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nsumer preferences

검색결과 524건 처리시간 0.027초

소비가치에 따른 패션주얼리의 선호도 (Preferences for Fashion Jewelry Depending on Consumption Value)

  • 김민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67-576
    • /
    • 2012
  • 본 연구는 패션주얼리의 디자인, 색상, 재료에 대하여 소비가치에 따른 선호도 분석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여성소비자 15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소비가치 조사도구는 VALS (Values and Life Style) 기법에 의하여 원리원칙 지향적 가치, 지위 지향적 가치, 행동 지향적 가치 등 세 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소비가치에 따라 패션주얼리 디자인 특성에 따른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에 따라 패션주얼리 보석 세팅 개수에 따라서는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석재료에 따라서는 선호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션주얼리 색상특성에 있어서는 소비가치에 따라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에 따른 패션주얼리 선호도에 차이가 전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원인은 사용가치 보다는 소비자의 소비가치에 의해 제품의 선호도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비가치에 따른 타겟화 과정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전략 도출이 필요하다.

'차(茶)' 관련 스마트폰 앱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와 특성: 20대를 중심으로 (Consumer Preferences for Tea-Related Smartphone Applications: Focus on 20's Consumers)

  • 유양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52-361
    • /
    • 2015
  • 차(茶)는 오랜 음용의 역사를 갖은 음료로서 커피, 코코아와 함께 세계 3대 기호음료로 알려져 있으며 생활문화와 전통이 함께하여 다양한 콘텐츠의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플레이에 등록된 차연관 앱은 1,000개 이상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앱의 호감도가 높은 20대를 주 연구대상으로 차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차연관 앱의 기능은 무엇이고 선호하는 앱의 기능에 따라 소비자들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찾아보았다. 차 소비자 1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선호하는 차연관 앱 기능과 소비자들의 연령, 차 섭취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0대는 차 마시는 곳 찾기, 엔터테인먼트와 티타이머 기능을 더 선호하였으며 30대 이상의 소비자 층은 예절, 다례, 다기, 차에 관한 기록의 기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섭취량이 많은 소비자 층은 다례와 예절에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선호하는 앱 기능과 소비자들의 성별, 차 애호 기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차연관 앱에 관한 소비자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차연관 앱 개발을 도모하고 전통음료를 배경으로 한 다양한 앱과 콘텐츠 개발과 발전에 기여하는데 뜻이 있다.

다중요인분석을 이용한 부분 최소제곱 경로 모형에 대한 고찰 (Study on analysis with partial least square path modeling using multiple factor analysis)

  • 박리라;이은경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3호
    • /
    • pp.315-328
    • /
    • 2018
  • 다중요인분석은 관능검사에서 주로 이용되는 분석으로 상품의 속성과 소비자들의 기호도에 대한 자료 분석에 주로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요인분석을 상품의 속성, 소비자들의 기호도 등의 자료에 이용하여 소비자들의 특성에 따라 몇 개의 군집으로 분류하고 이를 부분 최소제곱 경로모형을 이용하여 분류된 군집의 특성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향수의 속성에 대한 자료와 소비자들이 파악한 향수의 속성, 그리고 그들의 기호도에 관한 실제 자료를 다중요인분석을 이용하여 살펴보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소비자들을 4개의 군집으로 분할한다. 분할한 군집별로 제품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최소제곱경로모형에 적용하여 각 군집의 특성을 나타내는 잠재변수를 추정, 군집별로 소비자들이 선호하거나 기피하는 제품의 특성들, 그리고 각 군집별로 제품들을 어떻게 지각하는지 등을 파악한다. 다중요인분석을 활용한 부분 최소제곱 경로모형은 제품에 대한 특성과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동시에 분석하여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고 분석 결과를 제품 개발과 판매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신규 융합형 방송서비스 속성에 대한 소비자 선호 분석을 통한 미래 방송서비스 시장 예측 (Forecasting Future Broadcasting Service Market based on the Consumer Preferences for the Attributes of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 고대영;김태유;이종수
    • 기술혁신연구
    • /
    • 제14권1호
    • /
    • pp.227-254
    • /
    • 2006
  • Under the recent trend of telecommunications and broadcasting convergence, much more various forms of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are being introduced than ever before. Owing to the unique advantages,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are expected to bring drastic changes to the current broadcasting service market. In this research, we attempt to examine what kind of attributes critically affect the competition among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and how much competitive they will be, based on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about consumer preferences for the important attributes of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Conjoint survey was used in order to obtain stated preference data of consumers. From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are obtained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have many unique advantages, still price is the most important for the consumers. Second, it is expected that considerable consumer valuation exists for the unique advantages of new convergence broadcasting services like mobility and dual-way interactivity, which will add the competitiveness of those services in the future. Third, since midterm advertising puts negative utility on consumers, broadcasting services with midterm advertising will not be preferred to those with neither advertising nor midterm advertising. Fourth, service coverage and the number of consumers using the same broadcasting service have a significant feedback effect on the competition between broadcasting services from the dynamic aspect. Lastly, the consumer preference can be affected by demographic variables like age and gender, and broadcasting service usage patterns such as channel switchover for escaping advertisement and frequency of using other recorded media. Main findings of our research might become useful information for both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companies, contents providers, advertisers, and policy and regulation makers to cope with the uncertain environment of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convergence.

