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ntrated cells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41초

Human Gingival Fibroblasts의 분화와 증식에서 CGFs의 생물학적 효과 (The Biological Effects of Concentrated Growth Factors on the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 박성일;배현숙;홍기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89-695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s of concentrated growth factors (CGFs) on human gingival fibroblasts in vitro. Blood was collected from three male volunteers (average age 27 years). CGFs were prepared using standard protocols. The CGF exudates were collected at the following culture time points: 1, 7, 14, and 21 days. The levels of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BB (PDGF-BB)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 (TGF-${\beta}1$) in CGFs were quantified. The CGF exudates were then used to culture human gingival fibroblasts. The biologic characteristics of these fibroblasts were analyzed in vitro for 21 days. Platelet-rich plasma released the highest amounts of TGF-${\beta}1$ and PDGF-BB on the first day. The level of TGF-${\beta}1$ had decreased slightly by day 7, although the difference compared to levels at day 1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by days 14 and 21, levels of TGF-${\beta}1$ had dropped significantly compared to day 1 levels. The levels of PDGF-BB at days 7, 14, and 21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at measured on day 1. CGFs maintained the release of autologous growth factors for a reasonable period of time (7 days for TGF-${\beta}1$ and 21 days for PDGF-BB). Gingival fibroblasts treated with CGF exudates collected at day 14 reached peak viability and synthesized type I collagen. Furthermore, the CGF exudates exerted positive effects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se cells at days 1, 7, 14, and 21.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reatment with CGFs represents a promising method of enhancing mucosal healing following surgical procedures.

저농도 영양염류를 농축하는 여재에서 총인과 부착세균의 변화 (Dynamics of Total Phosphorus and Attached Bacteria in a Porous Medium Concentrating Nutrients from Low-Nutrient Water)

  • 김주영;남종현;정다운;조안나;최승익;안태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33-139
    • /
    • 2009
  •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하여 영양염류 농축장치를 개발하였다. 이 장치는 저농도 상태인 영양염류를 고농도로 전환시키며, 이 과정에서 세균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세균은 장치 내 여재에 생물막을 형성하면서 영양염류를 농축하였다. 총인의 농축효율을 확인하기 위해 장치로 유입되는 하천수와, 유출되는 공극수, 여재에서 총인과 용존무기인, 총세균수를 측정하였고 농축과정에서 미생물 군집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DGGE를 수행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총인의 경우 하천수에서는 0.12~0.35 mg/L로 농도가 낮았지만 농축 후 유출수에서는 0.45~0.86 mg/L, 여재에서는 40.91~242.71 mg/kg로 매우 높았다. 그러나 용존무기인은 농축이 일어나지 않았다. 총세균수 역시 하천수에서는 $0.3\sim2.3\times10^6$ cells/ml이었으나 농축 후 유출수와 여재에서 각각 $0.4\sim4.4\times10^6$ cells/ml, $0.8\sim1.9\times10^9$ cells/g로 높게 나타났으며, 총인의 농도 변화와 비슷한 패턴을 보여 총인의 농도와 세균수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균의 군집은 하천수에서는 Clostridium 속이 주로 나타났으나 여재에서는 Aquabacterium 속이 우점하다가 천이가 일어나서 Clostridium 속과 Enterococcus 속이 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영양염류 농축장치의 여재에서 부착세균의 생장으로 인하여 총인의 농축이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농축장치는 총인을 고농도로 회수함으로써, 저농도로 다량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회수된 농축수는 수계에 추가적인 부하로 작용하지 않는 자연비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초파리 S2 세포 시스템에서 녹색형광단백질 생산을 위한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의 감염조건들의 영향 (Effects of Recombinant Baculovirus Infection Conditions on Production of Green Fluorescent Protein in Drosophila S2 Cells)

