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ervation ecology

검색결과 1,074건 처리시간 0.024초

농촌마을 당산숲의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방법론 고찰 -청도군 신원리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 설정을 사례로- (Perspectives of methodology for Cultural Contents of Dangsan Forest in Rural Village -Case of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 of Agricultural Landscape Ecology' at Sinwon-ri, Cheongdo-gun-)

  • 최재웅;김동엽;이상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444-457
    • /
    • 2014
  • 수백 년 전부터 농촌마을 주민들이 조성해 온 전통마을숲인 당산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이며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이제 문화콘텐츠는 지역성과 세계성을 같이 갖추어야 하며, 한국 고유의 글로컬문화콘텐츠 생산이 필요한 시점이다. 문화유산은 진정성 유지와 함께 지속가능한 관리체계를 갖추어야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현재 많은 당산숲이 방치되거나 소멸 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청도군 신원리의 4개 자연마을은 당산숲을 보호, 관리하고 있으며 그곳에서 당산제를 지낸다. 이 연구는 신원리 4개 마을의 당산숲 비보숲과 이것에 연결되어 있는 농경지, 하천을 포함하여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제도적 관리체계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은 한국 농촌이 갖고 있는 글로컬문화콘텐츠로서, 국가문화자산인 당산숲의 위상을 제고하고 농촌마을 활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n Adaptive Local Management Approach Cannot Overcome Large-Scale Trends: A Long-Term Case-Study for Saxifraga hirculus Conservation

  • Marrs, Rob H.;O'Reilly, John;Rose, Rob J.;Lee, HyoHyeMi;Alday, Josu G.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3권3호
    • /
    • pp.139-148
    • /
    • 2022
  • Saxifraga hirculus is classified as a vulnerable plant species in Europe, and it is confined to base-rich flushes in the British uplands. However, a lack of available information about its conservation status hampers the development of adaptive strategies for its in-situ conservation, especially with respect to grazing.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sheep grazing in maintaining viable populations of S. hirculus, we compared the community dynamics of the vegetation in a base-rich flush over 44 years in two plots: one sheep-grazed under business-as-usual sheep grazing densities and the other fenced to exclude grazing. The plots were established in 1972, and the abundances of all vascular plants, bryophytes, and litter were measured at six intervals until 2016. Our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he presence of S. hirculus was maintained in both plots over the 44 years, it declined and reached a minimum between 1995 and 2010, when it was close to extinction. Since 2013, Saxifraga has recovered only slightly. Interestingly, the S. hirculus response appeared to be independent of grazing treatment, but it mirrored wider changes in the vegetation composition and structure within the flush over the 44 years. These changes are similar to others reported in broader uplands that have been attributed to a combination of reduced nitrogen and sulfur deposition and global warming. Thus, the simple adaptive management approach of "just managing" sheep grazing appeared ineffectual for preserving the S. hirculus population. S. hirculus showed signs of recovery at the end of the study period within this base-rich flush.

갈색날개매미충(Pochazia shantungensis) (Hemiptera: Ricaniidae)의 기주식물, 발생지역 및 잠재서식지 예측 (Predicting the Potential Habitat, Host Plant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Pochazia shantungensis (Hemiptera: Ricaniidae) in Korea)

  • 김동언;이희조;김미정;이도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79-18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전국을 대상으로 갈색날개매미충의 국내 분포, 기주식물, 잠재서식지를 조사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은 43개 시군에서 관찰되었고, 경북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기주식물은 산지 및 농작물에서 53과 113종으로 확인되었고, 선행연구를 포함하여 62과 138종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기주식물은 사과나무, 두릅나무, 때죽나무, 갯버들, 닥나무, 자귀나무, 가죽나무, 밤나무, 아까시나무, 산수유 등이었다. 종분포 예측은 Maxent 모형을 사용하였고, 12개의 모형변수(8개 기후변수, 1개 토지피복변수, 1개 임상변수, 1개 생태자연도 변수, 1개 거리변수)를 활용하였다. 모형의 정확도는 0.884로 매우 우수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여름철 강수량, 여름철 평균기온, 임상현황, 토지이용현황이 갈색날개매미충의 잠재서식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국내 승인 LM면화의 자연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multiplex PCR 개발 (Multiplex PCR method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of approved LM cotton events in Korea)

