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tisol level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9초

바이오장기 연구를 위한 이동식 아이솔레이터 내 복제 미니 돼지의 생리 활성 평가 (Physiological Evaluation of Cloned Mini-pigs in a Transportable Isolator for the Study of Xenotransplantation)

  • 김해성;전유별;곽성성;정승아;정의만;현상환;정의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65-169
    • /
    • 2011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evaluation of cloned mini-pigs in a transportable isolator. Transportable isolator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by our research team for transporting gnotobiotic pig. Until now, no previous reports are available regarding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harmful effects when pigs were transported in this isolator. Five cloned mini-pigs of 1~2 year (s) old female with a body weight between 80~90 kg were used. The effects of transportable isolator on stress-related hormone,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ACTH) and cortisol levels, and heart rate were evaluated. In addition, it was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transportable isolator on blood chemistry factors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blood urea nitrogen: BUN, glucose, and creatinine). Blood was sampled just before the beginning of transport (T0), at the end of transport (30min after the transport; T1), and 30 min after the end of transport (T2). At the same time, heart rate was also evaluated. As a result, heart rate had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at the various-time points of study (T0, T1, T2). However, heart rate was slightly higher than normal range in T1 and T2. The ACTH level was higher than normal range. Whereas, the cortisol level was lower than normal range.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ACTH and cortisol level between different time groups.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ood chemistry factors. Therefore, our present study shows that transportable isolator has no harmful effect on stress and physiological condition in cloned mini-pigs.

양식어류의 선별과정중 수심감소와 어류의 수조이동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 (Stress Responses of Cultured Fishes Elicited by Water Level Reduction in Rearing Tank and Fish Transference during Selection Process)

  • 허준욱;장영진;임한규;이복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65-472
    • /
    • 2001
  • 양식현장에서 선별작업시 처리되는 사육수조의 수심감소와 어류이송에 따른 넙치 (대, 소)와 큰민어의 스트레스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스트레스 지표로 알려져 있는 혈액학적 요인, 코티졸, 글루코스, 젖산 및 삼투질 농도를 조사하였다. 수심감소에서 넙치대의 Ht는 실험전 $14.6\%$였던 것이 10시간째까지 계속 높아져 $23.5\%$를 보였으나, 실험종료시 (46시간째) $14.4\%$로 회복되었다. 넙치대의 코티졸 농도는 실험개시시에 1.9ng/mL였던 것이 22시간째에 13.7 ng/mL로 높아졌고, 46시간째에는 4.0ng/mL로서 개시시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큰민어는 4시간째 282.3ng/mL, 22시간째 350.5ng/mL로 높아졌으나, 실험종료시에는 16.0ng/mL로 낮아졌다. 큰민어의 글루코스는 실험개시시 57.0mg/dL로부터 22시간째에는 138.0mg/dL조 유의하게 높아졌다 젖산은 모든 어종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어류이송에 따른 넙치대의 RBC는 실험개시시의 $1.9\times10^6 cell/{\mu}L$로부터 실험종료시의 $4.2\times10^6 cell/{\mu}L$로 높아졌다. 큰민어의 Hb는 실험개시시의 9.8g/dL로부터 실험종료시에 20.4g/dL로 개시시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넙치대의 코티졸 농도는 실험개시시의 1.2ng/mL로부터 이동 1시간째에 95.3ng/mL로 높아졌고, 큰민어도 실험개시시의 5.5ng/mL로부터 1시간째에 175.5ng/mL로 높아졌다. 큰민어의 글루코스는 1, 3시간째 각각 132.5 mg/dL, 129.5 mg/dL로 실험개시시 46.5 mg/dL 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 PDF

CuCl2 노출에 의해 유도되는 제브라피시의 행동과 내분비계의 변화 (Exposure to Copper (II) Chloride Induces Behavioral and Endocrine Changes in Zebrafish)

  • Sung, Jiwon;Lee, Jeongwon;Lee, Seungheon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21-330
    • /
    • 2020
  • 본 연구의 목표는 CuCl2가 지브라피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CuCl2에 대한 지브라피시의 반수치사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시간에 따른 농도를 설정하여 노출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반응의 증가를 보기 위하여 whole-body cortisol level 측정과 행동약리학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open field test와 novel tank test를 실시하였다. Whole-body cortisol의 sample을 수집하거나 행동실험을 실시하기 전에 CuCl2 또는 vehicle을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CuCl2의 반수치사농도는 24시간, 48시간, 96시간에서 각각 30.3, 25.3, 14.8 ㎍/l으로 측정되었다. CuCl2에 노출된 지브라피시의 novel tank test의 결과는 총 이동거리, 움직이는 시간 그리고 속도는 유의성이 있게 감소한 반면, turn angle은 최고농도에서 유의성이 있게 증가하였다(p<0.05). 다른 행동실험인 open field test의 결과에서도 총 이동거리, 움직이는 시간 속도가 CuCl2의 노출에 의해서 감소하였으며, turn angle과 meandering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CuCl2에 노출된 지브라피시의 whole-body cortisol은 1.5 or 15 ㎍/l의 농도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150 ㎍/l의 농도에서는 유의성 있는 변화를 발견하지 못하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CuCl2의 노출이 지브라피시에서 치사율 증가, 행동 및 내분비의 변화 등을 포함하는 독성 반응을 야기하는 것을 나타낸다.

