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e competencies for the future society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7초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e Competency of Beginning Childhood Teacher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Future Society)

  • 김옥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67-2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유아교육현장 전문가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직 중인 주임교사, 원감, 원장 252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초임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의 핵심역량에 대한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PASW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의 3단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협업, 의사소통, 자기관리 및 개발, 직업윤리, 감성지능 등 5개 역량의 7개 하위역량이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원양성기관에서 현장중심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천문 교구를 활용한 HTE-STEAM 별자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시공간 개념을 통한 미래 사회 핵심역량 함양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HTE-STEAM Constell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Astronomical Teaching Aid: Focused on Cultivating Core Competencies for Future Society through the Concept of Space and Time)

  • 조아라;김용기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4-48
    • /
    • 2024
  • 세계적으로 역량중심 교육이 주목됨에 따라, 교육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창의융합형 인재가 갖춰야 할 미래 사회 핵심역량 6가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미래 사회 핵심역량을 함양하고, 천문 영역 실험·실습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HTE-STEAM 별자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 효율성을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확인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학교 밖 교육 현장인,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의 G 도서관에서 초등 3~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HTE-STEAM 별자리 교육 프로그램은 STEAM 태도 검사의 '자아 개념'을 제외한 모든 구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이공계 진로선택', '배려', '소통'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미래 사회 핵심역량 중 '창의적 사고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의 함양에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HTE-STEAM 별자리 교육 프로그램은 시공간이라는 어려운 개념을 다루었으나, 수업 내용의 난이도가 쉽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많고, 배운 공간개념을 응용하여 교구를 활용한 것으로 보아, 학생들의 하늘과 우주의 공간 구조에 대한 이해에 효과적이었다. 덧붙여, 본 프로그램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가된 하늘의 공간적 구조에 대한 성취기준을 충족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HTE-STEAM을 기반으로 한 별자리 교육 프로그램은 미래 사회 핵심 역량의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학교 환경에서 천문 영역의 야간 관측 실습을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nalysis of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Need for Basic Core Competence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 Lee, Sun-Mi;Lee, Chun-Sun;Shin, Myong-Suk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6-154
    • /
    • 2020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eds and importance of basic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future society by dental hygienists' viewpoints who are working in the clinical practices an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 competencies in the 21st century so as to enhance their working capability. Methods: A total of 38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is study, 3 questionnaire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ge, service years, main job functions) and those in 11 sub-factors of basic core competencies including 4 questionnaires on creativity, 3 on collaboration, 3 on communication, 3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3 on problem-solving, 4 on resource control, 4 on self-control and development, 2 on vocational ethics, 3 on knowledge information utilization, 3 on global mind, and 3 on emotional intelligence. Self-reported survey was conducted in the dental hygienists who were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a total of 195 data were analyzed. Results: Vocational ethic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howed the highest on both importance and needs with 4.49 points and 4.34; 4.41 and 4.28; and 4.39 and 4.22, respectively, while global mind showed the lowest with 3.51 and 3.59. Upo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7 items were defined to require maintain the status including vocational ethics, communication, collabor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control,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solving while 4 items with lower priority were resource control and development, knowledge information utilization, creativity, and global mind.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results that suggested the basic core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ists in alignment with their jobs in the future society, competitive dental hygienists should be developed with the educational programs applied with these competencies.

델파이 조사를 통한 영재교육 핵심역량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Core Competencies for Gifted Education Based on Delphi Technique)

  • 박혜진;차승봉;김용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319-328
    • /
    • 2021
  • 본 연구는 델파이 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영재교육 핵심역량을 개발하고, 역량별 정의를 토대로 행동 요소 선정 및 척도 문항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문헌 분석을 통해 영재교육 핵심역량을 선정한 후 각 역량의 정의가 역량명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1차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핵심역량 함양을 위해 요구되는 능력을 행동 요소로 표현하여 세부 문항을 개발하고 타당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태도와 실천의지, 의사소통과 협업, 정보처리와 도구 활용, 창의적 문제해결, 융합과 응용, 고등 추론, 공동체 의식, 학습성취지향의 8개 핵심역량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이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영재교육 핵심역량과 행동 요소를 선정하고, 역량 함양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디자인분야 대학생의 정보문해 교육을 위한 핵심 정보문해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nalysis of Core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Design Discipline)

  • 김순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39
    • /
    • 2006
  • 디자인분야 대학생들이 학업능력을 향상시키고 독립적인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반적 정보문해 교육에서 추구하는 일반적인 정보문해능력 이외에 보다 복잡하고 전문적인 정보문해능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4개 대학교의 디자인분야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그리고 미국 디자인분야 교육 인증기관인 국립미술디자인학교협회의 디자인분야 학사학위 프로그램 기준과 지침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문헌조사를 통해 분석된 디자인분야의 핵심 정보문해능력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디자인분야 전 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분야는 7개 범주 26개의 핵심 정보문해능력을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며, 이러한 정보문해능력들은 정보문해 교육의 시기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제품디자인 등 세부전공분야별로는 보다 더 전문적인 특정 정보문해능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이러한 디자인분야 특정 핵심 정보문해능력 이외에 디자인분야에는 일반영역/기초능력관련 일반학문분야에 대한 정보문해능력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Competencies for Entry into the Profession of Dental Hygiene

