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per adsorption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2초

3가철 코팅 불가사리 흡착제 제조 및 구리 제거 특성 평가 (Preparation of Fe(III)-Coated Starfish and Evaluation of the Removal Capacity of Copper)

  • 양재규;유목련;이승목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2-176
    • /
    • 2006
  • Fe(III)-Coated Star Fish (ICSF) was prepared by reaction of calcined Star Fish (SF) with Fe(III) solution at an elevated temperature.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ICSF at acidic condition, dissolution of Fe was studied at pH 2 as a function of time. Extracted iron was negligible over the entire reaction time. This stability test suggests the applicability of ICSF in the treatment of wastewater even at low pH. Adsorption capacity of Cu(II) onto SF and ICSF was investigated in a batch and a column test. In the pH-edge adsorption, adsorption of copper onto SF and ICSF was quite similar over the entire pH range due to the presence of an important amount of Fe in SF itself. From the adsorption isotherm obtained with vari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Cu(II), ICSF showed 1.6 times greater adsorption capacity than SF. Also, ICSF showed a greater removal capacity of Cu(II) in the column test.

혼합 흡착-연속추출법을 이용한 자연 점토의 납(Pb), 구리(Cu), 아연(Zn), 카드뮴(Cd) 흡착 시 온도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Adsorption of Pb(II), Cu(II), Zn(II), and Cd(II) onto Natural Clays Using Combined Adsorption-Sequential Extraction Analysis)

  • 도남영;이승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17-3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자연점토에 납, 구리, 아연, 카드뮴의 단일 흡착 시 온도변화에 따른 흙의 구성성분별 흡착거동을 살펴보기 위해 혼합 흡착-연속추출법(combined adsorption-sequential extraction analysis, CASA)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납과 구리의 경우 약 50%이상의 분배가 탄산염 형태로 나타났고, 카드뮴의 경우 약 80%이상의 분배가 이온교환 형태로 나타났다. 아연의 경우 $25^{\circ}C$이하의 온도에서는 이온교환 형태로의 분배가 약 60%로 나타났고, $40^{\circ}C$이상의 온도에서는 탄산염 형태로의 분배가 50%이상으로 나타났다. 흙의 각 구성성분에 대한 흡착용량의 온도에 따른 영향은 철.망간 산화물과 유기물 형태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온교환 형태를 제외한 모든 형태에 대한 중금속들의 흡착 반응은 온도의 증가에 따라 흡착량이 증가하는 흡열반응(${\Delta}H^0$ >0)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남 고성군 판곡리 황토 현탁액의 구리 흡착 특성 (The Copper Adsorption onto Hwangto Suspension from Pankok-ri, Kosung-gun)

  • 조현구;박수자;추창오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9-220
    • /
    • 2004
  • 구리 흡착 실험과 MINTEQA2 및 FITEQL3.2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고성군 판곡리에서 산출되는 황토 현탁액의 구리 흡착 특성을 연구하였다 구리 흡착 실험은 pH, 구리 용액의 양, 전해질의 이온 세기를 변화시키면서 실시하였고, 구리의 농도는 유도결합플라즈마분광분석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첨가하는 구리 이온의 양과 pH가 증가할수록 흡착되는 구리 이온의 양도 증가한다. 특히 pH가 5.5에서 6.5로 변할 경우 급격한 흡착률의 증가가 있으며, pH 7.5에서 거의 100% 흡착된다. 배경 전해질의 이온 세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아 구리 이온은 황토 표면과 내부권 복합체(inner-sphere complex)로써 아주 강한 화학적 결합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MINTEQA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리의 화학종 분포를 계산한 결과, pH가 증가함에 따라 $Cu^{2+}$ 의 농도는 점점 감소하고 $Cu(OH)_2$ 농도는 점점 증가한다. FITEQL3.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황토의 표면을 규산염 광물 자리와 산화염 광물 자리로 나눈 two sites-three pKas 모델을 적용하여 흡착 양상을 모델링한 결과, 구리 용액의 부피가 2~6 mL인 경우 구리 흡착 평형 상수 값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철산화염 광물 반응 자리에 흡착되는 구리의 앙은 pH 4.5~6.5 범위에서 급격한 흡착 양상을 보이다가 그 이상 pH에서는 흡착되는 양이 조금씩 밖에 증가하지 않는다. 규산염 광물 반응 자리에 흡착되는 구리의 양은 구리 용액의 양이 적을 때는 미약하다가 구리 용액의 양이 커질 경우 그 양이 많아진다. 침전에 의하여 제거되는 구리의 양은 광물 표면 자리에 흡착되는 양과 비교하면 아주 적다. 구리 이온에 대한 흡착 친화도는 규산염 광물보다는 철산화염 광물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 스코리아의 제올라이트화에 따른 구리와 아연 이온의 흡착 용량 변화 (Variation of Copper and Zinc-Ion Adsorption Capacity via Zeolitification of Jeju Scoria)