  • 조혜숙;김연규;김경로;차형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40-45
    • /
    • 2006
  • 원하는 유전자를 배큘로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하여 초파리 Drosophila melanogaster S2 세포에 도입하는 배큘로바이러스/S2 세포 발현 시스템은 강력하고 안전한 배큘로바이러스의 장점과 세포가 파괴되지 않는 S2 세포의 장점을 접목한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래 목적 단백질로 발현 모니터링이 손쉬운 녹색형광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을 발현시키는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를 이용하여 S2 세포에의 감염조건들에 대한 영향 연구를 수행하였다.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의 S2 세포에의 감염조건으로는 multiplicity of infection(MOI), 초기 세포 수, 배큘로바이러스 용액이 세포를 적시는 최소 부피, 배큘로바이러스를 첨가한 후 제거하기까지의 배양시간 그리고 배큘로바이러스 제거 후 S2 세포를 혈청이 존재하는 배지에서 키우는 배양시간을 선정하였다. MOI는 일반적으로 크게 하는 것이 높은 발현 수율을 위하여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 세포배양이 길어지는 경우 세포독성의 문제가 심각해 질 수 있고 실제적인 배양에서는 높은 MOI를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사용하는 100 mm 배양접시에서 배큘로바이러스와 S2 세포가 접촉하는 동안의 변수들인 MOI를 적정의 값인 30으로, 배큘로바이러스 배양 시간을 1.5 시간으로 고정함으로써 배큘로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인 S2에 대해 미치는 세포독성을 낮출 수 있었다. 또한, 배큘로바이러스 최소 부피는 배양접시에서 사용부피의 2.4%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배큘로바이러스 용액을 10배 농축시킴으로써 이 부피를 맞추기 위해 첨가시키는 새로운 배지의 비율을 높임으로써 결과적으로 배큘로바이러스에 의한 세포독성을 줄일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세포 파쇄 및 배양접시 표면에서 탈착되는 것을 막고 높은 생장 상태를 유지해서 감염 효율도 높일 수 있었다. 배큘로바이러스의 감염이 끝난 후의 관여하는 변수들인 감염 후 배양시간은 24시간에서 최대의 녹색형광단백질의 발현을 나타내었다.

홍화, 홍화씨 추출물이 MC3T3E1 세포의 골분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fflower and Safflower Seed Extract on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MC3T3E1 Cells)

  • 유성률;신선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18-526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urified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inne) and safflower seed (Carthamus tinctorius L. seed; CS) extract, using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 methods , on the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MC3T3E1 cells.Methods The safflower and safflower seed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ethanol. The samples were concentrated by a rotary evaporator and then freeze-dried using a freeze-dryer. The MC3T3E1 cells were propagated and maintained in DMEM (Gibco) containing 10% FBS and a 1% antibiotic antimycotic solution. To induce osteogenic differentiation, the cells were treated for 14 days with DMEM with 10 mM β-glycerophosphate and 50 μM ascorbic acid. Extract doses were confirmed by the results of an MTT assay, and treatment of the extracts was performed in a differentiation medium every two days. The ALP staining and activity were tested after osteogenic differentiation for five days, and after 14 days, osteogenic differentiation was determined by alizarin red S staining. The mRNA expressions of osteogenic-related genes were quantifi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Results In the results of the MTT assay, all concentrations of safflower extracts had no toxicity in the MC3T3El cells. But in the groups of 100 ng/ml and 200 ng/ml concentrations of safflower seed extracts, the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up to 40-50%. So we fixed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at 50 ng/ml. In the ALP and alizarin red S staining, all extract groups increased osteogenic differenti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water-safflower extract group showed the highest mRNA level of Alp, Runx2, and Dlx5 genes. The mRNA level of Ocn, an osteogenic gene related to late-stage differentiation, in the ethanol-safflower extract group increased the mineralization more significantly than in other groups.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 that the extract of safflower increases the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activates of MC3T3E1 cells like the extract of safflower seed. The water-extract and ethanol-extract of safflower have effects on different stages of osteogenesis in MC3T3El. Not only safflower seed but also safflower will be useful therapeutic reagents for age-associated chronic diseases such as osteoporosis.

