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king alcohol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7초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llium monanthum MAX. Extract on Ethanol-Induced Liver Damage in Rat

  • Choi, Byun-Suk;Lee, Myung-Yul;Jeong, Yoonhwa;Shin, Gil-M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3호
    • /
    • pp.245-252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Allium monanthum MAX. (AME) o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in rat liver.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00~150 g, were divided into 5 groups; normal group (NOR), AME 200 mg/kg treated group (S1), ethanol (35%, 10 mL/kg) treated group (S2), AME 200 mg/kg and ethanol (35%, 10 mL/kg) treated group (S3) and AME 400 mg/kg and alcohol (35%, 10 mL/kg) treated group (S4). AME was fractionated by the following solvents: n-hexane, chloroform, EtOAC and n-BuOH. Antioxidant index of the n-BuOH fraction was 600 ppm, highest among fractions. The growth rate and feed efficiency ratio were decreased by ethanol, but gradually increased to the corresponding level of the normal group by administering AME. The serum ALT activities that were elevated by ethan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AME administration.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hepatic activities of SOD, catalase, xanthine oxidase and GSH-Px that were increased by ethanol were also markedly decreased in the AME treated group with compared to ETB.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anol extracts of Allium monanthum MAX. may have a protective effect o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in rat liver.

마늘 황화합물의 병원성미생물 번식억제작용 (Growth Inhibitory Activity of Sulfur Compounds of Garlic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 경규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5-152
    • /
    • 2006
  • 마늘과 마늘의 황화합물은 여러 가지 미생물(그람양성 및 음성 세균, 곰팡이, 효모, 원생동물)의 번식을 저해하므로 마늘을 감염증치료에 쓰고자 하는 노력이 많았고 따라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번식저해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마늘에 의한 병원성 미생물의 번식저해작용을 연구한 대상 미생물 중에서 세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기타 많은 종류의 그람음성 및 앙성 병원성 세균이 연구대상이었다. 효모와 곰팡이를 통털어 Candide albicans의 번식저해 연구가 전체 진균류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특이하게 Giardia intestinalis에 대한 연구보고도 있었으며 마늘은 시험한 대부분의 미생물에 대해 강력한 천연 항균제로서 인정되었다. 마늘은 원래 가열하지 않은 생마늘이어야 알린이 alliinase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강력한 항균물질인 알리신을 생성하게 되므로 주로 생마늘의 항균작용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알리신은 불안정하여 저장중에 분해되어 여러 가지 물질로 변화하게 되는 데 알리신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ajoene이나 기타 여러 가지 sulfide류 역시 세균이나 효모에 매우 강력한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마늘의 알리신이 나타내는 항균작용은 thiosulfinate기가 미생물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중에서 -SH 기를 가지는 효소단백질과 결합하여 불활성화시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미생물이 사멸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일반적인 독성 메카니즘 이외에 특이한 효소에 특이하게 저해작용을 나타낸다는 가설이 있고 그 중에서도 지방산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저해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많다. 최근에 식품의 조리 온도에서 가열한 마늘이 항균작용이 있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그 작용은 주로 항진균작용이며 그 항균작용물질은 알린이 열분해 되어 생성되는 allyl alcohol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재질 표면에 오염된 여러 병원성 세균에 대한 건열살균 및 살균소독제의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Dry-Heat Treatment and Chemical Sanitizer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Contaminated on the Surfaces of Materials)