  • 이창한;감상규;허철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563-572
    • /
    • 2023
  • Scoria from Jeju-island (Jeju scoria) was converted into zeolitic material (Z-SA) via zeolitification using the fusion/hydrothermal method. Jeju scoria could be synthesized into Z-SA to from a surface covered with Na-A zeolite crystals, which was confirmed through an analysis of X-ray diffraction peak pattern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mages. Jeju scoria and Z-SA were employed as adsorbents to evaluate the adsorption rate and adsorption capacities for Cu2+ and Zn2+ ions. The adsorption rates and isothermal adsorption capacities could be well fitted by the pseudo-quadratic adsorption kinetics and Langmuir adsorption isotherm, respectively.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ies (qm) of Z-SA for Cu2+ and Zn2+ ions were found to be 163.36 mg/g and 120.51 mg/g, respectively, using the Langmuir adsorption isotherm. When Z-SA is synthesized from Jeju scoria via zeolitification using the fusion/hydrothermal method, Z-SA exhibits an adsorption capacity that is more than approximately 100 times the value exhibited by Jeju scoria. As a result, the synthesized Z-SA was regarded as an effective, economic adsorbent.

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계 목재방부제 (ACQ) 유효성분의 목재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lkaline Copper Quat Preservative Components in Wood)

  • 이종신;최광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91-498
    • /
    • 2014
  • ACQ 목재 방부처리 현장에서 약액의 농도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ACQ 약액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약액의 농도 변화, 처리 목재의 약제 흡수량 그리고 Cu (CuO로써)와 DDAC의 유효성분 비율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목재 수종은 낙엽송, 미송, 라디에타소나무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ACQ 약액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과정에서 재사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약액의 농도는 감소하였으며, 농도 감소경향은 유효성분의 종류별로 다르게 나타나 Cu보다는 DDAC의 농도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Cu의 농도감소는 처리 수종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DDAC의 경우에는 약액 흡수가 많은 수종에서 농도 감소의 폭이 크게 나타났다. 약액의 재사용 횟수에 관계없이 Cu의 목재 흡수량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DDAC 흡수량은 재사용 횟수의 증가와 함께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약액의 재사용 횟수의 증가로 DDAC 농도가 감소하면 Cu의 흡수량이 증가하였으며, 이것은 처리 목재 내 흡착반응 과정에서 경쟁 관계에 있는 DDAC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Cu의 흡착량이 많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산화탄소 흡착용 구리 아데닌 MOF 합성 및 연구 (Synthesis and studies on novel Copper adenine MOF for $CO_2$ adsorption)

  • 마니 가네쉬;푸시파라지 헤마라다;팽메이메이;김대경;장현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357-360
    • /
    • 2011
  • A new copper adenine MOF (Bio-MOF) was synthesized by hydrothermal procedure and explored for its low temperature $CO_2$ adsorption. In this adenine a DNA nucleotide was used as a ligand for Cu in DMF solution at $130^{\circ}C$. The synthesized Bio MOF was characterized by XRD, SEM, EDS, TG and BE Tresults. The material possesses high surface area (716.08 $m^2g^{-1}$) with mono dispersed particles of about 2.126 nm. The maximum $CO_2$ adsorption capacity is 5wt% at $50^{\circ}C$, which is regenerable at $100^{\circ}C$ which is very low when compared to other metal organic frame work studied. This study proves that the synthesized material is also be a choice materials for low temperature $CO_2$adsorption.

