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amination level

검색결과 1,028건 처리시간 0.023초

소규모 한과제조업체의 제조공정에 대한 미생물 오염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n manufacturing processes for small-scale Korean traditional cookies manufacturers)

  • 김솔아;이정은;박현진;박미선;최송이;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93-50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과자인 유과와 강정을 원·부재료와 기기 및 도구, 작업자의 개인위생, 제조공정별 원료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을 분석하였다. 유과제조 과정 중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세척 방법과 횟수에 따른 미생물 저감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강정의 제조 공정 중 튀밥에서 일반세균수 1.2 Log CFU/g, 완제품의 경우 3.7 Log CFU/g까지 점차 증가하였다. 유과의 제조 공정 중 일반세균수는 불림공정에서 일반세균 최대 6.5 Log CFU/g 수준으로 증가하다가 튀김공정에서 1.3 Log CFU/g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완제품에서 4.0 Log CFU/g 수준으로 재 오염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제조과정 중에 작업도구와 기기 또는 작업자 등에 의한 교차오염으로 판단되었다. 작업 도구인 주걱의 경우 일반세균 약 4.4 Log CFU/g, 대장균군 4.2 Log CFU/g으로 매우 오염도가 나타났다. 유과의 불림단계에서 7일동안 일반세균 수가 최대 10 Log CFU/g 이상, 대장균군의 경우 6.8 Log CFU/g으로 증가하였다. 손 또는 도구를 이용한 세척 방법과 흐르는 물에 세척한 방법을 비교하였을 때, 손을 이용하여 수돗물로 10회 세척하였을 때 일반세균 5.0 Log CFU/g, 대장균군 2.8 Log CFU/g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소규모 업체의 전통 한과 제조 시 작업자나 작업 도구 및 기기 사용 후 세척 및 소독하는 과정이 요구되며 완제품의 미생물 오염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저감화 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중음식점 일회용 물티슈의 세균 오염도 조사 (Bacterial Contamination in Disposable Wet Wipes from General Restaurants)

  • 정무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37-241
    • /
    • 2016
  • 2016년 4월부터 6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대중음식점, 커피전문점 및 제과 제빵점 등에서 제공하는 일회용 물티슈를 대상으로 미생물의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사용된 재료는 일회용 물티슈 55종을 사용하였다. 대중음식점 일회용 물티슈 55종의 평균 세균 수는 $4.14{\times}10^3CFU/mL$이었으며, 세균이 자라지 않은 물티슈는 5종이었다. 가장 높게 측정된 세균 수는 2종의 물티슈에서 $16.67{\times}10^3CFU/mL$ 이상으로 나타났다. 순수 분리한 총 균수는 71균주이며, 이 중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 15균주,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3균주를 동정하였다. 이는 대중음식점에서 공급하는 물티슈의 세균 오염도가 심각하다는 것을 반영하며 기회감염의 원인이 되는 Staphylococcus aureus와, Pseudomonas aeruginosa가 발견된 것은 주목할 만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 번 사용 후 버리는 일회용품이며, 수개월 내지는 1~2년 보관하면서 사용하는 제품인 일회용 물티슈의 위생관련 기준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대중음식점 등에 대한 위생관리 감독 강화와 개선방안 및 개인 위생관리 및 국민보건 수준향상에 기여 하고자 한다

곶자왈 지역의 의약물질과 농약의 오염수준과 생태독성영향 (Contamination Levels of Pharmaceuticals and Pesticides in the Gotjawal Regions of Jeju Island and Associated Ecotoxicities)

  • 강하병;고수림;최윤송;이상우;고영림;오달영;최경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26-437
    • /
    • 2013
  • Objective: Gotjawal refers to a special geographical designation found in Jeju Province, Korea, where vegetation forms over a rocky area. Due to the important ecological value of Gotjawal, international concern about such areas is growing. However, only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f Gotjawal.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contamination and associated ecotoxicological effects of surface water bodies in Gotjawal. Methods: Surface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three sampling sites in two Gotjawal areas and were analyzed for several pharmaceuticals and pesticides in consideration of the potential sources of contamination. The ecotoxicity of the samples was measured using water fleas (Daphnia magna and Moina macrocopa) and zebrafish (Danio rerio). In addition, effects on the gene transcription of zebrafish were investigated following exposure to the samples. Results: Nine pharmaceuticals were detected in the samples, but none of the target pesticides were detected. Following acute exposure to two surface water samples, the survival of waterfleas was significantly reduced, but reproduction was not affected. In zebrafish, time-to-hatch was delayed and fry survival was decreased in some samples. On the other hand,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there were no gene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xposure to the samples.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study investigating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Gotjawal areas and associated ecotoxicities.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identify the cause of acute Daphnia toxicity and to determine potential consequences of longer-term exposure in Gotjawal areas.

