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omitant variabl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Flexor Tenosynovitis Caused by Neisseria gonorrhea Infection: Case Series, Literature Review, and Treatment Recommendations

  • Nirbhay Jain;Sean Saadat;Mytien Goldber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50권2호
    • /
    • pp.216-219
    • /
    • 2023
  • Neisseria gonorrhoeae is the most common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in the world and is known to cause disseminated disease, most commonly tenosynovitis. Classically, gonorrhea-associated tenosynovitis presents with concomitant dermatitis and arthralgias, though this is not always the case. N. gonorrhoeae-related tenosynovitis has become more commonly seen by hand surgeons. To aid in management, we present three cases of gonorrhea-induced tenosynovitis spanning a range of presentations with variable treatments to demonstrate the variety of patients with this disease. Only one of our patients had a positive gonococcal screening test and no patient had purulent urethritis, the most common gonorrhea-related symptom. A separate patient had the classic triad of tenosynovitis, dermatitis, and arthralgias. Two patients underwent operative irrigation and debridement, and one was managed with anti-gonococcal antibiotics alone. Though gonorrhea is a rare cause of flexor tenosynovitis, it must always be on the differential for hand surgeons when they encounter this diagnosis. Taking an appropriate sexual history and performing routine screening tests can assist in the diagnosis, the prescription of appropriate antibiotics, and potentially avoiding an unnecessary operation.

구강내 만성염증병소에서 보이는 형질세포육아종의 면역조직화학적 관찰 (Immunohistochemical Observation of Plasma Cell Granuloma in Intraoral Chronic Inflammatory Lesions)

  • 김연숙;이석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3권1호
    • /
    • pp.26-31
    • /
    • 2011
  • Purpose: Chronic inflammatory gingival lesions occur as pyogenic granulomas or non-specific chronic suppurative lesions. Methods: Of the 59 chronic inflammatory gingival lesions examined, plasma cell granuloma (n=14), which showed an intense antibody-mediated immune reaction with the increased infiltration of plasma cells, was observed as a pseudotumor-like gingival overgrowth and myofibroblastic or fibrohistiocytitc proliferation of stromal cells with a heavy collection of plasma cells. The levels of CD3, CD20, CD31, CD68, RANKL, cathepsin G, cathepsin K, lysozyme, TNF${\alpha}$, MMP-2, and MMP-9 in the 14 cases of gingival plasma cell granuloma with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pathogenetic progresses of the plasma cell granuloma compared to the common pyogenic granuloma (n=45) in the gingiva. Results: The gingival lesions of the plasma cell granulom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histological types, plasma cell predominant type (PPT, n=8), mixed inflammatory cell type (MICT, n=2), and sclerosed fibrosis type (SFT, n=4). The PPT showed a condensed infiltration of plasma cells into the perivascular spaces of the granulomatous lesion with frequent formation of Russel's body in their cytoplasm. The MICT showed the concomitant infiltration of many macrophages together with plasma cells, resulting in the diffuse destruction of stromal fibrous tissue. The SFT showed granulomatous lesions replaced gradually by thick collagenous fibrous tissue, resembling an inflammatory pseudotumor. The SFT expressed strongly the lymphocytic markers, CD3 and CD20, and the macrophage/monocyte markers, CD31 and CD68, but showed reduced expression of common inflammatory markers, TNF${\alpha}$, cathepsin G, lysozyme, MMP-2, and MMP-9, as well as the reduced expression of osteoclastogenic markers, RANKL and cathepsin K.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gingival plasma cell granuloma shows variable gene expression for cell-mediated immunity and stromal tissue degeneration, undergoing sclerotic fibrosis with a persistent inflammatory reaction.

