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ciousness of bioethic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5초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생명윤리의식: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nsciousness of Bioethics in Nursing Students)

  • 이외선;김은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251-258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생명윤리의식 간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B와 C시 2개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전문직관 및 생명윤리의식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비판적 사고성향과 생명윤리의식 사이의 관계를 간호전문직관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성향 뿐만 아니라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생명윤리의식에 관한 간호연구의 동향 (Nursing research trends for the consciousness of bioethics published in korea)

  • 최미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207-217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생명윤리의식에 관한 간호연구를 분석하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분석 자료는 2017년 11월 2일 전자 데이터베이스 RISS를 통해 검색하였고 총 30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연도별 논문 수는 70%의 논문이 최근 5년 동안 발표되었고, 단독저자가 40.0%로 나타났다. 연구 설계는 상관관계를 포함한 서술적 조사연구가 76.7%이었고, 연구 대상은 83.1%가 학생으로 나타났다. 자료 수집 방법은 모두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윤리적 측면 고려를 제시한 연구는 90.0%로 나타났다. 실험연구에서 13.3%의 연구가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유사실험연구이었고, 종속변수에는 생명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비판적 사고성향, 도덕 판단력이 포함되었으며, 10순위에 포함되는 주요어 중 1순위는 생명의료윤리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향후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확대 반복연구, 질적 연구, 그리고 생명윤리의식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중학교 3학년 과학 '유전과 진화' 영역을 통한 생명윤리의식 함양 (Improvement of Bioethics in the Unit of 'Heredity and Evolvement' of Middle School Ninth-Grade Science)

  • 이윤정;최돈형;손연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3호
    • /
    • pp.1-1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objectives for ninth grade studies of heredity and evolution in middle school in an attempt to foster students' consciousness of bioethics, and it's additionally intended to develop and apply lesson plans handling different points at issue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lesson plans on the bioeth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2 ninth graders in a middle school, whose science scores were similar.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made up of 76 students respectively, and a pretest was conducted with test paper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to assess their awareness of bioethics. The experimental group took lessons by using the teaching plans prepared in this study,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typ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then a posttest was implemented with test paper developed in this study to compare the two groups. In addition their science grades were compared as well.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ven learning objectives were selected from three units related to bioethics in the third-year 8th category of heredity and evolution of middle school. Second, in order to attain the selected learning objectives, four session lesson plans were prepared.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studied using by the lesson plans made better progress in bioethics awareness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6.61, p<.001). The former were ahead of the latter in consciousness about species equity(t=7.71, p<.001), the dignity of life (t=3.78, p<.001), human rights(t=2.99, p<.01) and equity among generations(t=2.66, p<.01), but not in awareness of the diversity of species.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in science scores between the students studi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those who received instructions by using the lesson plans developed in the study.

  • PDF

치위생(학)과와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생명 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Dental Hygiene and Health Science related Majoring Students)

  • 박영남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27-233
    • /
    • 2019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와 보건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8년 6월에서 7월까지 생명윤리의식을 파악하여 생명윤리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설문조사하였다. 생명권과 인공수정 인식도의 관한 상관관계는 성별(r=0.241), 종교(r=-0.176), 학과(r=-0.160)에서 유의하였고,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에 관한 인식도에 관한 상관관계는 학년(r=0.129), 종교(r=-0.098), 생명윤리 교육여부(r=0.235)에서 유의하였다. 안락사의 인식도에 관한 상관관계는 종교(r=0.139), 생명윤리교육 여부(r=-0.157)에서 유의하였다. 결과적으로 보건계열 대학생들에게 바람직한 윤리관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생명의료 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생명의료윤리 교육 이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관련 지식, 인식 및 태도의 차이 (The difference of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related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 박미라;제남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37-14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 교육 이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관련지식, 인식 및 태도의 차이를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학과 112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두 그룹간에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하위 영역 중 인공수정, 안락사, 장기이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은 생명의료윤리 교육에 참여한 후 인공수정, 안락사, 장기이식에 대한 의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관련이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생명의료윤리 교육과정에 죽음,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 관련 다양한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자가 일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여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다고 보아 추후 반복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임상간호사의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의 영향 요인; 생명의료 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비판적사고 성향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the recognition of clinical nurses' code of ethics; Focusing on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moral sensitivity, and critical thinking deposition)