  • 조범호;설민아;신수영;김일룡;최원균;엄순재;송해룡;이중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1호
    • /
    • pp.91-98
    • /
    • 2016
  • 면화(cotton)는 섬유를 수확하고, 면실유는 식용으로 가공 후 남은 것은 다시 사료로 이용되어 다방면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는 작물이다. LM 면화는 옥수수, 대두, 캐놀라와 달리 아시아권(중국, 인도 등)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13년까지 세계 1위의 LM 면실(사료용) 수입국이며, 세계 4위의 면실박 수입국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LM 면화의 수입량과 맞물려 유통 및 소비과정에서의 비의도적으로 유출 가능성이 증가함에 따라 LM 면화의 자연생태계 위해성 평가 및 안전관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입 승인 LM 면화 6개 이벤트(MON15985, MON531, GHB614, LLCOTTON25, MON88913, MON1445)의 동시증폭 검출법(multiplex PCR)을 개발하여 보다 신속하고 명확한 검출기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최적 multiplex PCR 반응 조건은 2개 LM 면화 이벤트 MON15985 (214 bp), MON531 (270 bp)와 4개 LM 면화 이벤트 GHB614 (119 bp), LLCOTTON25 (164 bp), MON88913 (276 bp), MON1445 (389 bp)가 한번의 반응에 명확하게 검출되는 최적 반응 조건 및 primer 반응 농도의 조절을 통해 서로 다른 생성물 크기로 명확히 구분되도록 하였고, 최적 primer 농도는 반응액 최종농도 0.2~0.66 pmol로 primer 쌍 마다 각각 다른 최적 농도 조합의 cocktail을 만들어 활용하였다. Duplex PCR 반응 조건은 초기 $95^{\circ}C$ 5분 반응 후, $95^{\circ}C$ 15초, $55^{\circ}C$ 20초 15회 반응하고, 다시 $95^{\circ}C$ 15초, $60^{\circ}C$ 20초 25회 반응하였을 때 최적 검출이 이루어졌고, tetraplex PCR 반응 조건은 $95^{\circ}C$ 5분 반응 후, $95^{\circ}C$ 15초, $60^{\circ}C$ 20초 50회 반응하였을 때 최적 검출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multiplex PCR 검출법은 국내 수입 유통 LM 면화의 자연환경 모니터링에 활용함에 있어 요구되는 연구인력, 시간 및 비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경관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생태네트워크의 국제적 동향 (Ecological Network for Landscap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 홍선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12-25
    • /
    • 2004
  • 경관의 보전과 복원, 계획은 생태계내의 다양성을 보전하고 유지하기위한 전반적인 통합관리 체계하에서 조직적인 운영이 요구되는 사항이다. 유전자수준에서부터 서식지, 생태계 및 경관수준에 이르기까지 생물의 다양성을 유지하고 개체군을 보전하며, 관리하기 위한 세계 여러 국가들의 전략과 노력은 주요거점서식지를 서로 연결하는 서식지 네트워크를 비롯하여 주요 동물이동통로에 대한 생태통로의 설치 및 훼손된 지역에 대한 복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최근에는 유럽에서는 이러한 서식지 수준의 네트워크를 인접 국가간에 공동으로 조직하여 관리하는 국가간 생태네트워크를 서두르고 있다. 경관수준의 서식지 및 생태계의 보전과 관리에 있어 핵심적 개념으로 떠오르고 있는 경관생태학 및 보전생태학적인 이론은 생태네트워크 개념에서도 그 중요한 원리가 활용된다. 본 서술형논문에서는 유럽의 생태네트워크의 운영활동을 참고하여 한국의 서식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생태네트 현황에 참고하고 하였으며, 여기에 개괄적이며 필수적인 경관생태학적 고려사향을 논하였다. 우리나라의 서식지 및 경관 수준의 네트워크전략과 환경정책의 수립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서식지 보호, 법적 접근 그리고 생태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향후 통일을 대비하면서 통일 이후의 남북간의 접경지역을 포함한 자연보전지역과 특수한 경관지역을 관리하고 보전하는데 유럽외 국가간 생태네트워크 프로그램은 주요한 우리 환경정책에 주요한 메시지를 주고 있다.