Cardiac Troponin I Elevation in Patients with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 Jeon, Ik-Chan;Chang, Chul-Hoon;Choi, Byung-Yon;Kim, Min-Su;Kim, Sang-Woo;Kim, Seong-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6권2호
    • /
    • pp.99-102
    • /
    • 2009
  • Objective: Cardiac dysfunction after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SAH) is associated with elevation of serum cardiac troponin I (cTnl) levels. Elevation of cTnl predicts cardiopulmonary and neurological complications, and poor outcom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and radiologic records of 114 (male: 30, female: 84) patients who developed aneurysmal SAH between January 2006 and June 2007 and had no history of previous cardiac problems. We evaluated their electrocardiography and cTnl level, which had been measured at admission. A cTnl level above 0.5 $\mu$g/L was defined as an indicator of cardiac injury following SAH. We examined various clinical factors for their association with cTnl elevation and analyzed data using chi-square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test with SPSS version 12.0. The results were considered significant at p< 0.05. Results: The following parameters shows a correlation with cTnl elevation: higher Hunt-Hess (H-H) grade (p = 0.000), poor Glasgow Outcome Scale (GOS) score (p = 0.000), profound pulmonary complication (p = 0.043), higher heart rate during initial three days following SAH (p = 0.029), ruptured aneurysm on communicating segment of internal carotid artery (p = 0.025), incidence of vasospasm (p = 0.421), and duration of hyperdynamic therapy for vasospasm (p = 0.292). A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outcome were cTnl elevation (p = 0.046) and H-H grade (p = 0.000) in a multivariate study. Conclusion: A cTnl is a good indicator for cardiopulmonary and neurologic complications and outcome following SAH. Consideration of variable clinical factors that related with cTnl elevation may be useful tactics for treatment of SAH and concomitant complications.

소아에서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의 비장 적출술 (Splenectomy in Hereditary Spherocytosis in Childhood)

  • 허영수;김창식;도병수;서보양;하정옥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42-48
    • /
    • 1994
  • 저자들은 1987년 12월부터 1993년 8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 입원하여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으로 진단받고 비장적출술을 시행한 9례를 대상으로 임상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 9명중 남아 5명, 여아 4명으로 남녀비가 비슷하였으며, 6세에서 10세 사이가 9례중 5례로 전체의 반이상을 차지하였다. 2. 가족력을 나타낸 경우는 9례중 4례(44.4%)이었다. 3. 주요임상 증상으로는 빈혈, 황달 및 비장종대가 주증상이었으며, 담석증 및 총담관결석을 동반하였던 2례에서는 우상복부 동통을 나타내었다. 4. 검사실 소견으로는 말초혈액 도말검사상 구상 적혈구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혈색소 $8.1{\pm}2.4gm/dl$, 헤마토크리트 $23.4{\pm}10.2%$ 망상적혈구 $15.9{\pm}11.7%$이었으며, 삼투압 취약성은 모두에서 증가되어 있었다. 혈청 전 빌리루빈 $8.6{\pm}10.9mg/dl$, LDH $370.1{\pm}169.1IU/L$으로 증가되었다. Coombs 검사상 9례 모두 음성반응을 보였다. 5. 9례 모두 비장적출술을 시행하였으며 이들중 담석증을 동반한 1례에서는 담낭절제술, 총담관 결석을 동반한 1례에서는 담낭절제술, 총담관 결석제거술 및 T-tube 담관조루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소견상 비장의 무게는 350(150-600)gm이었고, 9례중 3례에서 부비장(accessory spleen)이 관찰되었다. 6. 비장 적출후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 9례에서 수술전 혈색소 $8.1{\pm}2.4gm/dl$, 헤마토크리트 $23.4{\pm}10.2%$, 수술후 혈색소 $12.3{\pm}1.2gm/dl$, 헤마토크리트 $37.0{\pm}5.3%$로 증가되어 술후 빈혈이 교정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수술후에 수혈의 필요성은 없었으며, 술후 특별한 합병증없이 9명 모두 현재까지 건강하게 잘 자라고 있다.