하수종말 처리장 처리수의 해양 방류와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 (Heavy metals contamination in coastal sediments by the large discharge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

  • 권영택;이찬원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3-92
    • /
    • 1998
  • 마산시 하수 종말처리장의 년간 방류량은 63×10/sup 6/ m³ 이며 처리수의 해양방류로 인하여 방류위치에 부하되는 중금속의 량은 년간 Zn 8,645 Kg, Ni 3,291 Kg, Cu 1,636 Kg 그리 고 Pb 1,250 Kg으로 방류지점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이 급속히 진행 되고 있다. 특히 Zn과 Cu는 동일 위치의 비오염층과 비교 할 때 3배 정도 오염되었다. 다양한 오염도 평가방법으로 방류지역 퇴적물을 평가한 결과 USEPA의 퇴적물 오염도 기준과 비교하였을 때 "극심한 오염 수준" 이었으며, 다종의 중금속 측정결과에 의한 종합적인 오염도 판단 결과는 "상당한 오염수준"으로 오염이 증가 되었다. 이와같이 오염이 증가된 방류 해역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함량을 생태위해성 기준을 적용하여 평가하였을 때 16~47%의 생육저해를 유발할 수 있는 오염수준으로 평가되었다.

  • PDF

GIS를 이용한 경기도 화남2지구의 지하수오염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USING THE GIS IN HWANAM 2 SECTOR, GYEONGGI PROVINCE, KOREA)

  • 손호웅
    • 지구물리
    • /
    • 제4권4호
    • /
    • pp.267-285
    • /
    • 2001
  • 본 연구는 DRASTIC 모델에 구조선밀도, 토지이용 인자를 추가한 수정 DRASTIC 모델을 개발하여 경기도 화남2지구의 지하수오염 가능성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수리지질 환경에서 대수층은 대부분 암반 대수층인 점을 고려했을 때, 구조선밀도는 지하수 및 오염물질 유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토지이용은 점오염원 혹은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각 인자별 격자 레이어를 생성하고, 각각의 상관계수를 분석함으로써 신뢰도 여부를 판단하였다. 최종 결과물인 종합오염현황도는 수정 DRASRIC Potential과 여러 가지 오염원의 발생 부하량 값을 논리비교함으로써 수리지질학적인 측면에서의 오염가능성 지역과 수질측면에서의 오염가능성 지역을 예측할 수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새만금 해양환경에서의 잔류성 유기염소계 농약의 분포 및 특성 (Contamina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ersistent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the Saemangeum Environment)

  • 홍상희;심원준;이동호;임운혁;오재룡;김은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317-329
    • /
    • 2006
  • To assess the contamination statu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the marine environment of Saemangeum, surface seawater and sedi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rganochlorine pesticides were widely distributed in the Saemangeum environment, with DDT, HCH and endosulfan II contamination being particularly prevalent. The overall concentrations of DDTs, HCHs, and endosulfan II in surface seawater were in the rage of 0.03-0.65ng/l (mean value: 0.36ng/l), 1.31-4.54ng/l (2.63 ng/l), and not detected (ND)-0.96ng/l (0.49ng/l), respectively. Among the target organochlorine pesticides, endosulfan II showed the hi띤est level at the river mouth flowing into the Saemangeum. Additionally, its negative gradient from the rivers to the outside and a good correlation with $NO_3^-$ indicate that endosulfan ll inflows to the Saemangeum through the river; this conclusion is also supported by the elevated levels of endosulfan II in sediments at the river mouth. In sediment, the concentration of DDTs, HCHs, CHLs, and endosulfan II were in the range of 0.05-1.96 ng/g, 0.03-0.31ng/g, 0.01-0.13ng/g, and ND-0.62ng/g, respectively. Levels of contamination in Saemangeum are relatively lower than the median concentrations previously observed at the Korean coastal regions and sediment quality guidelines suggested by NOAA (Long et at. 1995).

