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formal flatnes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ON GENERALIZED QUASI-CONFORMAL N(k, μ)-MANIFOLDS

  • Baishya, Kanak Kanti;Chowdhury, Partha Roy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163-176
    • /
    • 2016
  • The object of the present paper is to introduce a new curvature tensor, named generalized quasi-conformal curvature tensor which bridges conformal curvature tensor, concircular curvature tensor, projective curvature tensor and conharmonic curvature tensor. Flatness and symmetric properties of generalized quasi-conformal curvature tensor are studied in the frame of (k, ${\mu}$)-contact metric manifolds.

ON THE PRESCRIBED MEAN CURVATURE PROBLEM ON THE STANDARD n-DIMENSIONAL BALL

  • Bensouf, Aymen
    • 대한수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87-304
    • /
    • 2016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problem of existence of conformal metrics with prescribed mean curvature on the unit ball of ${\mathbb{R}}^n$, $n{\geq}3$.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order of flatness at critical points of prescribed mean curvature function H(x) is ${\beta}{\in}[1,n-2]$, we give precise estimates on the losses of the compactness and we prove new existence result through an Euler-Hopf type formula.

REMARKS ON CONFORMAL TRANSFORMATION ON RIEMANNIAN MANIFOLDS

  • Kim, Byung-Hak;Choi, Jin-Hyuk;Lee, Young-Ok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7권3_4호
    • /
    • pp.857-864
    • /
    • 2009
  • The special conformally flatness is a generalization of a sub-projective space. B. Y. Chen and K. Yano ([4]) showed that every canal hypersurface of a Euclidean space is a special conformally flat space. In this paper, we study the conditions for the base space B is special conformally flat in the conharmonically flat warped product space $B^n{\times}f\;R^1$.

  • PDF

Conformally invariant tensors on hermitian manifolds

  • Matsuo, Koji
    • 대한수학회보
    • /
    • 제33권3호
    • /
    • pp.455-463
    • /
    • 1996
  • In [3] and [4], Kitahara, Pak and the author obtained the conformally invariant tensor $B_0$, which is an algebraic Hermitian analogue of the Weyl conformal curvature tensor W in the Riemannian geometry, by the decomposition of the curvature tensor H of the Hermitian connection and the notion of semi-curvature-like tensors of Tanno (see[7]). In [5], the author defined a conformally invariant tensor $B_0$ on a Hermitian manifold as a modification of $B_0$. Moreover he introduced the notion of local conformal Hermitian-flatness of Hermitian manifolds and proved that the vanishing of this tensor $B_0$ together with some condition for the scalar curvatures i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a Hermitian manifold to be locally conformally Hermitian-flat.

  • PDF

다중 조사면 치료 시 기계적 입력치(MU)에 따른 선량적 안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Dose Stability at Low Monitor Unit Setting for Multiple Irradiated Field)

  • 김주호;이상규;신현경;이석;나수경;조정희;김동욱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5-160
    • /
    • 2005
  • 목 적 : 전산화단층 모의치료조준(CT simulation)과 선량 계획 장비(RTP)의 발전으로 많은 저자들에 의해 종양부 위의 선량을 증가시키고 인접한 장기의 선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3차원 입체 조형 치료(Conformal therapy)와 조사면내 선량 보강 기법(Field in field technique)이 자주 소개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치료 기법은 많은 수의 조사면을 사용함으로써 조사면이 증가할수록 10 MU이하의 극히 적은 기계적 입력치(monitor unit, MU)를 사용하기도 한다. 통상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선량에 대한 정보(beam data)는 이보다 훨씬 많은 100 MU이상 혹은 그보다 높은 안정적인 출력을 기대할 수 있는 상태에서 측정되어지므로 극히 적은 기계적 입력치에서도 기존에 측정되어진 선량 정보와 동일한 선량분포를 구현할 수 있는지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극히 적은 기계적 입력치(MU)에서의 선량적 안정성을 알아보고 향후 정도 관리지침에 활용코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서 사용 중인 선형가속기 Varian 2100C/D의 6 MV, 10 MV(USA)와 Varinan 600C의 4 MV(USA)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10{\times}10cm^2$ 조사면에서 90 MU를 90 MU, 45 MU, 30 MU, 18 MU, 9 MU, 6 MU로 각각 1, 2, 3, 5, 10, 15 회씩 나누어 조사하였다. 전리함(pinpoint farmer type chamber, PTW, GERMANY)를 이용하며 4 MV, 6 MV는 5 cm, 10 MV는 10 cm 깊이, SAD 100 cm에서 물 팬텀을 이용하며 조사면내의 출력을 측정하였고, 측정용 필름(X-omat V, Kodak, USA)을 이용하며 높은 선량을 나타내는 90 MU, 30 MU에서의 편평도와, 대칭도를 비교하였고 일반적인 medical film(AGFA USA)을 이용하여 낮은 선량을 보이는 9MU에서 조사면내 편평도와, 대칭도를 비교하여 선질의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 과 : 전리함을 이용한 측정에서 2100C/D는 90 MU와 9 MU에서 1 MU 당 선량(cGy/MU)은 6 MV와 10 MV에서 90 MU를 1회에 조사한 것과 비교하여 약 1.6% 정도 증가하였고 2100C는 0.5%, 1.3%가 각각 증가하였다. 600C 또한 1.6% 증가하였으나 6 MU에서 약 3% 차이를 나타내었다. 편평도와 대칭도는 장비와 에너지에 따라 1%에 2.9%까지 차이가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적은 MU에서 약간 더 균등하였고 극히 적은 MU로 인한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결 론 : 각각의 실험에서 선량적 차이는 허용되어지는 범위이하의(출력<3%, 편평도<${\pm}3%$, 대칭도<2%, ICRU report 50)오차를 모임으로써 보유한 장비에 따라 정도에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본원에서 사용 중인 장비에서 극히 적은 MU의 사용이 현저한 선량적 오차를 유발하진 않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그러나 정도 관리 시 그 오차를 확인하는 과정은 장비의 사용과 수명에 따라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