 구체적인 대학교 화학 실험 수업 전략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예비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수업 전략을 한 학기 동안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제 인식 및 가설 설정,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영역에서 창의적 사고력 하위 범주 중 독창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문제 인식 및 가설 설정, 자료 해석 및 자료 변환의 영역에서 비판적 사고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 조절에 대해서는 확인된 조절과 통합된 조절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창의적 인성에 대해서는 모든 하위 영역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초등과학 수업에서 통합적 사고 학습을 위한 R.G.B. 기법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ing and Applying of the R.G.B. Technique for Combined Thinking Learning in the Elementary Science Classes)

  • 문병찬;이경학;서한영;김해경;오강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1호
    • /
    • pp.10-2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pplying possibility of the R.G.B. technique for combined thinking learning in the elementary science classes. For this, R.G.B. technique which was designed to mark students' output with red, green and blue colors depending one's judgement was developed and applied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The results were follows. Firstly, the propriety of questionnaires constitution which was developed to achieve study objects in science classes was given credit by experts. Secondly, the evaluating results of student's outputs which had been done during science classes were credible on focused achieving the objects of science classes. Thirdly, in a point of view achieving creative thinking skill as well as knowledge, R.G.B. technique was effective. Fourthly, the combined thinking learning joined R.G.B. technique has possibility of applying to general science classes. Fifthly, the students who were participating in combined thinking learning science classes based on R.G.B. technique said with great satisfaction. Consequently, combined thinking learning based on R.G.B. technique should be paid attention to the value of possibility to achieve study effects both creative thinking skill and knowledge.

정보교육과 학교도서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Education and School Library)

  • 유소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6권
    • /
    • pp.53-74
    • /
    • 1994
  • Creative thinking in education is a common assumption to be accomplish in this information age. Information education can contribute to build the ability to think creatively. The Author explored how information education conduces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that is necessary to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and competent study for students themselves. The writer also expressed the integrated education makes students think synthetically and synthetic educational experience derives creative thinking. She based her arguments upon the theory of the psychology of memory and the Piaget's cognitive structure. To increase the effects of informatio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he curriculums and learning method of the information education and those of other areas of learning, i,e., languages, literatures, social sciences, sciences, mathematics, etc. Here, author asserted that the teaching of information skill within classroom curriculums for all subject areas can make the integrated effects on various classroom curriculum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author recommended that every school needs to prepare enough books and other media for the students to drill information skill. Consequently, to build creative thinking ability for He students, librarians, classroom teachers and school principals who have influence on the information education, have to cooperate to initiate integrated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student.

  • PDF

변인 탐색 활동을 강화한 탐구 수업 전략이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Inquiry Instruction Strategy Enhancing the Activity of Making Variables to Improve on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 박지은;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5호
    • /
    • pp.478-489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변인 탐색 활동을 강화한 탐구 수업 전략을 개발하고 이 전략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변인 탐색 활동을 강화한 탐구 수업 DPAS 네 단계 모형인 '변인 찾기, 변인 배제, 변인 통제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탐구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이 모형에 따라 구체적인 대학교 화학 실험 수업 전략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예비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수업 전략을 한 학기 동안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창의적 사고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p<.05). 검사 도구의 하위 항목 중 문제 인식,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 해석 및 자료 변환에서 창의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신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판적 사고력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p<.05). 검사 도구의 하위 항목 중 가설 설정, 결론 도출 및 일반화에서 비판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신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탐구 요소 별 글쓰기와 통합적 문제 해결 글쓰기 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 신장 방안 (The Enhanc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 through the Writing Activity about the Basic Inquiry and the Integrated Inquiry Elements)

  • 박혜진;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6호
    • /
    • pp.845-854
    • /
    • 2013
  • 과학 글쓰기가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향상에 영향을 주는지 알기 위해서 먼저 7차 과학과 교육 과정에서 제시한 기초 탐구 사고력과 통합적 탐구 사고력의 탐구 요소 별로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과학 글쓰기 유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34차시의 수업 전략을 구성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투입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실험반과 비교반의 창의적 사고력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창의성을 협의의 정의인 발산적 사고력으로 한정하고 창의성 항목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 관련된 창의적 사고력을 각각 분석해 보면 유창성과 융통성에서 실험반과 비교반 학생들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p<.05), 독창성에서는 실험반과 비교반 학생들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05). 과학 글쓰기를 강조한 수업 전략은 창의적 사고력 중 특히 유창성과 융통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