  • PDF

활성탄과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수용액상의 니켈과 구리 제거 특성 (Removal Properties of Nickel and Copper ions by Activated Carbon and Carbon Nanotube)

  • 정용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10-416
    • /
    • 2018
  • 본 연구는 탄소나노튜브(MWCNT)와 활성탄을 이용한 니켈과 구리의 흡착특성을 평가하였다. 산성조건에서 활성탄의 제거성능이 낮은 반면, MWCNT만 니켈과 구리를 흡착 제거하는데 효율적이었다. MWCNT와 중금속의 흡착반응은 유사 일차반응식을 따랐다. 초기 pH가 중성일 때, 니켈은 MWCNT에 의해 신속히 제거되었고, 활성탄은 4시간에 각각 99.02%와 80.30%를 나타냈다. 또한, 구리이온은 초기 pH가 중성일 때 4시간내에 효율적으로 제거되었다. 흡착제 주입량을 증가함에 따라 pH가 증가하였고, 중금속 제거율도 증가하였다. 또한, 산화 전처리 공정은 MWCNT의 중금속 제거율을 증가시켰다.

소나무 및 참나무 백탄의 물성과 구리(II) 이온 흡착 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pper(II) Ion Adsorption Ability of Wood Charcoals)

  • 이오규;조태수
    • 임산에너지
    • /
    • 제25권2호
    • /
    • pp.55-63
    • /
    • 2006
  • 전통 방식으로 제조되어 시중에 유통 중인 2종의 참나무 백탄과 2종의 소나무 백탄에 대한 물성과 수용액 상 구리(II) 이온 흡착 성질을 시험하였다. 물성시험 결과, 탄의 pH는 약 9.5-9.8로 시료 탄간의 차가 크지 않았다. 원소 조성에 있어서는, 4종 시료 탄의 탄소(C) 함량이 약 85-90%로 나타났으며 S사 소나무탄의 수소(H) 함량이 1.62%로 타 시료에 비해 3배가량 높았다. 4종 시료 탄의 요오드 흡착량과 비표면적 측정의 결과에서는, 소나무탄이 참나무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들 시료 목탄의 수용액 내 구리(II) 이온 흡착율 측정 시험에서는, 목탄 시료의 처리양이 늘어날수록, 처리 시간이 길수록, 그리고 pH가 높을수록 높은 구리(II) 이온 흡착율을 나타냈다.

  • PDF

Pseudomonas cepacia KH410의 중금속 흡착특성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Biosorption by Pseudomonas cepacia KH410)

  • 박지원;김영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97-203
    • /
    • 2001
  • 담수식물의 근계(根界) 부착하는 미생물 군집에서 중금속 제거능이 있는 균주인 Pseudomonas. cepacia KH410 을 분리하여 이 균주의 납과 카드윰, 구리에 대한 생흡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최적 흠착조건은 1.0 g-biomass, pH 4, 그리고 온도는 $40^{\circ}C$일 때이었다. 흡착평형은 120분에서, 1000 mg/1농도에서 이루어 졌다. 흡착용량(K)은 납이 카드뮴에 비해 5.6배, 구리에 비해서는 4.0배 높았으며 흡착강도(1/n)는 납>구리>카드뮴의 순이었다. 흠작강도에 따른 등온식 적용은 납은 Langmuir등온식, 그리고 구리와 카드뮴은 Freundlich 등온식 적용이 오차가 적었다. 건조 균체를 이용한 최대 흡착은 납과 카드뮴, 구리에 대하여 각각 83.2, 42.0, 65.2 mg/g-biomass 이었다. 중금속 회수를 위한 탈착 실험에서는 납은 0.1 M HCl에서 그리고 카드뮴과 구리는 0.1 M $HNO_3$에 의하여 높은 탈착율을 나타내었다. 고정화 균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전처리는 각각의 세 가지 중금속에 대하여 0.1 M KOH가 가장 효율적이었다. 고정화 균체에 의한 최대 흡착은 납, 카드뮴, 구리가 각각 77.8, 58.5, 71.2 mg/g-biomass 이었으며 경금속 혼재시에도 비교적 안정한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중금속 제거효율을 비교한 결과 고정화 균체가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제거보다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