흰쥐규폐증에서 기관지 폐포 세척액내 세포변화 (Changes of the Cellularitie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of the Experimental Silicosis)

  • 임영;윤임중;오민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2호
    • /
    • pp.143-154
    • /
    • 1991
  • Pneumconiosis is a sort of pulmonary fibrosis consequent to the inhalation of the respirable dusts. Thus, the pathogenesis of silicosis have concentrated largely on the early response of alveolar macrophage and the later fibroblastic stimulation. But the role of the other cells and continuing cell injury in the pathogenesis has not been fully studied. And the chemical factors such as prostaglandin, fibroblast stimulating factor and inhibiting factor and chemotaxin are also participated in the mechanism of pulmonary fibrosis in silicosis. In order to clarify the role of alveolar cells and prostaglandin,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the cellularitie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nd tissue pathology in the experimental silicosis with the time sequence.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3 groups; control group received only intratracheal injection of 0.5 ml saline, silica group received the intratracheal instillation of 40 mg silica with the same amount saline, and aspirin group received 450 mg/kg of aspirin after silica instil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otal cells o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in the silica group markedly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ilica and aspirin groups. 2) The percentages of alveolar macrophages to the total number of cells in the silica group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also lower than those in the aspirin group at the 1st week after silica instillation. 3) The percentages of neutrophils to the total number of cells in the silica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entire period and also higher than those in the aspirin group at the 3rd day after silica instillation. 4) In the silica group, the percentages of lymphocytes to the total number of cells were increased 143 progressively with the time course and tho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from the 3rd week after silica administration. There were marked differences of lymphocyte percentages between the silica and aspirin groups at the 1st week after silica instillation. 5) The inflammatory change was observed in the rat lung at the 1st day after silica instillation. Also the silicotic nodule appeared in the silica group at the 1st week but we could not find out that nodule in the aspirin group at that time. The fibrotic changes in the rat lung tended to be increased progressively with the time course, therefore, the diffuse fibrotic pattern appeared in the whole field at the 20th week after silica instillation. 6) By the electron microscopy, there were gradual increases of phagosomes and vacuoles in the alveolar macrophage in the silica group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utrophils and the lymphocytes have also participated in the pulmonary fibrosis even though the alveolar macrophage has a major role, and prostaglandin mediate the inflammation and pulmanary fibrosis in the experimental silicosis.

  • PDF

Puromycin aminonucleoside의 사구체 족세포 P-cadherin에 대한 영향 (Effect of Puromycin Aminonucleoside on Podocyte P-Cadherin)

  • 하태선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7권2호
    • /
    • pp.79-85
    • /
    • 2013
  • 목적: 단백뇨 질환의 실험모델인 puromycin aminonucleoside (PAN)에서 관찰할 수 있는 족세포의 병리학적 이상에 있어서 P-cadherin의 변화를 생체 외 족세포 배양실험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PAN에 의한 족세포의 P-cadherin의 변화를 생체 외 배양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백서 사구체 상피세포(GEpC)를 배양하여 다양한 농도의 PAN을 투여하여 confocal 현미경을 통하여 P-cadherin의 분포를 관찰하였고, Western blotting 과 RT-PCR을 사용하여 P-cadherin 발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외곽세포질에 분포하는 P-cadherin은 단일세포 혹은 응집환경에서 PAN의 농도가 올라갈수록 내부로 응집되는 현상를 볼 수 있었다. Western 분석에서, P-cadherin 단백양은 PAN에 농도-의존적으로, 특히, 고농도인 50 mg/mL에서 24시간과 48시간이 노출 조건에서 각각 21.9% (P< 0.05)와 31.9% (P<0.01)의 의미 있는 감소소견을 보였다. RT-PCR에서도 48시간에서 50 mg/mL PAN을 첨가한 조건에서 23.5%의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P<0.05). 결론: PAN은 족세포에서 P-cadherin을 세포막으로부터 내부로의 응집을 유발하고, P-cadherin mRNA의 발현 감소와 단백수준에서 양의 감소를 초래함으로서, 단백뇨의 발생에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중국산 천연물에서 미백성분의 추출 및 효과 (Extraction and effect of whitening agents from chinese plants)