Oxytetracycline의 단기 노출이 제브라피쉬의 행동 및 내분비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Acute Exposure Oxytetracycline on the Behavior and Endocrine Response in Adult Zebrafish)

  • 고은성;이승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1-157
    • /
    • 2015
  • Zebrafish는 약리학 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실험 동물 중 하나이다. Oxytetracycline은 넓은 항균 범위를 가지는 항생제로써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정균 작용을 가진 항생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OTC에 노출이 되었을 때 zebrafish에게서 나타나는 행동변화와 내분비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OTC (50, 100 or 200 mg/l)에 노출된 zebrafish의 행동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novel tank test와 open field test를 진행하였다. 또한 내분비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whole-body cortisol의 수치를 cortisol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Novel tank test 결과 상층부에서 머문 시간과 부동 시간에서 OTC를 약욕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증가현상이 확인되었다. 반면에, 총 이동거리, 과행동 시간, 유영 속도 그리고 상하 변위에서 OTC를 약욕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감소 현상이 확인되었다. Open field test 결과 부동시간에서 OTC를 약욕 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증가 현상이 확인 되었다. 그러나 OTC를 약욕 하였을 때 총 이동거리, 움직인 시간, 유영 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감소 현상이 확인 되었다. Whole-body cortisol에서는 zebrafish에게 약욕을 하였을 때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OTC가 zebrafish에게 화학적 스트레스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계절 및 착유시기에 따른 원유와 분유 내 멜라토닌, 코티솔 농도 변화 (The Effects of Milking Time on Melatonin and Cortisol Concentrations in Raw Milk and Milk Powder during the Summer and Winter Solstice)

  • 임예서;홍식;신용국;강신호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37-4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착유시간에 따른 우유 및 환원유 내 멜라토닌 및 코티솔 농도 변화를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긴장완화 및 수면의 질 개선 측면에서의 우유의 기능성 식품으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명기에 비해 일출전 암기에 착유한 우유에서 멜라토닌 농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환원유 내 멜라토닌 농도 또한 우유와 동일한 일주기 리듬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우유에 비해 멜라토닌 농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빛 이외에도 운동, 스트레스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코티솔은 착유시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개체간 변이가 크지 않다고 가정하였을 때, 동지에 비해 하지에 착유한 우유 및 환원유 내 코티솔 농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집유 시간을 조정하여 생산한 야간 착유 우유는 내인성 멜라토닌이 풍부한 식품이며, 수면유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착유시간에 따른 원유 및 환원유 내 멜라토닌 농도의 차이만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그러므로 착유시간에 따른 이러한 차이가 실질적으로 우유를 섭취하였을 때, 체내의 수면유도 생리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계절에 따른 우유 내 각 호르몬의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동일한 개체를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흡입성 스테로이드 제제의 투여용량 및 방법이 기저 코르티솔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haled Steroids on the Cortisol Concentration by Different Dosage or Delivery Method)

  • 이용철;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6호
    • /
    • pp.888-899
    • /
    • 1995
  • 연구배경: 경구 및 주사용 스테로이드 제제는 기관지 천식 치료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 왔으나 그 부작용 때문에 사용이 제한되어, 근래에는 부작용이 적은 흡입성 스테로이드제제인 Beclomethasone dipropionate나 Budesonide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지 천식 환자와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흡입성 스테로이드 제제인 Beclomethasone과 Budesonide을 투여하여 투여하여 용량과 투여방법에 따라 기저 코르티솔 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방법: 대상은 1989년 3월부터 1994년 2월까지 전북대학교 병원 내과에 입원해 치료받은 44명으로 흡입성 스테로이드 제제를 투여하기전 10일 동안은 어떠한 종류의 스테로이드도 복용하지 않도록 한후 12일 동안 $800\;{\mu}g/day$ 또는 $1,600\;{\mu}g/day$를 흡입 투여하였다. Budesonide는 metered dose inhaler(MDI)나 MDI에 large spacing device를 부착해 흡입하였고 Beclomethasone은 diskhaler로 흡입하였으며, 투여 중단후 6일간은 어떠한 종류의 스테로이드도 복용치 않았다. 혈청 코르티솔과 24시간 요중 코르티솔농도를 투여전(O일)과 투여 3, 6, 9, 12일째 그리고 투씩 중단 6일후인 18일째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결과: 1) Beclomethasone과 Budesonide치료는 용량에 따라 코르티솔의 내인성 생산을 감소시켰으며, $1,600\;{\mu}g$ 투여할때의 Budesonide제제가 Beclomethasone제제보다 코르티솔의 생산을 더욱 억제시켰다. 2) MDI로 Budesonide를 투여한 군에서 MDI에 large spacing device를 부착해 투여한 군 보다 내인성 코르티솔생산을 더 억제시켰다. 결론: 이상의 성적으로 흡입성 스테로이드는 투여제제 용량과 투여방법에 따라 내인성 코르티솔의 생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아로마 손 마사지가 밤 근무 간호사의 스트레스 반응 및 IgA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and Massage with Aroma Oil on Stress Responses and Serum Immunity of Registered Nurse during the Night Duty)

