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economy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26초

Establishment of a Platform for Supporting the Start-Ups of Outstanding Ideas under the Creative Economy: 6-Month Challenge Platform Program for the Creative Economy

  • Seo, Jun Seok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4권4호
    • /
    • pp.238-246
    • /
    • 2015
  • This paper reviews the 6-Month Challenge Platform Program, a short-term intensive start-up supporting program in Korea, which will be launched late 2015 to promote economic growth by taking new ideas and transforming them into new products and start-ups in connection with the Creative Economy Town and the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s under the Creative Economy Policy.

A Creative Economy Development Strategy: The Case of Trenggalek Creative Network for Trenggalek Regency, Indonesia

  • AGUSTINA, Yuli;WINARNO, Agung;PRATIKTO, Heri;NARMADITYA, Bagus Shandy;FILIANTI, Filiant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2호
    • /
    • pp.1111-112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the creative economy sector of rural communities in Trenggalek Regency, East Java, Indonesia by mapping the creative economy sub-sectors in Trenggalek Regency. The creative economy industry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GDP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and developed countries. In urban areas, the creative economy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such that it is unlikely to evolve in rural communities. However, the rural environmental landscape, which not only has a wealth of creative human capital but also a cultural heritage, also encourages the growth of the creative economy sector in rural areas.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 working days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cus group discussions, observation and literature review. More precisely, first, it identified the potential of the creative economy both sectorally and regionally. Second, it identified the leading creative economy subsectors and compiled a creative economic development road map. After defining and mapping the potential of the creative economy, four of the sixteen sub-sectors of the creative economy were identified to be developed through a strategic plan for the growth of the creative economy using urban branding, innovative industrial centers and renewable resources.

Development of Creative Economy Innovation and Digital Entrepreneurial Ability for Distribution Strategy by using Design Thinking

  • Siwaporn NAKUDOM;Sor sirichai NAKUDOM;Panita WANNAPIROON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4호
    • /
    • pp.11-20
    • /
    • 2023
  • Purpose: 1) develop a learning model involving design thinking to develop creative economy innov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entrepreneurs. 2) evaluate the impact of design thinking on creative economy innovation 3) evaluate the impact of design thinking on digital entrepreneurial abil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1) develop a learning model involving design thinking in order to develop creative economy innov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entrepreneurs. 2) Evaluating creative economy innovation involving design thinking. 3) Ass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entrepreneurs based on design concepts. Results: 1) the development of a learning model involving design thinking to develop creative economy innovation and digital entrepreneurial competency 2) The students who studied using the learning model involving a design thinking process had the highest overall scores in terms of creative economy innovation 3) The scores for the assessment of digital entrepreneurial activity for the students who studied by using the design thinking learning model were at a high level. Conclusions: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thinking learning model can encourage students to be able to develop creative economy innovations and to empower digital entrepreneurs' ability for distribution strategy.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would like to succeed in developing creative economy innovative and digital entrepreneurship characteristics with the support of design thinking.

ICT와 미래창조경제의 나아갈 방향 (Expected Role of ICT for Creative Economy)

  • 김국진
    • 법제연구
    • /
    • 제44호
    • /
    • pp.7-31
    • /
    • 2013
  • 글로벌 경제의 성장 패러다임이 창조경제 체제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가져올 결과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나아가 바람직한 미래의 창조경제를 위해서, 그리고 ICT의 역할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창조경제는 경제성장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신경제 체제에서 ICT 부문에 대한 투자를 통해 인플레이션 없는 지속적 성장 또는 주어진 인플레이션 하에서 보다 높은 수준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미국에서와 달리 국내에서는 신경제 현상이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신경제보다는 요소투입에 의존하는 성장 패턴을 보였기 때문이다. ICT는 신경제(디지털 경제)로의 이행을 위한 필수적 요소이긴 하나 그 자체로 생산성 및 성장을 전부 설명하는 것은 아니라고 평가된다. 관건은 어떻게 정보통신 및 기술발전을 타 산업에 확산시키는지의 여부에 달려 있다. ICT는 그 자체가 창조산업이거나 창조경제가 아니라 enabler로서 제대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창조경제는 신경제론의 연장선에 볼 수도 있다. 자본과 노동력 요소 투자 이외에 문화적 자산과 인적 자원(Human resource)을 투여하여 가치를 생산해 내는 경제를 의미한다. 그러나 투입요소의 변화에 국한되면, 진정한 의미의 창조경제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한 의미에서 창조경제는 정권 5년 정책이슈가 아니라 미래지향적이어야 하며 단순히 투입요소에 창의력이 추가되는 차원을 넘어 through-put이라고 할 시스템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 여기에 ICT의 역할이 있다.

창조 일자리 분류체계 및 추세분석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Creative Employment in Korea)

  • 이경선;박태준;정광헌
    • 경영과학
    • /
    • 제32권4호
    • /
    • pp.237-254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a classification scheme of the creative employment and analyzing trends of the creative employment in Korea. Many countries have pursued the creative economy to generate new jobs and tried to estimate the creative employment as a way to measure the creative economy. However, the definition of the creative employment is still ambiguous partly because it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e industries and the direction of economic policies that each country has. Therefore, we propose a classification scheme of the creative employment, which reflects the creative economy in Korea. Then, we examine how the creative employment changes in Korea. Our results show that the jobs requiring the highest level of creative skills increase stably and steadily over the years.