  • 배영민;허성기;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265-1270
    • /
    • 2009
  • 조리기구 및 도구의 재질 표면에 오염된 병원성 세균은 외식 및 단체급식에서 교차 오염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들이 표면에 형성시킨 biofilm은 세척 및 살균소독 과정에서도 살아남아 식중독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업적 살균소독제와 $71^{\circ}C$ 건열 살균을 하였을 때 스테인리스 스틸과 폴리프로필렌에 오염된 5종류의 병원성 미생물(E. coli O157:H7, S. Typhimurium, P. aeruginosa, L. monocytogenes, S. aureus)의 부착세포와 biofilm에 대한 저해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로 염소계와 $71^{\circ}C$ 건열처리는 모두 유의적인 저해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알코올계살균소독제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폴리프로필렌에서 각각 3.4$\sim$6.4 log, 5.5$\sim$7.4 log CFU/coupon 수준의 감소를 보여 강한 살균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살균소독제 처리는 단체급식소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소독방법이지만, 살균소독제 종류에 따라서 살균 효과 차이가 크고, 미생물의 오염되어 있는 물질 및 오염 방법 등 처리 조건의 차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살균 소독을 위해 보다 다양한 조건과 처리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열방법 및 온도가 전자선 조사한 한우 steak의 지질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oking Method and Temperature on the Lipid Oxidation of Electron-Beam Irradiated Hanwoo Steak.)

  • 박태선;신택순;이정일;박구부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840-846
    • /
    • 2005
  • 본 연구는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위생적인 식육생산을 위한 방법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재료는 한우암소 지육중 육질등급 1+판정(근내지방도 No.7. 육색 No.4, 성숙도 No.1, 조직감 No.1)을 받은 지육($280\∼300kg$) 6두를 구매하였다. 구매한 원료지육을 1차 수도물로 고압수세하고 2차 $ 50\% $에틸알콜로 소독한 후 발골 정형하여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가열온도가 높아갈수록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아갔다. PBS는 가열온도에 따른 지방산패에서 전자선 비조사구와 조사구 모두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높은 지방산 패도를 나타내 었고(P<0.05), OBS 또한 malonsldehyde양이 증가하였다(p<0.05). 가열온도별로는 $ 60^{\circ}C $에 비하여 $ 80^{\circ}C $가 비조사구와 3, 6 kCy 조사구는 약 2배정도의 MA량이 생성되었다(p<0.05). OBS가 PBS보다 많은 양의 malonaldehyde가 생성되었으며, 전자선 조사 수준의 차이에는 수준에 따라 비조사구와 약간의 차이만 나타내었다. 전자선조사수준과 가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발생량이 증가하였으며, 또한 가열방법 중 PBS가 OBS에 비하여 산화의 정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Bacillus subtilis var. globigii와 Scopulariopsis brevicaulis 접종메주로 단기숙성 저염생간장의 젖산 및 알콜발효 (Lactic acid and alcoholic fermentation of low-salted raw kanjang digestion liquor made from Bacillus subtilis var. globigii and Scopulariopsis brevicaulis inoculated meju)

  • 정영건;최청;정현채;임무혁;최종동;이춘우;최광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6호
    • /
    • pp.405-409
    • /
    • 1998
  • 본 연구는 재래간장의 원료 대두로부터 자숙과 메주제조 과정중의 당류의 행동을 추적하고 가당에 의한 젖산발효와 알콜발효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G8메주와 SB메주 제조과정 중 수용성 당류함량이 대폭 감소하였다. G8메주와 SB메주로 만든 저염간장 소화액에 젖산균 Pediococcus halophilus와 효모 Zygosaccharomyces rouxii 및 Candida versatilis의 종모배양액을 접종한 결과, 5% glucose를 첨가한 G8간장과 SB간장에서는 모두 급속히 젖산발효와 알콜발효가 일어났으나 당 무첨가 간장에서는 발효가 일어나지 않았다. 종모배양액 접종 후 160시간 후 가당 G8간장과 가당 SB간장에서 각각 0.46%, 0.88%의 젖산과 1% 및 약 2%의 알콜을 함유하고 있었다.