  • 이혜숙;황혜숙;김영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9-176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aromatherapy hand massage on stress responses and serum Immunity of RN's before the night duty.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Oct. 10 to Nov. 15, 2005 at S-Hospital in Seoul. There were forty-eight subjects, 24 for the experimental and 24 for the control group. A Pre & post test were conducted to measure pulse rate, perceived stress(level and score) and a blood sample for cortisol and IgA. In the experimental group, lavender and geranium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d t-test with SPSS program. Result: The pulse rate was reduced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cores of subjective stress(V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aromatherapy hand massage and the level of serum Cortisol was reduced significantly. The level of serum IgA was elevated significantly. Conclusion: Aromatherapy hand massage could be a useful intervention to reduce stress and elevate the immunity of nurses during the night duty.

  • PDF

SM-2000의 항피로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Antifatigue Effect of SM-2000)

  • 신선미;고흥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11-424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fatigue effect of SM-2000 on fatigued and stressed people.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23 healthy people who have fatigue and stress. 11 people as the mentally-stressed group were examined by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and blood cortisol test. They drank SM-2000 for seven days. SM-2000 was made up herbs which were used for fatigue. After that they were again examined by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and blood cortisol test. 12 people as the physically-fatigued group were examined with fatigue biomarkers and exercise test. They also drank SM-2000 for seven days. After that they were again examined with fatigue biomarkers and exercise test. Results : Cortisol level,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scores and physical, mental, and neuro-sensory symptoms of fatigue scores after drinking SM-2000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before drinking SM-2000 in the mental stressed group. SM-2000 significantly decreased lactate, glucose, and phosphorous levels, and running time after drinking SM-2000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compared with before drinking SM-2000 in the physically-fatigued group. Conclusions :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SM-2000 had a clinical antifatigue effect in physically-fatigued people.

피부 마사지가 미숙아의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assage on Stress Hormone in Premature Infants)

  • 유경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125-131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massage on the level of stress hormone in the urine in preterm infants. Method: The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quasi experimental study. Fifty-eight preterm infa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31) or control group(27).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002 to August 2003. The massage stimulation was provided to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15-minutes twice a day for 10 days. On day 1 and day 10 of the study, a 24 hour-urine sample was collected for norepinephrine, epinephrine, and cortisol assays. In data analysis, SPSSWIN 10.0 program was utili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t-test. Resul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us the two groups were found to be homogenous. The 24 hour-urine cortisol of the massage group (t=4.61, p=.000)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10 day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assage stimulation can be used to reduce 24 hour-urine cortisol in preterm infants. Therefore, massage provided in the incubator is recommended for reduction of stress in preterm infants who are hospitalized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 PDF

시험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대학생의 스트레스 호르몬, 림프구 및 호중구의 변화 (Changes in Stress Hormone, Lymphocytes, and Neutrophils Related to Examination and Social Support in University Students)

  • 김주현;채영란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18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levels of anxiety, stress hormone, lymphocytes, and neutrophils of the nursing students before an examination and to examin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ose variables related to taking examinations. Methods: Thirty eight healthy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They completed the questionnaire including state anxiety, test anxiety (VAS scale) and social support two weeks before the exam and again just before the exam. Simultaneously, a venous sample for ACTH, cortisol, lymphocytes & neutrophils count was drawn by a trained nurse.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studen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ith SPSS/WIN 14.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est anxiety scores and cortisol level on the exam day showed a significant increment compared with those on the non-exam day. The participants with higher levels of total social support scor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tate anxiety on the exam day than those with lower levels of total social support scores. Conclusion: These data indicate a possible alteration in cortisol responsiveness to academic stress in nursing students. Social support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ulation of academic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