Bacterial Contamination and Disinfection Status of Laryngoscopes Stored in Emergency Crash Carts

  • Choi, Jae Hyung;Cho, Young Soon;Lee, Jung Won;Shin, Hee Bong;Lee, In Kyu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0권3호
    • /
    • pp.158-164
    • /
    • 2017
  • Objectives: To identify bacterial contamination rates of laryngoscope blades and handles stored in emergency crash carts by hospital and area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intubation attempts. Methods: One hundred forty-eight handles and 71 blades deemed ready for patient use from two tertiary hospitals were sampled with sterile swabs using a standardized rolling technique. Samples were considered negative (not contaminated) if no colonies were present on the blood agar plate after an 18-hour incubation period. Samples were stratified by hospital an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intubation attempts (10 attempts per year) using the ${\chi}^2-test$ and Fisher exact test. Results: One or more species of bacteria were isolated from 4 (5.6%) handle tops, 20 (28.2%) handles with knurled surfaces, and 27 (18.2%) blad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n the handle tops and blades between the two hospitals and two area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intubation attempt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hospitals and two areas in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on the handles with knurled surfaces (p<0.05). Conclusions: Protocols and policies must be reviewed to standardize procedures to clean and disinfect laryngoscope blades and handles; handles should be re-designed to eliminate points of contact with the blade; and single-use, one-piece laryngoscopes should be introduced.

서울시 우수관에서 채취한 도로변 퇴적물의 중금속오염의 공간적 변화 (Spatial variability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urban roadside sediments collected from gully pots in Seoul City)

  • 이평구;유연희;윤성택;신성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2호
    • /
    • pp.19-35
    • /
    • 2003
  • In order 새 investigate the spati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heavy metal pollution in heavily industrialized urban area, urban roadside sediments were collected for five years from gully pots in Seoul City. A series of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concerning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diments in order to evaluate the contamination of heavy metals such as Cd, Co, Cr, Cu, Ni, Pb and Zn. Roadside sediments and uncontaminated stream sediments were analyzed for total metal concentrations using acid extraction. The roadside sediments are characterized by very high concentrations of Zn (2,665.0$\pm$1,815.0 $\mu\textrm{g}$/g), Cu (445.6$\pm$708.0 $\mu\textrm{g}$/g), Pb (214.3$\pm$147.9 $\mu\textrm{g}$/g) and Cr (182.1$\pm$268.8 $\mu\textrm{g}$/g), indicating an artificial accumulation of these metals to the sediment chemistry. Comparing with average contents of uncontaminated stream sediments, roadside sediments were shown zinc 14 times (up to 64.4), copper 9 times (up to 181.7), lead 6 times (up to 63.7), cobalt 6 times (up to 168.7), nickel 4 times (up to 98.4), cadmium 2 times (up to 12.8) and chrome 2 times (up to 40.2) high content. The relative degree of heavy metal pollution for roadside sediments collected from each district in Seoul City is evaluated using the “geoaccumulation index”. As a result, heavy-metal contamination is highest centering the oldest residential district and industry area, and contamination level decreases as go to outer block of the city. The factor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levels of Cu, Ni, Fe and Cr are strongly related to numbers of factories, whereas the concentrations of Cr, Zn and Cd dependant on pollution index, indicating artificial contamination due to site-specific traffic density.

배관 내부 방사능 오염도 측정용 ZnS(Ag)/BC-408 phoswich 검출기 개발 (Development of the ZnS(Ag)/BC-408 phoswich detector for monitoring radioactive contamination inside pipes)

  • 김계홍;박찬희;정종헌;이근우;서범경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123-128
    • /
    • 2006
  • 원자력 시설의 해체 시 발생되는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 중에서 배관 내부의 알파/베타선 오염 특성을 직접 평가하기 위해서는 소형의 방사선 검출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배관 내부의 방사능 오염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장비 개발의 일환으로서 기존의 phoswich 검출기와 그 형태가 다른 ZnS(Ag)/플라스틱섬광체 조합의 알파/베타선 동시측정용 phoswich 검출기를 고안하였으며 섬광체 크기 및 검출 시스템의 최적 요건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알파/베타선 신호 분리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배관 내부의 오염도 측정에 적합한 phoswich 검출기의 최적 요건 및 배관 내부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GIS를 이용한 경기도 화남2지구의 지하수오염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using the GIS in Hwanam 2 Sector, Gyeonggi Province, Korea)

  • 손호웅
    • 공학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89-107
    • /
    • 2004
  • 본 연구는 DRASTIC 모델에 구소선밀도, 토지이용 인자를 추가한 수정 DRASTIC 모델을 개발하여 경기도 화남2지구의 지하수오염 가능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수리지질 환경에서 대수층은 대부분 암반 대수층인 점을 고려했을 때, 구조선밀도는 지하수 및 오염물질 유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토지이용은 점오염원 혹은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각 인자별 격자 레이어를 생성하고, 각각의 상관계수를 분석함으로써 신뢰도 여부를 판단하였다. 최종 결과물인 종합오염현황도는 수정 DRASTIC Potential과 여러 가지 오염원의 발생 부하량 값을 논리비교함으로써 수리지질학적인 측면에서의 오염가능성 지역과 수질측면에서의 오염가능성 지역을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