  • PDF

한지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분석 (Analysis of Sludges from Wastewater of Hanji Production)

  • 최희선;김태진
    • 분석과학
    • /
    • 제12권4호
    • /
    • pp.318-325
    • /
    • 1999
  • 한지를 만들 때 발생하는 폐수로부터 분리하여 얻은 슬러지를 분석하여 본 결과 잿물 삶기 공정과 최종 화학 및 미생물처리 공정의 슬러지는 섬유질이 아니고, 표백 공정, 표백제 씻기 공정, 그리고 지통으로 옮기기 공정의 슬러지는 섬유질이었다. 고형분의 양은 표백 공정에서 가장 많았다. 수분 함량은 표백, 표백제 씻기 및 최종 화학 및 미생물 처리 공정의 슬러지 시료가 80~90% 정도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의 pH를 냉수와 열수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표백 시료가 하이포아염소산 이온으로 인해 다른 시료보다 높은 pH를 나타내었다. 슬러지의 무기물 성분 함량은 잿물 삶기 시료에서는 Na, 표백제 씻기 시료에서는 Ca, 최종 화학 및 미생물 처리 슬러지에서는 Ca 와 Al을 주로 포함하고 있었으며, 그 외에도 Mg, Fe, K, P, Mn, Ti 등도 적은 양을 포함하고 있었다. 회분의 함량은 표백 공정의 슬러지일 경우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슬러지를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섬유질 모양과 결정성 모양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는데 섬유질의 폭은 $5{\sim}50{\mu}m$ 정도이었다. 냉수와 온수에서 녹아 나오는 가용분과 알코올-벤젠 가용분 모두 표백 공정의 슬러지에서 가장 많았다.

  • PDF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식용유로부터 FAME의 제조 : RSM에 의한 공정변수 최적화 (Microwave Mediated Production of FAME from Waste Cooking Oil : Optimization of Process Parameters by RSM)

  • 홍인권
    • 공업화학
    • /
    • 제31권2호
    • /
    • pp.172-17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폐유원료 바이오디젤 제조공정의 최적화 과정을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해 진행하였다. 공정 변수로는 폐식용유의 산가,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시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온도, 알코올/유지 몰비 등을 선택하였고, 반응치로는 FAME 함량(96.5% 이상) 및 동점도(1.9~5.5 cSt)를 설정하였다. 기초실험을 통해 계량인자 변수범위를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시간(4~6 min),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세기(400~600 W), 알코올/유지 몰비(7~9)로 정하고,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최적화 결과 바이오디젤 제조공정의 최적조건은 산가(2.0, 3.0 mg KOH/g) 별로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시간(5.0, 5.1 min),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세기(481.3, 525.5 W), 메탄올/유지 몰비(7.9, 8.4)로 나타났고, 이 조건에서 FAME 함량(97.49, 96.34%)과 동점도(4.01, 4.12 cSt)로 예측되었다. 실제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는 FAME 함량(97.82, 96.42%)과 동점도(4.07, 4.16 cSt)로 측정되었고, 이의 평균 오차율은 각각 0.22, 0.98%로 나타났다.

Dietary and Demographical Risk Factors for O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Eastern Anatolian Region of Turkey Where Upper Gastrointestinal Cancers are Endemic

  • Koca, Timur;Arslan, Deniz;Basaran, Hamit;Cerkesli, Arda Kaymak;Tastekin, Didem;Sezen, Duygu;Koca, Ozlem;Binici, Dogan Nasir;Bassorgun, Cumhur Ibrahim;Ozdogan, Mustaf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5호
    • /
    • pp.1913-1917
    • /
    • 2015
  • Background: O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is endemic in the Eastern Anatolian region of Turkey.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ESCC that specifically reflect the demography and nutritional habits of individuals living in this reg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compared in 208 ESCC patients and 200 control individuals in the Eastern Anatolian region: age, sex, place of living, socioeconomic level, education level, smoking, alcohol intake, nutritional habits, and food preservation methods. Results: The mean age of ESCC patients was 56.2 years, and 87 (41.8%) were 65 years-old or older. The ratio of women to men in the patient group was 1.39/1. ESCC patients consumed significantly less fruit and yellow or green vegetables and more hot black tea, 'boiled yellow butter', and mouldy cheese than did control individuals. Residence in rural areas, smoking, and cooking food by burning animal manure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SCC. Conclusions: The consumption of boiled yellow butter and mouldy cheese, which are specific to the Eastern Anatolian region, and the use of animal manure for food preparation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in this region.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potentially identify the carcinogenic substances that promote the development of ESCC in this region.