  • Bae, Soo-Myoung;Chung, Won-Gyun;Jang, Jong-Hwa;Mun, So-Jung;Shin, Bo-Mi;Shin, Sun-J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3-201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core and detailed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ists to be utilized as educational targets to be reached by graduation as well as basic data that can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dental hygiene curricula. This study analyzed publication reports from the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Dental Hygienists, the Commission on Dental Accreditation, and the American Dental Education Association. Based on the academic classification system for dental hygiene studies, the components of core and detailed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e school at the time of graduation were extracted and developed through expert panel discussions. This study defined competencies at the graduation level of dental hygiene school and derived eight core competencies and their 52 detailed competencies to serve as educational objectives from four areas: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clinical practice, and community and health promotion.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self-assessments of competencies based on those developed in this study, at time of the graduation from dental hygiene school, as well as to continuously develop competency-based curricula according to entry level, knowledge level, and graduation level. Thu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evaluate the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ists after graduation and put this system into practical use.

미래인재의 핵심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or Improving the Core Capacity of Future Talents)

  • 이재호;백승욱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2호
    • /
    • pp.95-104
    • /
    • 2019
  • 제4차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변화는 지금까지보다 앞으로 더 많이 사회를 바꾸어 나갈 것이다. 이에 우리의 교육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새로운 미래를 준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현행 교육 내용 및 관련 교육 분야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미래인재 핵심 역량을 향상시킬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고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미래인재의 핵심 역량과 현행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미래인재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의 목표를 수립하고, 그 내용 및 체계를 구성하였다. 셋째, 구성된 교육과정을 현장에서 적용하여 효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향후 미래교육과 미래인재 육성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velopmen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 Dae-Sun Kim;Eun-Hee G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67-78
    • /
    • 2024
  •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이 대두되면서 사회구조가 변화하고 있으며,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를 위한 인공지능 융합 국어 교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ADDIE 모형에 근거하여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미래 핵심역량 4C(Collaboration-협업, Communication-의사소통, Critical Thinking-비판적 사고, Creativity-창의력)과 지식정보처리 역량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수행하였고 총 9차시 동안 4개의 작은 프로젝트들로 수업을 구성하여 학생들에게 인공지능을 융합한 국어 교과 교육의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적용 학생들은 모든 영역에서 미래 핵심역량의 향상을 나타냈으며, 만족도 및 질적 분석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했다. 이를 통해 본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국어 교육에 인공지능을 성공적으로 융합하여 학생들의 미래 인재 양성에 기여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스포츠센터 지도자들의 자기관리가 미래핵심 역량과 사회적 기술 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of sports center instructors on the future core competencies and social skills scales)

  • 최환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60-569
    • /
    • 2017
  • 스포츠센터 지도자는 자신만의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자기관리 방안이 요구되는 것이 필수적이며, 특히 스스로를 조절하고 통제 및 노력하는 자기관리는 스포츠센터 지도자들의 자질 중 중요한 요소일 뿐만 아니라 스포츠 활동 참여자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포츠센터 지도자의 자기관리가 미래핵심역량과 사회적 기술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우수한 지도자 발굴 및 육성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자기관리가 미래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관리의 대인관리, 훈련관리, 신체관리 요인은 미래핵심역량의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자기관리가 사회적기술 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관리의 대인관리, 훈련관리, 신체관리 요인은 사회적 기술척도의 자기주장, 자아통제, 협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미래핵심역량이 사회적기술 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래핵심역량의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요인은 사회적 기술척도의 자기주장, 자아통제, 협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이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지도자들 개개인의 특성과 환경을 고려하여 자기관리행동에 적합하고 효율적인 방안을 강구하고, 동료 지도자를 비롯한 회원들과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여 지도자의 자기관리와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의료기관 핵심역량과 경영성과의 구조적 인과관계 분석 : 의료서비스 지향성과 내부고객 지향성 (The Effects of Core Competencies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Hospitals :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Roles of Medical Service Orientation and Internal Customer Orientation)

  • 김인용;이상혁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3호
    • /
    • pp.107-11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들의 핵심역량의 요인들이 매개변수인 내부고객 지향성과 의료서비스 지향성이 어떠한 영향관계가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핵심역량이 종속변수인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의료산업 경영성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경영 향상을 위하여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시와 부천시에 소재하는 18개소의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구성원을 표본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40부를 회수하여 최종분석에 사용된 표본은 307부를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핵심역량의 하위 8개 역량 변수 모두가 매개변수인 서비스 지향성 및 고객 지향성과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맺고 있다. 그리고 매개변수인 서비스 지향성 및 고객 지향성 모두 경영성과와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상관되어 있다. 따라서 변수들 간의 관계의 방향이 모두 이론에서 예측한 바와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의료기관의 궁극적인 목표인 경영성과 향상을 위하여 핵심역량의 활용방안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