일본(日本)에서 계류변(溪流邊)의 환경복원(環境復元) 발전전략(發展戰略)(III) - 임도(林道) 및 치산(治山)·사방(砂防)을 중심(中心)으로 - (Strategic Prospects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of Stream Side in Japan(III)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Forest Road, Forest Conservation and Erosion Control -)

  • 박재현;우보명;이헌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13-125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troduc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strategy for an environmental restoration of stream side in Japan, and to consider a methodology which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for the environmental restoration of stream side in Korea. The strategy prospects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in Japan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When we establish the long term erosion control planning, we should make detail planning after considering of a certain block of watershed units. Because most of the disaster is caused by soil movement which was occurred by water contents. 2. Nowadays, the general torrent erosion control planning system in Japan focused on reducing the sediment such as by placement of erosion control facility and by restoration of afforestation, after calculation of several factors including expected amount of sediment, and the different amount of planned sediment and allowable sediment. 3. In the past, the goal of forest conservation and erosion control planing was to fix the amount of soil movement by construction of permanent facilities. While, the goal of forest conservation and erosion control planning in the future needs to change the techniques to a small and middle scale's soil movement which could prevent soil movement from large scale of soil disasters, but allow soil movement effectively. Also, it is considered to change erosion control dams from non passing type to passing type. 4. Restoration of stream-side ecology, erosion control for the conservation of ecology should be planned and conducted cautiously based on concepts of ecology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sound techniques.

  • PDF

Planning Non-Invasive Conservation Genetic Experiments Based on Factors Affecting DNA Amplification Using Fecal Samples of Korean Long-Tailed Goral (Naemorhedus caudatus)

  • Baek-Jun Kim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5권3호
    • /
    • pp.71-75
    • /
    • 2024
  • In this review, we compared the success rates of DNA amplification and introduced the efficient non-invasive sampling of fecal samples collected from captive and wild Korean long-tailed gorals (Naemorhedus caudatus) by referring to previous non-invasive studies, including three important references (Kim et al., 2008; Kim, 2021; Kim, 2022). A large difference in PCR success rates in the captive and wild populations was observed for mitochondrial (100 and 70.0%), sex-linked (44.4 and 20.8%), and microsatellite markers (73.9 and 34.8%, respectively). Out of the three types of genetic markers, the mitochondrial maker showed the highest success rate, followed by microsatellite and sex-linked markers. In addition, we estimated two factors that affected the PCR success, including the length of the amplified fragments (long, medium, and short) and the type of primer (universal and specific) in fecal samples from a captive population. The length of the PCR fragment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PCR success (5.3, 44.4, and 55.6% for long, medium, and short fragments, respectively), and the specific primer set (100%) was more efficient than the universal primer set (60.0%). This review is fundamental but would be greatly helpful for new non-invasive conservation genetic studies, particularly those that use fecal samples from captive and wild populations of rare endangered species. We recommend beginning conservation genetic experiments using mitochondrial markers and then nuclear markers, such as microsatellite and sex-linked markers, to save time, costs, and labor.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cological and Natural Map in the Republic of Korea

  • Eui-Jeong Ko;Hyosun Leem;Junghyun Lee;Wooseok Oh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8권1호
    • /
    • pp.8-16
    • /
    • 2024
  • The integration and management of various national ecological assessments are essential for the benefit of the public.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Ecological and Natural Map (ENM) serves as a comprehensive platform that synthesizes the results of national ecosystem surveys into a unified system interface. To provid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our policy, we analyzed the ENMs and related appeals from 2014 to 2022. Following their implementation, the ENM Guidelines underwent nine revisions, with most of the revisions pertaining to appeals. Nine public announcements were made regarding the ENM, resulting in a gradual expansion of the conservation area. The data also showed a consistent increasing trend in appeals. Most of the 1st-grade areas in the ENM regions where appeals were filed hav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arger area or the smaller population density of an administrative distinct, the more appeals were filed. Our study presents information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ENM system. The analysis of the operational direction and indicator trends across the 16-year perio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similar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