  • 김은철;리광화;안소영;김은기;노경호
    • 분석과학
    • /
    • 제19권3호
    • /
    • pp.194-202
    • /
    • 2006
  • 중국산 천연물질인 서장채국화, 홍경천 및 장청과에서 미백성분을 추출 및 정제하였다. 잘게 분쇄한 서장채국화와 장청과 잎을 각각 물과 에틸 에테르로 추출하고 제조용 크로마토그래피 GS310 컬럼($21.5{\times}500mm$ i.d., $10-15{\mu}m$)으로 네 개 혹은 세 개의 부분으로 획득한 후 농축하였다. 잘게 분쇄한 홍경천은 메탄올로 추출하고 분석용 $C_{18}$ 컬럼 ($3.9{\times}300mm$ i.d., $15{\mu}m$)으로 2개의 부분으로 획득한 후 농축하였다. 미백효과는 in-vitro 멜라닌 생성효과로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한 멜라닌-a와 B16 셀의 농도는 $10{\mu}g/ml$이다. $200{\mu}g/ml$의 농도에서 서장채국화의 에틸 아세테이트층은 92%의 멜라닌 억제효과를 보이며, 홍경천은 60%의 멜라닌 억제효과를 보였다. 이것은 모두 알부틴의 미백효과(45.6%)보다 우수하였다. $100{\mu}g/ml$의 농도에서 장청과는 90%이상의 멜라닌 억제효과를 나타냈지만 B16흑색종 셀에 대하여 독성을 보였다.

가시오갈피 뿌리의 면역세포 활성 및 방사선 병용효과 (Immune Cell Activation and Co-X-irradiation Effect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Root)

  • 권형철;박정섭;최동성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185-191
    • /
    • 2007
  • 목적 : 가시오갈피 뿌리 추출물(Extract of Eleuthrococcus senticosus Maxim root, ESMR)의 면역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와 마우스 종양세포에서 세포독성 및 방사선 병용효과를 알기위해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가시오갈피 뿌리(250 g)를 80% 메탄올로 추출한 다음, 감압농축 및 동결과정을 통해 분획을 얻었다. 세포 주는 섬유육종세포를 이용하였으며, 방사선조사는 저 에너지(250 KV)용 방사선 기기를 사용 하였다. 가시오갈피 추출물의 면역세포에 미치는 활성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마우스 비장 및 흉선세포의 생존율 측정과 비장 및 흉선림프구 아집단을 측정하였다. 세포독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lonogenic assay법을 이용하였다. 방사선조사 단독군의 경우 2, 4 및 6 Gy를 마우스 섬유육종세포(FSa II)에 조사하였으며, 가시오갈피와 방사선 병용군의 경우 0.2 mg/ml 농도의 가시오갈피를 방사선조사 1시간 전에 마우스 섬유육종세포에 접촉시켰다. 결 과: 가시오갈피 /뿌리 추출물 각각 10 ${\mu}g/ml$$100{\mu}g/ml$을 첨가한 마우스 비장 및 흉선세포 생존율은 다음과 같았다. 마우스 비장세포는 각각 $8.8{\pm}1.7%$$37.7{\pm}2.1%$로 증가하였으며, 흉선세포에서는 100 ${\mu}g/ml$에서 $16.7{\pm}1.6%$로 증가하였다. ESMR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 비장 및 흉선림프구는 다음과 같았다. 마우스 비장세포의 B cell은 41.5 $({\pm}1.3)$에서 46.0 $({\pm}1.5)%$로, T cell은 16.9 $({\pm}0.9)$에서 22.3 $({\pm}1.2)%$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Helper T (Th) cell은 10.4 10.4 $({\pm}0.7)$에서 14.2 $({\pm}0.8)%$로, Cytotoxic T (Tc) cell은 3.6 $({\pm}0.4)$에서 5.6 $({\pm}0.3)%$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마우스 흉선세포에서 T림프구의 증가율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마우스 섬유육종 세포에서 ESMR의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생존분율은 0.2, 2.0 mg/m에서 각각 $0.36{\pm}0.02$, $0.05{\pm}0.02$으로 나타났다. 마우스 섬유육종 세포를 접종한 마우스에 ESMR 0.2 mg/ml 농도를 1시간 동안 접촉시킨 다음, 방사선조사량 2, 4 및 6 Gy를 조사한 후 얻은 생존분물은 0.39, 0.22 및 0.06이었으며, 방사선조사 단독군의 경우는 0.76, 0.47 및 0.37로 나타났다. 그리고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학적 의미를 나타냈다(p<0.05). 결 론: 가시오갈피 뿌리 추출물은 in vitro 실험에서 마우스 비장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켰다. In vivo 실험에서는 마우스 비장 내 B세포 및 T세포를 증가시켰으나, 마우스 흉선세포에 대해서는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ESMR은 마우스 섬유육종 세포에 대해 강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냈다. FSa II를 접종한 마우스에서 방사선 단독 보다 ESMR을 병용한 경우 방사선에 의한 세포손상이 약 50% 이상 증가되었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학적 의미를 나타냈다(p<0.05).