  • PDF

내과적 문제로 수술이 불가능한 조기 비소세포성 폐암에서의 방사선치료 (Radiotherapy in Medically Inoperable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보경;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57-264
    • /
    • 2000
  • 목적 : 조기 비소세포성 폐암의 경우 수술이 최선의 치료법으로 생각 되고있다. 환자가 내과적인 질환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혹은 수술을 거부한 경우 방사선치료가 수술의 대체적 치료로 사용 가능하다. 근치적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에서의 치료성적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석을 통하여 향후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1987년 6월부터 1997년 6월 사이에 치료를 시행 받은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조기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이 불가능했던 이유로는 폐질환이 21명으로 가장 많았다. 대상환자의 중간 연령은 68세였으며, 조직학적으로는 편평상피암이 24명으로 가장 많았다. 임상 병기는 T1, T2, T3가 각각 5명, 25명, 2명이었으며, 진단시의 종양의 크기는 3$\~$5 cm가 13명으로 가장 많았다. 방사선치료는 6 MV또는 10 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종양부위에 54.0$\~$68.8 Gy (중앙값; 61.2 Gy)를 조사하였고 12명의 환자에서는 동시분할조사를 시행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2개월에서 93개월 (중앙값; 23개월)이었고, 생존기간은 치료개시일을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결과 : 전체생존률은 코년, 5년이 각각 44.6$\%$, 24.5$\%$이었으며, 무병생존률은 38.9$\%$, 28.3$\%$, 중앙생존기간은 23개월이었다. 전체환자 32명중 최종 추적관찰 시 25명이 사망하였으며, 이중 7명이 페암이외의 질환으로 사망하였다. 단변량분석 상 종양의 크기는 전체생존률과 무병생존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판정되었고 (p=0.0015, p=0.0022), T 병기는 전체생존률에 의미있는 요인으로 판정되었다(p=0.0395). 다변량분석 상 종양의 크기는 무병생존률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요인으로 판정되었으며(p=0.0317), 전체생존률에 영향을 주는 경향을 보였다 (p=0.0649). 종격동의 방사선조사 여부는 생존률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 : 근치적방사선치료는 조기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로 내과적인 질환으로 수술 불가능한 경우나 환자가 수술을 거부한 경우, 특히 T1 또는 3 cm 이하의 종양에서는 수술적치료를 대치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 그러나 종양의 크기가 5 cm를 넘는 경우에는 방사선치료만으로는 장기생존자가 거의 없었으며, 따라서 이러한 환자의 치료에 있어 과분할조사나 기관지내 추가조사, 방사선감작제의 사용, 입체조형방사선치료, 강도변조방사선치료 등의 이용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프라지콴텔 치료후 효소면역측정법에 의한 뇌 유구낭미충증 환자의 혈청학적 추적검사 (Serologic follow-up Study in neurocysticercosis patients by ELISA after praziquantel treatment)

  • 조승열;김석일;강신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4권2호
    • /
    • pp.159-170
    • /
    • 1986
  • 1984년 1월부터 1986년 6월까지 30개월간, 확진된 뇌 유구낭미충증 환자 69명에 대하여 혈청학적 추적검사를 실시하였다. 환자는 모두 치료전에 뇌전산화 단층 촬영을 실시하였고 효소면역측정법에 의하여 혈청 및 뇌척수액의 특이 IgG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프라지콴텔에 의한 약물 치료는 $3{\times}25mg/kg$의 용량으로 $4{\sim}14$일간 실시하였다. 추적기간 및 회수는 환자마다 달랐으며 최대 추적기간은 22개월이었다. 추적검사용 혈청 및 뇌척수액은 $-40^{\circ}C$에 보관한 후 낭액항원, 낭벽항원 및 두절항원에 대한 IgG 항체가를 일시에 측정하였다. 프라지콴텔 투여후 $1{\sim}4$개월 사이에 환자의 대부분에서 혈청 및 뇌척수내 특이 IgG 항체가는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치료 직후부터 항체가가 저하하는 환자가 있었으나 소수이었다. 프라지콴델 투여시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덱사메타손을 투여하면 항체가 상승은 억제되었다. 프라지콴텔 치료후 혈청내 항체가 평균치의 변동이 뇌척수액내 항체가 평균치의 변동보다 심하였고, 항체가의 변화율은 낭벽항원이나 두절항원에 대한 항체에서 낭액항원에 대한 항체에서 보다 컸으나 항체가 변동폭은 낭액항원에 대한 항체가 더 컸다. 대상 환자 69명중 혈청학적으로 음성이었던 6명중 1명은 치료후 뇌척수액내 낭액항원에 대한 항체가가 양성범위로 전환하였다. 프라지콴텔 투여후 항체가의 상승은 뇌 유구낭미충증의 혈청학적 진단에서 보조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추적기간으로는 투여후 1개월이 적합하다고 생각하였다. 치료후 6개월내지 22개월까지 추적검사한 환자 15명중 혈청과 뇌척수액에서 모두 음성으로 전환한 예는 1례뿐이었고 혈청이나 뇌척수액 어느 하나에서라도 음성으로 전환한 예도 3례에 불과하였다. 만성 경과를 취한 심한 뇌 유구낭미충증 환자에서의 혈청학적 음성전환은 관찰 기간중 없었다. 추적 검사증 급성 뇌염증상이 나타난 만성환자에서는 일시적으로 두절항원에 대한 항체가가 상승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뇌 유구낭미충증 환자를 프란지콴텔로 치료한 다음 면역효소측정 법으로 혈청학적 추적검사를 실시할 경우 투약후 매 1년에 한번씩 실시하면 완치된 환자를 감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