  • PDF

복숭아 분말 첨가 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Peach(Prunus persica L. Batsch) Powder)

  • 이정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8-12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젤리를 제조한 후 젤리의 물리화학적 품질특성(pH, 색도, 외관색상, 경도)과 소비자 기호도(색, 향미, 씹힘성, 맛, 전체적 기호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젤리의 pH는 증가하였다(p<0.001).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복숭아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01),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복숭아 분말 첨가 젤리의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결과는 복숭아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소비자 검사결과, 15% 첨가군이 모든 평가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젤리의 관능적 품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복숭아 분말의 기능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젤리의 최적첨가 농도는 15%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단호박 분말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Incorporated with Sweet Pumpkin Powder)

  • 이준호;이명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39-14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단호박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젤리를 제조한 후 젤리의 물리화학적 품질특성(수분함량, pH, 가용성 고형분, 색도, 외관색상, 경도)과 소비자 기호도(색, 향미, 씹힘성, 맛, 전체적 기호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젤리의 수분함량은 단호박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pH와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증가하였다(p<0.05).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단호박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젤리의 경도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소비자 검사결과 2% 첨가군이 모든 평가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젤리의 관능적 품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단호박 분말의 기능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최적 첨가 농도는 2%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소고기 소비성향 변화와 숙성육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Beef Consumption and Recognition of Aged Meat)

  • 신정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73-379
    • /
    • 2020
  • 본 연구는 소고기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2년과 2019년 조사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소비자 소비성향 변화와 숙성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육색 및 지방색, 신선도, 등급표시, 브랜드 여부의 품질판단기준과 풍미, 다즙성, 연도, 숙성기간, 마블링의 맛 결정요인, 그리고 근내지방이 건강에 해롭다는 인식에 대한 중요도를 후진소거법을 통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품질판단기준의 신선도와 맛 결정요인의 다즙성, 연도, 숙성기간, 근내지방이 건강에 해롭다는 인식의 중요도는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숙성육 구입의향 분석 결과 숙성육 구입의향에는 숙성육 인지여부, 숙성육에 대한 호감도, 신선도, 연도, 숙성기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소비자 선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소비자의 소비성향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여 소고기 소비성향 및 소비의향 연구의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숙성육 인식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소비자 선호의 다변화에 대응하고, 합리적인 생산 및 소비활동에의 반영을 위해 숙성육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소비자의 경험적 특성에 따른 패션기업의 판매촉진 유형별 선호 및 만족 (Preference and Satisfaction Regarding the Type of Fashion Retailer's Sales Promotion Based on Consumer's Empirical Characteristics)

  • 황정인;이지연;박재옥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2호
    • /
    • pp.169-183
    • /
    • 2012
  • This study was aimed at finding out the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levels regarding the type of fashion retailer's sales promotion based on consumers' empirical characteristics. A total of 22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urvey of this study. The methods of this study were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s, one-way ANOVA, $t$-tests and ${\chi}^2$-test. The consumer groups were divided by habitual experience and self-evaluated knowledge relate to apparel produ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nsumers have different preferences and post-utilization satisfaction regarding the type of sales promotion offered by fashion retailers. Consumers with more experiences in apparel product and with higher self-evaluated knowledge were more active in utilizing the benefits offered through the value-added type of sales promotions, such as the gift certificate or coupon. Consumers with more experience in apparel product also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both the utilitarian and hedonic types of sales promotions, such as gift certificate offer, special price, price discount event, and coupon or courtesy card offer. Furthermore, consumers with higher self-evaluated knowledge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utilitarian types of sales promotion, such as gift certificate offer and regular sale. Therefore, by identifying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consumers'empirical characteristics, an enterprise might be able to satisfy consumer by offering more appropriate and subdivided types of sales promotion.

국내 브랜드 돈육과 수입산 돈육의 선호도 분석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s for Branded and Imported Pork)

  • 김계웅;김민진;옥영수;김학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42-347
    • /
    • 2014
  •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nsumer preferences for branded and imported pork, including favorite cooking styles.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252 consumers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Consumers of branded pork showed a moderate preference "moderate" (5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 preference for branded pork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or living area.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yearly income (p<0.05). Consumers in the high-income group preferred branded pork more than those in the low-income group. Most consumers did not like imported pork (64.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 preference for imported pork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or living area, whereas there was in the yearly income group (p<0.05). Whereas low-income consumers did not like imported pork, high-income consumers did. The royalty for purchasing of branded pork was shown "3.65" out of 5 points.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there was for living area and yearly income (p<0.05). Consumers living in large cities or having low income showed high royalty of purchase for branded pork. The royalty for purchase of imported pork was "2.08" out of 5 points. Significant differences for purchase royalty of imported pork were observed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living area, and yearly income group (p<0.05). Consumers responded that they liked roasted pork (47.6%). Secondly, consumers liked stew (16.7%).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various cooking styles in any of the groups.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 Perceptions of Hanbang Cosmetics: A Topic Modeling Analysis of Sulwhasoo Reviews

  • Soo Kyung Kim;Jung Seung Lee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1권4호
    • /
    • pp.63-74
    • /
    • 2024
  • This study analyzes Korean and Chinese consumer perceptions of Hanbang (traditional Korean herbal) cosmetics, specifically focusing on Sulwhasoo's Jaum two-piece set. Using topic modeling, 7,000 consumer reviews from Naver (Korea) and Baidu (China) were examined to uncover the key themes that influence consumer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The results reveal significan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arkets. In both countries, the product is frequently purchased as a gift, and price sensitivity is a major concern. However, Korean consumers prioritize delivery experiences and product functionality, while Chinese consumers focus more on product quality and effectivenes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targeted strategies in each market. For success in Korea, competitive pricing and improved logistics are crucial, whereas in China, maintaining high product quality and capitalizing on the gifting culture are essential. Additionally, global expansion requires educating consumers on the benefits of Hanbang cosmetics, ensuring product consistency, and adapting to regional preferences. This research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cosmetic companies aiming to enhance their market presence both locally and internation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