The Stydy on Application to Cosmetics of Phellinus Iimteus

  • Young-Ho Cho;Chu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1-107
    • /
    • 1997
  • Phellinus linteus was artificially cultivated in kangwon province in Korea. The air-dried phellinus linteus was frozen in liquid nitrogen tank and powdered in jar. 10g of the powder was extracted with each 200g of ethanol, methanol, distilled water and 1,3-butylene glycol/distilled water 4 hours under refluxing and then the liquidextract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s a result of analysi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thin layer chromarography, many kinds of sugar and flavonoids were detected. Also we knew that phellinus linteus' extract had a strong UV-ray absorption. In the efficacy test for applying to cosmetics,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was confirmed. As a result, 2% of sample was the most potent inhibitory effect and the free radical savenging activity, was 0.31%. This is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meterial. In the test of antioxidative activity against lipid autoxidation, phellinus linteus' extract had a good effect by 46% while vitamine E was 42.3%. The immunological activity of phellinus linteus was showed through the activation of macrophage cell. Actually, phellinus linteus activated macrophage function of 1.1-1.8 times including nitrite production compared to control. The whitening effect of phellinus linteus was showed through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melanin biosynthesis of S. bikiniensis and B-16 melanoma cells. Phellinus linteus' extract was showed strong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ith IC50 value of 0.5% and inhibited melanin biosynthesis with 28mm inhibition zone at 0.005%/paper disc in S. bikinniensis, a bacterium used as an indicator organism in this work. Also it inhibited melanin biosynthesis in B-16 melanoma cells with a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0.134%.

  • PDF

유가식 배양공정에 의한 Bacillus thurngiensis의 고농도 포자생산 (High Concentrated Spore Production of Bacillus thuringliensis by Fed-Batch Processes)

  • 박창열;유연우
    • KSBB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219-225
    • /
    • 2000
  • Bacillus thuringiensis를 생물농약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고농도의 포자형성에 의한 높은 살충성의 8 -endotoxin를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 thuringiensis의 고농도 배양에 의한 높은 포자형성 수율을 얻기 위하여 40%의 용존산 소량과 $28^{\circ}C$에서 여랴 가지 방법의 유가식 배양법을 검토하였다. 최종 배양액의 glucose 농도가 50 g/L가 되도록 하는 경우의 유가식 배양에서는 continuos fed-batch culture의 linear gradient f feeding 법에 의하여 $9.37{\times}109$ cell/mL의 최대 생존 세포 수와 8 8.33 X 109 spore/mL의 최대 포자 수를 얻었으며, 이때의 포자 형 성율은 88.9% 이었다 최종 배양액의 glucose 농도가 100 m/L가 되도록 하는 경우의 유가식 배양에서는 intermittent fed-batch culture의 pH-stat 법에 의하여 $1.35{\times}1010$cell/mL의 최대 생존 세포 수와 $1.35{\times}1010$ spore/mL의 최대 포자 수를얻었으며, 이 때의 포자 형성율은 97.8% 이엇다.

  • PDF