  • 최영실;김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660-671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비판적 사고성향 및 간호윤리강령인식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의 일반적·윤리적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고, 일반적·윤리적 특성에 따른 각 변수별 차이는 SAS 9.4를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이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된 변수는 Scheffé 사후 검정을 이용하여 다중 비교하였다. 각 변수의 점수는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 값과 최대 값을 이용하였고, 변수 별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또한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윤리적 특성과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간호사 윤리강령 인식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비판적 사고성향(p<.001)이었고, 다음으로 생명의료 윤리의식(p<.001), 도덕적 민감성(p<.001) 순으로 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27.4%이다. 따라서 임상간호사들에게 비판적 사고성향, 생명의료 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시킴으로써 임상간호사들이 확고한 윤리적 가치관을 가지고 실무에 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Stewardship, Stockmanship and Sustainability in Animal Agriculture

  • Szucs, E.;Geers, R.;Sossidou, E.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9호
    • /
    • pp.1334-1340
    • /
    • 2009
  • Sufficient food supply for all humans was, is, and will remain one of the main priorities for mankind. The choice between food from crops or animals is related to philosophical, religious and ethical, but also cultural and economical, values. However, the concept of sustainable agriculture takes into account the organization of food supply through future generations. Not only quantity, but also quality is important, especially in relation to food safety and the method of production. Specifically, the aspect of animal welfare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with the focus on stewardship and stockmanship, i.e. responsibility of humans for their animals. In the future, implications for sustainability in animal production may be of more concern to stewardship paired by stockmanship,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and morality. The moral as a basic concept of sustainable agriculture is to maintain continuous development in harmony with nature to meet requirements in the world for living creatures including human beings to live in and steward.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above issues from different viewpoints on sustainable food supply, increasing food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의료계열 대학생들의 생명 윤리 의식 (Bioethical Percep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 안혜영;조병선;최숙희;최원;고유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8-107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which is necessary for educating nursing and medical students for establishing a desirable sense of ethics values Method: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a total of 140 nursing students and 124 medical students were selected. The tool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by using SPSS/WIN 12.0 version. Result: When the differences i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and medical students were comp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ategory of brain death (t=-3.26, p=.001).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ligion (F=3.05, p=.018), and participation in religious activity (F=3.34, p=.006).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subjects' ethical values such as satisfaction level of a nurse/doctor (F=7.39, p=.000) occupation, the experience of A Patient's Bill of Rights (F=2.97, p=.020), the intention to attend biomedical ethics (F=5.61, p=.000), and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ethical problem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medical science (F=7.92, p=.000). Conclusion: An effort should be made to overcom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biomedical ethics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Moreover, when investigating the course of an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desirable sense of biomedical ethics, an alternative plan that could promote ethical values must be considered so that the significant variables can promote bioethical perception.

생명과학기술의 또 다른 그늘: 유전자차별 (Genetic discrimination as another shadow of biotechnology)

  • 김상현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59-85
    • /
    • 2014
  • 이 글은 생명과학기술의 또 다른 그늘로서 유전자차별의 사회학적 함의를 조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전자차별과 관련된 주요개념과 세 가지 시각(예외주의, 표현주의, 인권적 담론)을 검토하고, 미국의 "유전자차별금지법(GINA)"과 우리나라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에 나타난 사회적 함의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의 유전자차별에 대한 인식결과(차별인식, 차별경험, 차별의 두려움, 차별에 대한 대응)에 기반하여 향후 유전자차별의 연구 및 정책을 위한 몇 가지 함의를 제시하였다. 우선, 유전자차별에 대한 개념적 합의와 함께 인권주의 시각의 중요성이 요구된다. 둘째, 공적 영역뿐만 아니라 사적 영역에서의 차별에 대한 관심과 유전소인을 가진 인구집단의 시각을 반영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법제도적 장치뿐만 아니라 국민과 의료인들에게 유전자차별 의식을 고양하고, 유전소인을 가진 사람들을 위해 유전자차별의 두려움을 낮출 수 있는 심리사회적 대응방안이 개발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