국민행복을 위한 창조경제: 특성과 함의 (The Creative Economy for People's Happiness: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lications)

  • 김왕동;송위진;성지은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672-693
    • /
    • 2013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창조경제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그러나 새 정부의 캐치프레이즈인 창조경제가 무엇이고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방법론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과학기술계에서 바라보고 있는 창조경제 관점이 현안과제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가정 하에, 새로운 대안으로 '국민행복을 위한 창조경제 관점'을 제시하고 박근혜 정부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창조경제에 대한 이론을 개관하고, 창조경제를 바라보는 기존 관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다음 국민행복을 위한 창조경제 패러다임의 특성과 사례를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박근혜 정부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 PDF

창의상품의 심미적 체험이 창의경제에 미치는 역할 (The Role of Aesthetic Experience with the Creative Product in the Creative Economy)

  • 전택수
    • 문화경제연구
    • /
    • 제19권2호
    • /
    • pp.73-96
    • /
    • 2016
  • 본 논문은 창의경제에서 창의상품을 감상하는데서 얻게 되는 심미적 체험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창의경제는 창의성의 보편성을 기본 전제로 삼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누구든지 창의상품을 감상함으로써 창의성을 함양할 수 있고, 이렇게 함양된 창의성을 창의경제가 아닌 일반 직장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이 발견으로부터 우리는 공공정책의 방향을 위한 두 가지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우선, 정부는 일반인들이 다양하고도 독특한 체험. 특히 창의상품의 감상을 통한 심미적 체험을 겪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다음으로는 정부는 성인들이 창의상품의 감상력을 높이도록 학교 및 사회에서의 예술교육을 강조하여야 한다.

창조경제와 지역: 창조도시의 세가지 원천 (Creative Economy and Region: Three Sources of Creative City)

  • 문미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46-659
    • /
    • 2014
  • 창조경제의 개념 및 사회적 의미에 대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창조경제에 대한 정책적, 학술적 관심이 증대해왔다. 본 연구는 창조경제가 지역에서 실현되는 방식과 원천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IT혁명의 영향으로 현대인들의 네트워크는 질적 양적으로 크게 확대되어 '연결된 지식'이 창출하는 집단지성, 집단지성이 뿌리내린 '도시' '지역'은 창조 경제의 핵심 인프라가 되었다. 개인의 창조성이 발현되는 창조도시는 세 가지 바탕위에 발전한다. 첫째, 특정산업의 집적으로부터 나오는 지역의 고유성, 장소성을 기반으로 하며, 둘재, 도시의 다양한 개방적 지식정보연계망으로부터 발전한다. 셋째, 해당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가치지향성과 지역에 축적된 사회적 자본으로부터 발전한다.

  • PDF

한국의 창조경제와 창조도시에 관한 정책과 담론 (Policy and Discourse of Creative Economy and Creative City in Korea)

  • 최병두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01-623
    • /
    • 2014
  • 이 논문은 한국의 창조경제 및 창조도시 정책과 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우선 '정책 이전'(또는 이동)의 개념을 원용하여 서구에서 등장한 창조경제 및 창조도시 정책과 담론이 국제적 확산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변화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이를 전제로, 이 논문은 2000년대 후반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추구했던 창조 도시 정책과 현 정부의 박근혜 대통령이 제시한 창조경제 정책과 담론이 등장 전개된 배경과 과정을 서술한 후, 이들의 정책과 담론이 실제 개념을 왜곡하거나 구체적 내용을 결여한 통치 수단 또는 정치적 수사로 기능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특히 이 논문은 현 정부의 창조경제 정책 및 담론이 이와 내적으로 연관된 두 가지 기본 개념들, 즉 경제민주화와 창조도시의 개념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거나 또는 비의도적으로 간과함으로 긍정적 실효성을 거의 가지지 못하게 되었다고 결론짓고자 한다.

  • PDF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융합 전략방안 (A Study of Smart Convergence Strategies for Enhancing a Creative Economy: Lessons from Korea)

  • 김용범;곽정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67-79
    • /
    • 2014
  • 최근 한국에서는 기존의 경제구조에 ICT 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성장 동인과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는 창조경제(creative economy)의 도입이 핵심정책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2013년 6월에는 창조경제의 제도적 실행을 위한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창조경제의 개념은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을 중심으로 산업과 산업이 융합되면서, 과거 산업의 범주를 넘어 새로운 가치와 서비스를 창출하는 신 개념의 산업 패러다임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핵심요소로 ICT 기술과 다양한 산업이 융합되는 스마트융합(smart convergence)이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스마트 융합'의 정의를 기초로 미래 스마트 융합시대가 가져올 경제적 효과 및 사회문화의 변화를 예측하고,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다각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가 심층면접, 솔로우모형(Solow Model)을 활용한 계량분석을 수행하였고,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수요 및 공급기반을 고려한 스마트융합, 선택적 집중을 통한 스마트융합, 스마트워크 등 법제도적인 사전정비의 중요성을 정책제언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이론 정립 위주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정책적 실행가능성을 고려한 정량적 연구라는 차별성을 지닌다. 이러한 한국의 선행경험은 새로운 성장동인 및 일자리를 마련하기 위하여 창조경제를 정책적으로 추진하고자하는 다른 국가들에게 중요한 교훈(lessons)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