향교(鄕校)와 서원(書院)의 제례(祭禮)에 따른 제수(祭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tual Foods according to Various Sacrificial Rituals in the Hyangkyo and the Seowon)

  • 윤숙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1-260
    • /
    • 1998
  • 1. Both the festival held in Confucian temple to honor Confucius or a religious ceremony in Korean traditional lecture-hall are the sacrificial rituals which is the mark of the respect for prescholars and these rituals has been followed the rules written in the book,'Yaegi' 2. For the Food formal display for the festival in Confusian temple of Chinese Gukjagam, Pebak(clothes), Mohyul(hair and blood), and the ritual food dishes, such as Byun 10, Doo 10, Gang 3 (Deung 1, Hyung 2), Bo 2, Cue 2, Jo 3 (Taeraeu as beef dish 1, Soraeu as sheep and pork dishes 2), Joo(alcohol) 3 were displayed, while in Juhyunhak, Byun 8, Doo 8 were displayed. In Taesangji edited around in 1873 in Korea, for the Confucian shrine Pebak, Mohyul, Byun 10, Doo 10, Deung 3, Hyung 3, Bo 2, Cue 2, Jo 6 (raw 3, cooked 3), Joo 3 were displayed. In pedantry Confucian temple, Pebak, Byun 8, Doo 8, Bo 2, Cue 2, Jo 2 (raw sheep and pork), Joo 3 were displayed while Mohyul was omitted, which this type of display was almost identical through the nationwide survery for the Confucian food display. Some of the Confucian food display, most of the display for Bo and Cue have been changed to Bo 1 and Cue 1, and one fifth of the Confucian display for Byun and Doo also has been changed in the numbers and food varieties. 3. In most of the sacrificial ritual food display in the Korean traditional lecture-hall, Pebak (some not applicable), Byun 4, Doo 4, Bo 1, Cue 1, Jo 1 (raw), Joo 1 were displayed. In these days, the number of the Confucian temple where the sacrificial rituals is not held, has been increased. 4. For the names of food for the Byun and Doo dishes, mostly the old names are used, however, minor changes in materials and cooking method have been found.

  • PDF

무증자(無蒸煮)전분법에 의한 알코올생산(生産) (Production of Alcohol from Starch without Cooking)

  • 박관화;오병하;홍승서;이계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3호
    • /
    • pp.198-203
    • /
    • 1984
  • 열에 의한 호화전분을 사용하는 에탄올 발효공정에서 증자과정을 생략하기 위한 방법으로 알칼리호화 및 생전분으로 부터 직접 발효시키는 가능성을 여러가지 전분종류에 따라 검토하였다. 5.4% NaOH를 사용하여 전분을 호화시키고 $H_{2}SO_4$$KH_{2}PO_4$용액을 사용하여 중화시켰다. 이어상법에 따라 에탄올 발효를 시킨 결과 $CO_2$발생속도에 있어서는 화학적 호화방법에 비해 약간 떨어지나 최종 에탄올함량은 동일하였다. 한편 생전분에 당화효소와 효모를 첨가하고 동시 당화, 발효시켰을때 쌀의 생전분은 가열호화시킨 전분과 $CO_2$생성속도 및 최종 에탄올함량이 거의 비슷하였다. 옥수수, 보리, 타피오카 및 고구마등의 생전분은 초기의 $CO_2$생성속도가 늦었고 발효종료에 걸리는 시간은 길었으나 최종 에탄올함량은 종류에 따라 비슷하거나 약간 떨어졌다. 감자생전분은 분해, 발효시 초기의 $CO_2$발생속도와 발효율이 현저히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